• Title/Summary/Keyword: polyurethane(PU)

Search Result 29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열잠재성 개시제에 의한 에폭시/폴리우레탄 블렌드의 경화거동 및 파괴인성 (Cure Behaviors and Mechanical Interfacial Properties of Epoxy/Polyurethane Blends Initiated by Latent Thermal Catalyst)

  • 박수진;석수자;강준길;권수한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9권1호
    • /
    • pp.42-50
    • /
    • 2004
  • 본 연구는 열잠재성 개시제인 N-benzylpyrazinium hexafluoroantimonate (BPH)로 개시되어진 이관능성 에폭시인 diglycidylether of bisphenol A (DGEBA)와 변성 polyurethane (PU) 블렌드의 PU의 함량에 따른 경화거동과 파괴인성을 연구하였다. 블렌드의 경화거동은 시차주사 열량계(DSC)와 near-IR 을 통해 관찰하였고, 파괴인성은 임계응력 세기인자($K_{IC}$)와 임계 변형에너지 방출속도($G_{IC}$)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경화 활성화에너지($E_a$)와 전환율(${\alpha}$)은 PU의 함량이 10 phr에서 최고값을 나타냈으며, $K_{IC}$는 전환율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는 PU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DGEBA의 하이드록실기 사이의 수소 결합이 증가함에 따라 블렌드의 가교밀도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판단되어 진다.

광반응성 poly(acrylic acid)를 이용한 Lumbrokinase 의 polyurethane 표면 고정화 방법에 관한 연구 (Immobilization of Lum,brokinase on the Surface of Polyurethane by using the Photoreactive Poly(acrylic acid))

  • 김현정;류은숙;김종원;민병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47-553
    • /
    • 1999
  • 생체재료로 사용되는 polyurethane(PU) 표면에 항혈전성 lumbrokinase(LK)를 고정함으로써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키고자하였다. 먼저 LK를 PU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가교제로서 4-azidoaniline hydrochloride와 poly(acrylic acid)를 이용하여 4-azidophenyl 작용기가 amido 결합으로 치환된 수용성, 광반응성 poly(acrylic acid)(PPa-II)를 합성하였다. H-nuclear magnetic reasonance spectrum(500MHz H-NMR)의 6-7 peak와 infrared spectrum (FT-IR) 의 2125.48 cm peak으로부터 PPA-II의 합성을 지원하였다. EH한 4-azidophenyl 작용기가 poly(acrylid acid) 잔기에 치환된 정도는 UV/VIS adpectrophotometric spectrum을 확인한 결과 11~14%임을 알 수있었다. 0.5 1및 5% PPA-II를 각각 광반응하여 얻은 PU는 39.5, 161.8 및 181.5 nmole/$\textrm{cm}^2$의 농도로 표면에 carvoxyl 작용기가 유도되었음을 알 수있었다. 0.05M KH2PO4 (pH 4.5) 용액에서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EDC)를 촉매로 사용하여 LK를 PU표면에 amido 공유결합으로 고정하였으며, 이것은 지속적인 fibrinolytic 활성도를 보였다. PPA-II를 이용한 표면 개질 방법은 수용성 반응조건에서 이루어진다는 점과 광반응을 이용함으로써 특정부위에서의 표면개질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 응용가치가 크며 아울러 PU의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 판단된다.

  • PDF

Ester 및 Ether형 Polyurethane Ionomer의 Emulsion 블랜드 (Emulsion Blends of Polyurethane Ionomers from Ester and Ether Type Polyols)

  • 김상준;김병규
    • 공업화학
    • /
    • 제3권4호
    • /
    • pp.614-619
    • /
    • 1992
  • Soft segment가 각각 ester 및 ether형 polyol로된 2종의 polyurethane(PU) ionomer를 emulsion 블렌딩하여, 블렌드의 분산점도, 및 emulsion cast film의 접촉각, 기계적 특성을 조성의 함수로 측정하였다. 블렌드의 기계물성은 혼합법칙으로부터 심한 scattering이나, negative deviation을 보였으며, 이는 ester 및 ether형 polyol간의 상용성의 결여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았다. 접촉각 측정 결과로부터 유화입경이 작은 PPG PU 입자가 주로 도막표면층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인계화합물을 포함한 재활용 폴리우레탄폼의 난연성 (Fire Retardancy of Recycled Polyurethane Foam Containing Phosphorus Compounds)

