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saccharide-7

검색결과 365건 처리시간 0.02초

Lentinus edodes 액체배양을 통한 세포외 다당체 생산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from Liquid Culture of Lentinus edodes)

  • 이희환;조재열;홍억기
    • KSBB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1-6
    • /
    • 2007
  • Lentinus edodes의 액체배양을 통하여 균사체 및 polysaccharide의 최적 생산조건을 조사하였다. 플라스크 배양을 통하여 검토된 균체량 및 polysaccharede 생성을 위한 최적 배지의 조성은 glucose 60 g/L, yeast extract 10 g/L, $KH_2PO_4$ 2.0 g/L, $MgSO_4{\cdot}7H_2O$ 1.0 g/L이었다. 최대 균체량은 배양 10일째 11.01 g/L이었으며 최대 polysaccharide 생성량은 배양 6일째 1.64 g/L를 나타내었다.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회분배양에서 균사체와 polysaccharide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통기량을 조절하였다. 그 결과 통기량이 증가할수록 균체량과 polysaccharide의 생성량이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통기량을 1.5 vvm으로 하여 배양하였을 때 배양 8일째 55.9 g/L의 균체량과 배양 7일째 7.34 g/L의 polysaccharide로 최대생성량을 얻을 수 있었다.

Cytoprotective effect of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different mushrooms against 7-ketocholesterol induced damage in mouse liver cell line (BNL CL. 2)

  • Kim, Joo-Shin;Chung, Hau Yin;Na, Ke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권3호
    • /
    • pp.180-183
    • /
    • 2007
  • Cytoprotective ability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different edible mushrooms was investigated on the 7-ketocholesterol-induced damaged cell line. Polysaccharide extracts from six different edible mushrooms-Flammulina velutipes, Peurotus ostreatus, Lentinus edodes, Agrocybe aegerita, Agaricus blazei, and Cordyceps militaris- were prepared by hot water extraction and alcohol precipitation. Cytoprotective ability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viable cells of the normal embryonic liver cell line (BNL CL. 2) in the presence of 7-ketocholesterol. At $80\;{\mu}g/mL$ of 7-ketocholesterol, cytotoxicity was very high with a loss of 98% of viable cells after 20 h of incubation. With the addition of $200\;{\mu}g/mL$ of each polysaccharide isolate to the cell line containing $80\;{\mu}g/mL$ of 7-ketocholesterol, polysaccharide isolates from both Flammulina velutipes and Peurotus ostreatus could significantly inhibit the 7-ketochoelsterol-induced cytotoxicity in the cells. But other polysaccharide isolates were not effective in inhibiting cell damage caused by the oxLDL-induced cytotoxicity.

Effect of Glutamic Acid on Polysaccharide Production from Agaricus blazei in Liquid Culture

  • 황정민;임영수;권명상;최정우;한진수;홍억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31-23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담자균류의 일종인 Agaricus blazei를 이용한 polysaccharide의 생성을 증가시키고자 glutamic acid의 첨가시기의 영향을 비교${\cdot}$검토하였다. 그결과 2 g/L의 glutamic acid를 배양 4일째인 대수증식기에 첨가하여 polysaccharide 생성을 유도한 경우 배양 7일째에 12.9 g/L의 균체량과 9.1 g/L의 polysaccharide를 생성하였다. 그러나 이런한결과는 배양 초기에 glutamic acid를 첨가했을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균체량은 다소 증가 했으나 polysaccharide 생성량에 있어서는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회분배양에 있어서도 2 g/L의 glutamic acid를 대수증식기인 배양 4일째에 첨가한 경우 균체량은 13.5 g/L, polysaccharide 생성량은 9.9 g/L를 생산하여 배양결과 최대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 PDF

요로감염소아의 오줌에서 분리한 대장균 K1 다당류 항원의 동정 (Identification of K1 Polysaccharide Antigen of Escherichia coli Isolates from Urine Specimens of Urina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

  • 정희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16-419
    • /
    • 1998
  • Identification of escherchia coli K1 polysaccharide antigen isolated from urine specimens of urina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 were performed from of 1992 to 1993 in Kyoto, Japan. The serotypes of E. coli were categorized that O1:H7, O2:H6, O2:H7, O16:H6, O18:H7, O18:H ̄, and O135:H44 among 14 strains isolated from urine specimens of urina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 by the serological test. And, one strain (O18:H ̄, isolation rate: 7.1%) of E. coli K1 polysaccharide antigen among 14 strains were isolated from urine specimens of urina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 by the bacteriophage test.

