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saccharide

검색결과 1,289건 처리시간 0.045초

막걸리에서 분리한 다당의 면역자극 활성에 미치는 효과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Makgeolli)

  • 조장원;이영경;이영철;김영찬;신광순;남소현;홍희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38-24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자연면역계를 구성하고 있는 보체계 및 macrophage에 대한 면역자극활성을 측정하였다. 열수추출한 뒤 ethanol 침전을 통하여 조다당을 추출한 후 특성을 검토한 결과, 막걸리 조 다당체(RWW)의 neutral sugar 함량은 87.3%, uronic acid 함량은 2.5%, protein 함량은 10.2%이었다. RWW는 인체 초기 면역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보체계에 대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마우스 RAW 264.7 macrophage에서 세포증식 및 면역유도 cytokine 분비활성을 나타내었다. RWW를 1, 10, $100{\mu}g/mL$ 농도로 macrophage에 처리하여 면역자극을 유도한 결과 모든 처리 농도에서 IL-6, IL-12, TNF-${\alpha}$의 분비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막걸리 유래 다당체는 자연면역계를 구성하고 있는 보체계와 macrophage의 활성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RWW를 통해 cytokine 분비를 유도, 조절함으로써 체내 면역기능을 증강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Y 정수장 세라믹막 여과공정 최적 운영인자 평가 (The Study on Optimum Operation Conditions of Ceramic MF Membrane Process in Y Water Treatment Plant)

  • 유상준;안효원;박성한;임재림;홍성철;이병인
    • 멤브레인
    • /
    • 제24권3호
    • /
    • pp.201-212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도입된 Y 정수장의 세라믹막 고도정수처리를 위한 최적 운영 인자를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경제성과 수질조건을 만족하면서도 세라믹막 여과성능을 지속 유지할 수 있는 최적 운영조건을 도출한 결과, Y 정수장의 평상시 수질 조건에서 막역세척으로 인한 배출수 발생량을 최소화시키면서도 막여과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 여과지속시간(역세척 주기)은 시설용량($16,000m^3$/일) 기준 시 4.0시간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화학세척(CIP)에 따른 막차압 회복력을 조사한 결과, 구연산을 이용한 산세정을 통하여 철, 망간, 알루미늄 등의 막 파울링을 일으키는 무기오염물질은 제거되지만 막회복률은 낮았다. 반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사용한 알칼리 세정을 통해서는 막 운영 초기 막차압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막차압을 발생시키는 파울링 주요 원인물질은 친수성 고분자 유기오염물인 polysaccharides로 조사되었으며, 화학세척(CIP)시 막성능 회복률은 세척약품 온도에 의한 영향이 매우 크며, 온도가 높은수록 막성능 회복률이 향상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효소적 가수분해에 의한 갈조류 바이오 에탄올 생산 (Production of Bio-ethanol from Brown algae by Enzymic Hydrolysis)

  • 이성목;최인순;김성구;이재화
    • KSBB Journal
    • /
    • 제24권5호
    • /
    • pp.483-488
    • /
    • 2009
  • 본 연구는 갈조류인 다시마, 모자반, 톳을 효소적 방법으로 가수분해하여 이를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생산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수분해 효소 분리 및 바이오 에탄올 생산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효소는 해수 및 채취한 갈조류 시료에서 분리하였으며, 갈조류의 주요 다당류인 alginate와 laminaran에 대한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다시마, 모자반, 톳에 대한 직접적인 갈조류 가수분해 효과를 확인 하였다. 조효소에 의한 가수분해는 alginate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으며, laminaran에서도 일부 활성을 보였다. 갈조류의 전처리에서 환원당의 생성은 외분비 효소와 전체 조효소에서 크게 차이가 없었으며, 기질로는 다시마에서 최대 1.90 g/L로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모자반과 톳에서의 가수분해가 12 h 안에 완료되는 것에 비해 다시마는 72 h 동안 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났다. 에탄올 발효는 환원당 생성량과는 무관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전처리 방법에 따라 갈조류 다당류의 가수분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또한 전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갈조류 에탄올 발효에서 기질로 다시마를 이용했을 때 에탄올 생산 수율이 가장 높았다. 다시마를 이용한 발효에서는 발효균주 및 효소처리에 따른 에탄올 생산량이 대략 0.90 g/L로 유사하게 나왔다. 모자반에서의 에탄올 생산은 발효균주를 Saccharomyces cerevisiae로 하였을 때 최대 0.14 g/L로 확인 되었으며, 톳에서는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한 발효에서 에탄올생산이 전혀 확인되지 않았으며, Pachysolen tannophilus 에서만 0.09 g/L의 에탄올 생산이 생산되었다.