  • 정영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2-189
    • /
    • 2007
  • Used polyurethane was chemically degraded by treatments with flame retardants such as tris(3-chloropropyl) phosphate (TCPP), triethyl phosphate (TEP), and trimethyl phosphate (TMP). The structure of degraded products (DEP) was analyzed by FT-IR and P-NMR and it turned out to be phosphorus containing oligourethanes. Rigid polyurethane foam was produced by using the degraded products (DEP) as flame retardants. The flammability of recycled rigid polyurethane was investigated. The recycled polyurethane shows a reduced flammability over virgin polyurethane. In order to evaluate flame retardant properties of the recycled polyurethane foams with various amounts of DEP, the combustion parameters of the foam was measured by a cone calorimeter.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f recycled PU shows the same uniform cell morphology as virgin PU.

Mechanical Behavior of Shape Memory Fibers Spun from Nanoclay-Tethered Polyurethanes

  • Hong, Seok-Jin;Yu, Woong-Ryeol;Youk, Ji-H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6권7호
    • /
    • pp.644-650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nanoclays on the shape memory behavior of polyurethane (PU) in fibrous form. A cation was introduced into the PU molecules to disperse the organo-nanoclay (MMT) into poly($\varepsilon$-caprolactone) (PCL)-based PU (PCL-PU). The MMT/PCL-PU nanocomposites were then spun into fibers through melt-processing. The shape memory performance of the spun fibers was examined using a variety of thermo-mechanical tests including a new method to determine the transition temperature of shape memory polymers. The MMTs showed an improved the fixity strain rate of the MMT /PCL- PU fibers but a slight decrease in their recovery strain rate. This was explained by the limited movement of PU molecules due to the presence of nanoclays. The shape memory performance of the MMT/PCL-PU fibers was not enhanced significantly by the nanoclays. However, their recovery power was improved significantly up to a strain of approximately 50%.

Chitosan-polyurethane 혼합 용액으로 처리된 직물의 태 연구 - 면, 폴리에스터, 나일론 직물의 열 Curing - (A Study on the Hand of the Fabrics Treated with Chitosan-polyurethane Mixture Solution -Thermal Curing of Cotton, Polyester, and Nylon Fabrics-)

  • 곽정기;전동원;김종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997-1007
    • /
    • 2005
  • The textile finishing methods utilizing chitosan have been mostly focused on the applications in the improvement of the dyeing of cotton fabrics, or the improvement of hand of the cotton or wool fabrics.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application examples in the synthetic fiber fabrics including polyester and nylon fabric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tiffness and the poor wash fastness of the fabrics treated only with chitosan. We tried to improve the softness by employing chitosan and polyurethane mixture solution and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chitosan from the fabric. The treatment was applied to cotton, polyester, and nylon fabrics. The change of the properties of the treated fabrics were investigated. The optimum finishing condition was sought by changing the mixture ratio of the chitosan/PU(polyurethane) solutions. The adjusted ratios of the chitosan/PU solutions were 1 : 0, 1 : 0.25, 1 : 0.5, and 1 : 2 during the mixture solution preparation. Using the KES(Kawabata Evaluation System),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nished fabric specimens were analyzed, and hand values of the specimens were calculated through the use of translational formulas. According to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fibers, chitosan solution or chitosan/PU mixture exhibited wide range of coating effect. Since the chitosan acid solution has high polarity, the bonding force with the cotton fibers is high. By the appropriate addition of PU in the chitosan treatment of cotton, KOSHI and HARI values of the fabric improved. The air permeability of the chitosan/PU treated cotton fabric specimen improved, resulting in the highest value at the mixture of chitosan : PU=1:0.25.