  • PDF

인삼 사포닌과 다당류 혼합물의 활성화된 RAW264.7 세포주에 대한 염증조절 효과 (The Inflammation-modulatory Effects of Ginseng Saponin and Polysaccharide on Activated RAW264.7 Cell-line)

  • 이도익
    • 약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34-141
    • /
    • 2010
  • It is well known that the numbers and functions of immune-associated cells are increased by saponins and polysaccharides in ginseng. In this study, the mixture of polysaccharide and saponin (MPS) from Panax ginseng is applied to LPS- activated RAW 264.7 cells. The production of NO and the gene expression of IL-6 and TNF-$\alpha$ are decreased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and the expression of arginase II and PD-1L genes is decreased in LPS-untreated macrophages. Therefore, the mixture of saponin and polysaccharide from Panax ginseng could be used in order to regulate immune responses.

메탄올로부터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을 이용한 Poly-$\beta$-hydroxybutyrate와 다당류 Methylan의 최적 생산조건 (Optimal Production of Poly-$\beta$-hydroxybutyrate and Polysaccharide Methylan by Mentylobacterium organophilum from Methanol)

  • 김재연;김선원
    • KSBB Journal
    • /
    • 제10권2호
    • /
    • pp.176-182
    • /
    • 1995
  •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을 이용하여 다당류(메틸란)와 poly-${\beta}$-hydroxybutyrate(PHB)의 생산에 영향을 주는 환경 및 생리적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PHB 축적을 위하여는 $38^{\circ}C$, 다당류의 생산을 위하여는 $30^{\circ}C$가 최적이었다. pH의 경우는 P PHB의 축적은 pH 7 ~ 8, 다당류의 생산은 pH 6~7 이 최적이였다. 질소원 제한 상태하에서의 $Mo^{2+}, Mg^{2+} 또는 Mn^{2+}$ 등의 결핍조건에셔는 질소원만의 제한조건보다 P PHB 축적은 증가하였으나, 다당류 생산은 감소하였 다. 질소원의 제한없이 $K^+$만의 결핍조건에서는 균 체증식도 억제되었고 다당류도 생성되지 않았지만 건조균체당 PHB 함량은 60%까지 증가하였다. PHB와 다당류의 동시 생산을 위한 C/N 비율의 효 는 C/N 비율이 높을수록 질소원의 제한효과 때문에 균체증식은 감소되었지만 건조균체량당 PHB 함량과 다당류의 생성은 현저히 증가하였다.

  • PDF

그람음성 간균에 의한 다당류의 생산 (Polysaccharide Production by a Gram Negative Facultatively Anaerobic Rod)

  • Yoo, Jin-Young;Koo, Young-Jo;Shin, Dong-Hwa;Chung, Dong-Hy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8-104
    • /
    • 1988
  • 미생물 다당류중 viscosifier를 생산하는 세균을 분리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세균은 Enterobacter agglomerans로 동정되었으며, 다당류 생산을 위한 조건은 glucose 25 g/ι, peptone 2.0 g/$\ell$, yeast extract 0.5 g/$\ell$, KH$_2$PO$_4$1g/$\ell$, MgSO$_4$.7$H_2O$ 1g/$\ell$, CaCO$_3$2.5g/$\ell$, 3$0^{\circ}C$ pH 5.7이며 이 조건에서의 생산량은 8.41g/L 이었다. 본 다당류의 성분은 갈락토오스(1.0몰), 크실로오스(1.5몰), 글루코 노델타락톤(1.9몰) 및 리보오스(0.03몰)로 되어 있었다. 1% 용액의 점도는 60rpm에서 504mpa.s이며 고유 점도는 45.8 d$\ell$/g 이었다