Cisplatin의 신장독성에 대한 영지추출물 복합제제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Ganopoly and Ganopoly/C+ on nephrotoxicity induced by cisplatin in rats)

  • 김대근;김근중;주성민;김용익;최호승;금경수;김원신;고익괴;전병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16-325
    • /
    • 2003
  • In this paper, the effect of Ganopoly(extracts of Ganoderma lucidum) and Ganopoly/C+(70% Ganopoly + 30% chitosan) on cisplastin-induced nephrotoxicity was investigated in Sprague-Dawley rats. A single dose of cisplastin(5 ㎎/㎏) kg)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after pretreatment of saline, Ganopoly and Ganopoly/C+ for 7 days. The nephrotoxicity and renal function were manifestated by the changes of body weight, blood pressure, biochemical changes and solute in urine and plasma. After the treatment of CDDP(cis-dichlorodiamineplatinum), a significant elevation of kidney weight, serum urea, cretinine, urine volume for 24 hours, urine magnesium, and a severe or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blood pressure, creatinine clearance, urine osmolarity, serum albumin, etc. The nephrotoxicity was further confirmed by a significant decrease in glutathione S-transferase(GSH) in urine and kidney homogenate, GSH, glutathione peroxidase(GSH-Px) and catalase in kidney tissue. And also the lipid peroxid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kidney homogenate. These signs of nephrotoxicity was ameliorated by the pretreatment and consecutive administration of Ganopoly and Ganopoly/C+ for 14 days after the Lp. injection of CDDP on 7th day after pretreatment of Ganopoly and Ganopoly/C+. The amelioration of nephrotoxicity was evidenced by significant reduction in serum urea and creatinine concentration, and improvement of other index of renal function. And The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were partially recovered in kidney tissue of rats treated by CDDP and the administration of Ganopoly and Ganopoly/C+. These results indicate the cispastin induced nephrotoxicity is due to an impairment of tubular reabsorption systems enhanced by necrosis of proximal tubule, and the Ganopoly and Ganopoly/C+ has a partial protective effect on nephrotoxicity induced by CDDP. The polysacchride of Ganoderma lucidum may improve the therapeutic index of nephrotoxicity induced by CDDP. However, it is needed to elucidate the mechanism for confirming the therapeutic effect.

Bacillus subtilis을 이용한 Pasteurella haemolytica A1 leukotoxin 유전자의 cloning 및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the Pasteurella haemolytica A1 leukotoxin Gene in Bacillus subtilis)

  • 유한상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665-680
    • /
    • 1996
  • Bovine Pneumonic Pasteurellosis는 수송열(輸送熱)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질병으로서, 여러가지 요인의 복합적(複合的)인 작용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Pasteurella haemolytica A1이 가장 주요(主要)한 인자(因子)로 밝혀져 있다. P haemolytica A1은 leukotoxin(LKT), lipopolysaccharide(LPS), capsular polysaccharide 등 여러가지의 병원성인자(病原性因子)을 생성한다. 이들 인자중 LKT가 가장 중요한 병원성인자로 밝혀져 있다. 이에 본 실험은 P haemolytical A1의 LKT 유전자를 Bacillus subtilis에서 발현(發現)시킴으로서 LPS에 오염(汚染)되지 않은 LKT을 대량으로 생산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실험의 첫 단계(段階)로서 pLKT52 plasmid을 Sau3 A1의 제한효소을 이용하여 부분소화(部分消化)시킨 후 이 부분 소화(消化)된 유전자들로부터 3~5kb 크기의 유전자들을 순수분리하여 pUC18와 결합시킨 후 E coli NM522에 형질전환(形質轉換)시켰다. 이때 형질전환된 균주들은 LKT에 대한 단크론 항체인 MAb601을 이용하여 colony blot 법에 의해서 LKT 유전자 보유 및 발현여부(發現與否)을 조사하였다. 이들 양성 clone들은 제한효소분석(制限酵素分析), 염기서열분석(鹽基序列分析) 및 Western blot 등에 의해서 재확인(再確認)하였다. 총 9개의 양성 clone중 위의 방법에 의해서 한 clone을 선택(選擇)하여 lktCA insert를 재분리하여 shuttle vector에 subcloning 하였다. Subcloning된 LKT 유전자들은 shuttle vector의 종류(種類)(pHPS9, p602/20, pHPS9-Sac)와 각기(各其) 다른 종류(種類)의 B subtilis(spoO12A, BR121, WB3O, Raj1105) 숙주내(宿主內)에서 발현정도를 Western blot 법에 의해서 비교(比較)하였다. 이때 최적발현조건(最適發現條件)은 p602/20와 pBL1의 dual plasmid system을 이용하여 B subtilis spoO12A에서 2시간동안 IPTG로 발현을 유도(誘導)하는 것이었다. B subtilis에서 발현된 LKT을 visual 법과 neutral red uptake 법을 이용하여 소 폐포(肺胞) 대식구(大食求)에 대한 biological activity를 확인하였다. 발현된 LKT에 대한 LPS 오염은 LKT을 SDS-PAGE 후 silver stain에 의해서 확인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서 볼 때에 lktCA 유전자를 보유(保有)하고 있는 p602/20는 B subtilis에서 매우 불안정(不安定)하였고, 발현된 LKT는 세균자체(細菌自體)에서 생성되는 protease들에 의해서 파괴(破壞)됨으로서 농도(濃度)가 매우 낮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다음 단계(段階)의 실험에서 해결되어야할 문제들이다.