폴리우레탄/나일론 6 용융블렌드의 인장특성 및 충격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nsile Properties and Impact Behavior of Polyurethane/Nylon 6 Melt Blends)

  • 지동선;김지혜;윤철수
    • 폴리머
    • /
    • 제26권4호
    • /
    • pp.483-491
    • /
    • 2002
  • 나일론 6의 상온 및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폴리우레탄 (PU)/나일론 6 용융블렌드를 Haake Rheomix를 사용해 제조한 후 PU 함량 (10, 20, ,30, 40, 50 wt%) 및 블렌딩 시간 (5, 10, 15, 20분)에 따른 결정구조, 동역학적 특성, 인장특성 및 충격거동을 WAXD, DMA, UTM 및 notched Izod 충격시험기 등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PU 함량 및 블렌딩 시간이 증가할수록 블렌드의 결정회절피크의 형태는 넓어지고 회절피크의 강도는 감소하였다. 블렌드의 유리전이온도, 인장강도, 인장탄성률로 감소하였으며, 신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PU 함량이 블렌딩 시간보다 결정구조, 동역학적 특성 (tan $\delta$) 및 인장특성 등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PU/나일론 6 (10/90 wt%) 블렌드 상온 ($20^{\circ}C$) 및 저온 ($-35^{\circ}C$)에서의 충격강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PG와 탄소나노튜브의 혼합을 통한 탄소나노튜브/폴리우레탄 나노복합체의 기계적 물성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Polyurethane Nanocomposites via PPG Dispersion with MWCNTs)

  • 김대원;김종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6호
    • /
    • pp.703-708
    • /
    • 2015
  • 나노충전제의 우수한 분산성을 얻기 위하여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 carbon nanotubes) (MWCNTs)와 poly(propylene gylcol)(PPG)을 ball mill shaker로 혼합한 분산액을 이용하여 폴리우레탄(PU)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MWCNTs는 과산화수소($H_2O_2$)로 처리하여 표면을 기능화할 수 잇었다. 순수한 MWCNTs를 이용한 PU 나노복합체와 비교한 결과 $H_2O_2$로 처리한 MWCNTs를 이용한 PU 나노복합체의 인장강도와 신율이 높게 나타났다. SEM 이미지에서 보여진 MWCNTs의 우수한 분산성은 표면을 기능화시킴으로서 얻어진 것이다. Carbon black(CB)을 사용한 PU 복합체는 기계적 물성 변화가 거의 없었다. 분산시간의 증가에 따라 PU/MWCNTs 나노복합체들의 인장물성이 상승되었다. 결과적으로 나노충전제의 분산성 향상이 PU/MWCNTs 나노복합체의 인장물성 증가를 가져온 것을 확인하였다.

분산염료 분자구조에 따른 PET-PU blend의 염색성 (Dyeing properties of PET-PU according to molecular structure of disperse dye)

  • 박종호;이종렬;최연지;이주은;김성동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8년도 제38차 학술발표대회
    • /
    • pp.80-82
    • /
    • 2008
  • The distributions of 3 disperse dyes with different molecular structures among polyurethane (PU) and polyester (PET) in dyeing PET-PU blend and which dye structure contaminated less PU portion were studied. The amounts of dyes left substrates after reduction clearing and washing were measured to prove which dye structure had an effect on improving washing fastness. Disperse dye with high molecular weight showed similar distribution onto PU and polyester by dying both substrates with similar rate and less contamination to polyurethane while other dyes distributed to PU faster than to PET had.

  • PDF

유기화 점토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나노 복합재료 (Polyurethane Nanocomposites with Organoclay)

  • 안영욱;장진해;박연흠;박종민
    • 폴리머
    • /
    • 제26권3호
    • /
    • pp.381-388
    • /
    • 2002
  •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나노 복합재료의 열적 기계적 성질, 모폴로지, 그리고 기체 투과 정도를 유기화 점토의 함량에 따라 조사 후 비교하였다. 유기화 점토는 헥사데실아민-몬모릴로나이트($C_{16}$-MMT)를 사용하였으며, 매트릭스 고분자인 폴리우레탄에 대해 1-4 wt%로 각각 분산시키면서 물성을 조사하였다. 유기화 점토가 일정한 wt%에서 일부는 뭉쳤지만 대부분은 매트릭스 고분자에 고루 분산됨을 전자현미경으로부터 알 수 있었고, 열적 성질 및 기계적 성질은 분산도에 따라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기체 투과도는 유기화 점토 양의 증가에 따라 현저히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로부터, 소량의 유기화 점토 (<5 wt%)를 분산시킨 나노 복합재료는 순수한 폴리우레탄 보다 열적, 기계적 성질 및 기체 투과 방지에 좋은 효과가 있음을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