  • PDF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n Mycelial Growth and Polysaccharide Produ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in Bioreactor

  • 최민구;김성수;홍억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149-15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담자균류의 일종인 Tricholoma matsutake의 균사체 생육과 polysaccharide 생산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5L jar fermentor에서 교반속도와 통기량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교반속도는 150 rpm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균체량은 배양 10일째 21.87 g/L, polysaccharide는 교반속도는 300 rpm에서 배양 8일째 8.86 g/L 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다. 통기량은 11일째 0.5 vvm에서 가장 좋은 균체량 20.85 g/L, polysaccharide는 1.5vvm에서 배양 11일째 8.83 g/L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해조 다당류 추출물의 항균성 및 항염증 기능성평가 (The Functional Effects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of Seaweed polysaccharide Extracts)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161-169
    • /
    • 2018
  • 본 연구는 해조 다당류 추출물을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항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해조 다당류 추출물로 부터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RAW 264.7 세포에서 항염증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해조 다당류 추출물을 Sprague-Dawley (SD) 흰쥐의 등쪽 피부에 적용하여 단회투여독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해조 다당류 추출물은 피부섬유 아세포에서 최대 $1,000{\mu}g/mL$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1 % 해조 다당류 추출물로 처리되었을 때, $1.52{\pm}0.34cm$로 생육저해환이 형성되어 S. aureus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해조 다당류 추출물을 RAW 264.7 세포에 처리하면 농도 의존적으로 산화 질소 (NO)의 생성이 감소하고 인터루킨 1 베타 ($IL1{\beta}$), 종양 괴사 인자 알파 ($TNF{\alpha}$)와 같은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증가하였으며,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가 감소 하였다. 해조 다당류 추출물을 여러 농도로 흰쥐에 투여했을 때 증상은 14 일 이상 변하지 않았으며 췌장이나 장기 무게에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해조 다당류 추출물이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항균 및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 균사체내외 다당체의 면역활성효과 (Immune Enhancing Effects of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Mycelial Cultivate of Agaricus blazei Murill)

  • 김무성;조홍범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92-297
    • /
    • 2007
  •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의 액체 배양으로 다당체의 균사체외 분비를 유도하였으며, 버섯 균사체의 새포내 다당체와 세포외 분비 다당체의 면역증진활성을 in vitro 시험으로 비교하였다. 부분 정제된 세포내 다당체와 세포외 다당체의 총당 함량은 각각 85.6%와 95.3%였으며, ${\beta}$-glucan 함량은 각각 67.9%와 88.1%로 측정되었다. 면역활성 실험에는 시료의 닥 함량을 동일하게 맞추어 사용하였다. In vitro에서 균사체내외 다당체는 대식세포 주인 RAW 264.7을 활성화시켜 nitric oxide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각각 최대 53.9%, 53.1%의 비슷한 증가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균사채내외 다당체는 모두 RAW 264.7을 활성화시켜 염중성 cytokine류인 interleukin (IL)-$1{\beta}$, IL-6,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의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이때 3종의 cytokine 모두에서, 세포내 다당체에 비해 세포외 다당체를 처리했을때 저농도에서 높은 증가률을 나타내었다. 두 다당체는 in vitro 상에서 비장세포를 증식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세포내 다당체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식효과를 보인데 반해 세포외 다당체는 저농도에서 증식이 높았고, $250\;{\mu}g/ml$ 농도 이상에서는 더 높아지지 않았다. 두 다당체 모두 암세포인 B16F0 melanoma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독성 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신령버섯 균사체 배양으로 생성된 세포내외 다당체는 in vitro에서 모두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그 활성은 세포내 다당체보다 세포외 다당체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