  • PDF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수용성 다당류의 구조분석 (Structure Analysis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The Unripe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 김석주;이경태;유원재;이성숙;김용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740-746
    • /
    • 2014
  • 꾸지뽕나무 미숙과를 50% 발효주정으로 추출하고, 농축한 추출용액을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로 순차적으로 분액하여 수용성 조추출물을 얻었다. 수용성 조추출물을 분취용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실시하여 다당류(F1)를 분리하였다. F1을 가수분해하여 단당 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glucose, galactose, arabinose, xylose 등 4가지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 조성비는 6.1 : 1.8 : 3.1 : 1.0이었다. F1에 acetyl 기의 치환여부와 uronic acid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FT-IR로 측정하고 염산 가수분해 한 다음 HPLC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가지 모두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합 위치 확인을 위해 permethylation, 산 가수분해, 환원, silylation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얻은 partially methylated alditol silylate (PMAS)들을 GC-MS 분석을 실시한 결과, 1,5-di-O-trimethylsilyl-2,3,4-tri-O-methyl xylose, 1,5-di-O-trimethylsily-2,3,4-tri-O-methyl arabinose, 1,4,5-tri-O-trimethylsily-2,3-di-O-methy arabinose, 1,3,5-tri-O-trimethylsily-2,4,6-tri-O-methyl glucose, 1,4,5-tri-O-trimethylsily-2,3,6-tri-O-methyl galactose, 1,4,5-tri-O-trimethylsily-2,3,6-tri-O-methyl glucose, 1,3,5,6-tetra-O-trimethylsily-2,4-di-O-methyl galactose, 1,3,5,6-tetra-O-trimethylsily-2,4-di-O-methyl glucose로 구성되어 있었고 그 조성비는 1.1 : 1.0 : 4.9 : 7.5 : 3.0 : 3.1 : 1.4 : 1.5였다.

품종 별 인삼 씨의 이화학적 성분 비교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Ginseng Seeds)

  • 김희정;유경미;이슬;김경탁;황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74-278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인삼 씨의 식품 유용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국 인삼 씨의 무게, 일반성분, 무기질, 지방산 조성, 총 당, 산성다당체 함량을 비교해보았다. 먼저 인삼 씨의 백립중은 AGS가 $4.21{\pm}0.31g$으로 가장 무거웠다. 일반성분의 경우 조단백질 함량은 AGS가 $17.00{\pm}1.04%$로 가장 높았고, 조회분 함량은 KGS3가 $8.65{\pm}0.31%$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 무기질이 풍부한 식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저연근의 인삼일수록 무기성분이 많았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조지방 함량은 AGS가 $24.06{\pm}0.57%$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조섬유소 함량은 43.21-47.49%로 전체 씨의 절반 정도가 섬유소로 이루어진 섬유질이 매우 풍부한 식품 자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기질은 칼륨과 인이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은 96% 이상이 불포화 지방산으로, oleic acid (C18:1, n9c)가 79.93-87.0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linoleic acid (C18:2, n6c)가 8.94-15.82%로 다음으로 많은 함량을 보였다. 품종이 다른 AGS는 유의적으로 oleic acid와 linoleic acid 조성에 차이가 났고, linolenic acid가 전혀 검출되지 않아 품종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총 당 함량은 15.00-26.17 mg glucose/g으로 인삼에 비해서는 적었지만, 다른 씨와 비교했을 때 매우 높은 수치로 비교적 당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씨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삼 산성다당체는 0.56-0.80 mg ${\beta}$-D-galacturonic acid/g을 함유해 소량이지만 최근 유효성분으로 알려진 인삼 산성다당체를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쇠무릎 에탄올 추출물의 DPPH, 히알루로니다아제 및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효과 (Evaluation of Achyranthes japonica Ethanol Extraction on the Inhibition Effect of Hyluronidase and Lipoxygenase)

  • 조경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2호
    • /
    • pp.1370-1376
    • /
    • 2015
  • 우슬(牛膝)은 비름과(Amaranthaceae)의 쇠무릎(Achyranthes japonica)의 뿌리를 약용으로 한방에서 사용하고 있다. 1, 1- diphenyl 2-picrylhyorazyl (DPPH)은 잘 알려진 자유 라디칼이다. Hyaluronidase (HAase)은 결합조직의 세포외성 기질에서 히알루론산분해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Lipoxygenases (LOX)은 지방산 대사와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쇠무릎에서 이 세 작용을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생육 발달 단계(어린 영양기관과 성숙한 영양기관)에 대해 이들 추출물의 활성을 비교 조사하였으며 각 항목에 대해 50% 저해(IC50)의 농도를 산출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잎과 줄기, 뿌리 모두에서 탁월되었다. 특히 히알루로니다아제의 저해작용이 현저하였으며 향후 어떤 화합물인지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DPPH에 대한 항산화 활성과 LOX에 대한 저해작용은 기존 연구자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어린 식물조직과 성숙한 식물조직에서 추출한 발달 단계에 따른 이들 세 가지 활성에서 어린 뿌리보다 성숙한 뿌리에서 약간 더 우수한 작용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hellinus baumii으로부터 세포외 다당체 생산의 최적화 (Optimal Conditions of Mycelial Growth and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in Submerged Culture of Phellinus baumii)

  • Hwang, Hye-Jin;Kim, Sang-Woo;Yun, Jong-Won;Park, Jang-Won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1-56
    • /
    • 2004
  •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의 균사체 성장 및 세포외 다당체(exopolysaccharides) 생산을 위한 액체배양의 최적 배지 및 배양조건에 관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최적배양 온도와 초기 pH는 각각 3$0^{\circ}C$와 5.0으로 결정되었다. 탄소원의 경우, cellobiose와 maltose가 균사체 성장에는 양호하였으나 저조한 세포외 다당체 생산을 보였으며, 반면에 fructose 와 mannitol 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율의 세포외 다당체 생산과 균사체 성장 또한 양호하였다. 최적 질소원으로는 yeast extract가 균사체 성장뿐만 아니라 세포외 다당체 생산에 효과적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최적 배지의 조성은 fructose 20 g/L, yeast extract 20 g/L 및 $CaCl_2$ 0.55 g/L이었으며, 최적 배양조건 하에서 5-L 교반 발효조를 운전한 결과, 최대 균사체 성장(17.43 g/L)과 최대 세포외 다당체 생산(3.6 g/L)을 얻을 수 있었다. 회수된 세포외 다당체는 glycoprotein이었으며 그 조성은 amino acid분석 결과 주로 arginine (14.1%)과 glycin (12.0%)이었으며, cabohydrate의 경우는 mannose (48.7%)와 arabinose (38.4%)이 주성분이었다.

매생이 열수추출물의 면역 및 항암 활성 (Immunostimulating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Capsosiphon fulvescens)

  • 박희연;임치원;김연계;윤호동;이가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4호
    • /
    • pp.343-34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매생이 열수추출물의 항암 및 면역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적정 추출 및 정제조건, 당 조성, 암세포독성, sarcoma-180 성장저지 효과, 백혈구수 변화, 보체계 활성, 장관 면역 활성, 경구독성 등을 검토하였다. 매생이 보체계 활성물질은 $100^{\circ}C$의 물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4배량의 주정으로 24시간 침전시킨 다음 투석 및 한외여과하여 분자량 300kDa 이상의 고분자 물질을 분리정제 하였으며 당 조성은 xylose 19.01%, fucose 15.29%, mannose 4.23%, galactose 7.92%로 나타났다. In vitro에서 매생이 보체계 활성물질의 인체 암세포에 대한 독성은 고농도($10-30{\mu}g/ml$)에서만 경미하게 나타났으며, in vivo시험에서는 매생이 추출물의 투여로 마우스 고형암의 성장이 대조군에 비하여 40.13-59.42%가 저해되었다. 그러나 수명 연장율은 실험군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정제한 매생이 추출물을 마우스의 복강에 투여한 결과, 혈중 백혈구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20mg/kg 투여군 39%, 50mg/kg 투여군 70%, 100mg/kg 투여군 83%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면역과 관련이 있는 간장, 비장, 흉선의 중량이 증가하였다. 매생이 추출물을 마우스에 경구투여하고 분변으로 배출되는 IgA 항체의 양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이 $2,092{\pm}123.0{\mu}g/mg$인 데에 비하여 매생이 추출물 투여군은 $2,454{\pm}113.8-2,670{\pm}133.1{\mu}g/mg$로 높게 나타났다. 매생이로부터 추출한 면역증강물질은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을 측정한 결과, 체중 1kg당 2,000mg 투여 시 까지도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인체에도 무해할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