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olic compound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6초

복분자 딸기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 차환수;박민선;박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09-415
    • /
    • 2001
  • 복분자딸기 열매의 미숙과와 완숙과 그리고 잎을 사용하여 추출방법에 따른 생리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용매에 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전체적으로 복분자딸기의 잎에서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75% 아세톤으로 추출한 경우 잎에서 건물기준으로 100 g당 11.38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복분자딸기의 전자공여능은 추출 용매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미숙과가 완숙과나 잎에 비하여 90%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복분자딸기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pH 1.2, 4.2, 6.0의 조건으로 조사한 결과 pH 1.2일 때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pH 1.2의 조건에서 미숙과의 아질산염 소거율은 80% 메탄올 추출물이 63.24%, 75% 아세톤 추출물은 60.56%로 완숙과나 잎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열수 추출물에서는 잎이 49.83%로 미숙과와 잎에 비하여 높은 아질산염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복분자딸기의 SOD유사활성은 완숙과가 미숙과나 잎에 비하여 모든 추출조건에서 높은 SOD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복분자딸기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E. coli, S. typhimurium, B. cereus, S. aureus를 시험균주로 하여 agar diffusion test를 실시한 결과 모든 추출물이 B. cereus에서만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퉁퉁마디의 아미노산함량과 항산화 활성 (The Amino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 김해섭;박정욱;이영재;신궁원;박인배;조영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27-434
    • /
    • 2009
  • 퉁퉁마디를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하기 위한 자료로 전남지역(해남 황산면, 신안 증도면, 영광 염산면)의 퉁퉁마디를 6월부터 10월까지 채취하여 구성아미노산, 유리아미노산, 폴리페놀함량,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3지역 퉁퉁마디의 구성아미노산은 6월부터 9월까지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순으로, 10월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순으로 많은 함량을 나타났다. 구성아미노산 총함량은 해남지역의 경우, $3,338.75{\sim}4,491.63\;mg$/100 g를, 신안지역의 경우, $3,086.48{\sim}3,782.89\;mg$/100 g를, 영광지역의 경우, $3,134.3{\sim}4,364.17\;mg$/100 g를 함유하였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전체적으로 6월부터 9월까지 Proline이 가장 많았으며, 초기성숙 6월에 높았다가 성숙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유리아미노산 총함량은 해남지역의 경우, $472.75{\sim}1,080.98\;mg$/100 g를, 신안지역의 경우, $440.46{\sim}621.77\;mg$/100 g를, 영광지역의 경우, $387.64{\sim}669.28\;mg$/100 g를 함유하였다. 폴리페놀함량을 분석 결과, 8월까지 함량이 높았다가 퉁퉁마디가 붉어지는 10월에 가장 낮아졌으며 영광지역이 대체로 높았으며 해남지역은 $11.1{\sim}15.61\;mg/g$, 신안지역은 $12.71{\sim}21.03\;mg/g$, 영광지역은 $13.13{\sim}22.28\;mg/g$을 나타냈다. 전자공여능 분석한 결과, 신안지역이 좀더 높았고 전반적으로 8월이후 높게 나오는 경향을 보였는데 해남지역은 $53.8{\sim}70.9%$, 신안지역은 $62.7{\sim}88.8%$, 영광지역은 $63.0{\sim}72.7%$ 범위를 나타내었다. 퉁퉁마디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해남지역 $28.7{\sim}41.0%$, 신안지역 $28.5{\sim}36.5%$, 영광지역 $23.5{\sim}39.6%$로 모두 7월에 가장 낮았고 10월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Silibinin Inhibits Osteoclast Differentiation Mediated by TNF Family Members

  • Kim, Jung Ha;Kim, Kabsun;Jin, Hye Mi;Song, Insun;Youn, Bang Ung;Lee, Junwon;Kim, Nacks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8권3호
    • /
    • pp.201-207
    • /
    • 2009
  • Silibinin is a polyphenolic flavonoid compound isolated from milk thistle (Silybum marianum), with known hepatoprotective, anticarcinogenic, and antioxidant effects. Herein, we show that silibinin inhibits receptor activator of $NF-{\kappa}B$ ligand (RANKL)-induced osteoclastogenesis from RAW264.7 cells as well as from bone marrow-derived monocyte/macrophage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Silibinin has no effect on the expression of RANKL or the soluble RANKL decoy receptor osteoprotegerin (OPG) in osteoblasts. However, we demonstrate that silibinin can block the activation of $NF-{\kappa}B$, c-Jun N-terminal kinase (JNK),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MAP) kinase,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in osteoclast precursors in response to RANKL. Furthermore, silibinin attenuates the induction of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s (NFAT) c1 and osteoclast-associated receptor (OSCAR) expression during RANKL-induced osteoclastogenesis. We demonstrate that silibinin can inhibit $TNF-{\alpha}$-induced osteoclastogenesis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NFATc1 and OSCAR.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silibinin has the potential to inhibit osteoclast formation by attenuating the downstream signaling cascades associated with RANKL and $TNF-{\alpha}$.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수용성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혈전 용해활성 (Fibrinolytic Activity and Chemical Properties of Cordycepin-Enriched Cordyceps militaris JLM 0636)

  • 안희영;이재홍;강민정;차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6-231
    • /
    • 2012
  •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JLM0636, $CM{\alpha}$)와 일반 번데기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CM)의 생리활성 물질 및 영양성분 분석과 혈전 용해 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Total polyphenol compound, flavonoids 및 glutathione 함량은 CM 보다 $CM{\alpha}$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CM 및 $CM{\alpha}$의 주요 미네랄 구성 성분으로는 K, Ca, Mg, Na이고, 주요 지방산 조성은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으로 나타났다. 혈전 용해 활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CM{\alpha}$이 CM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 $CM{\alpha}$의 생리활성물질과 혈전 용해 활성을 이용한 제품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레스베라트롤에 의한 인간 암세포주, A549와 SKOV3의 p53의존적 Apoptosis 유발 (Induction of p53-dependent Apoptosis by Resveratrol in Human Cancer Cells, A549 and SKOV3)

  • 이슬기;남주옥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4-200
    • /
    • 2016
  • Resveratrol은 포도, 오디, 땅콩과 같은 많은 과일과 채소에 존재하는 폴리페놀 화합물로써 다양한 생물학적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되어있다. 그러나, resveratrol이 A549 폐암세포에서 유도하는 apoptosis에 관여하는 분자적 기전 및 anoikis에 관해서는 명백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정상적인 p53 유전자를 갖는 A549 세포에서 resveratrol의 효과를 조사하고, p53 유전자가 결실된 SKOV3 난소암 세포와 그 효과를 비교했다. Resveratrol은 확실하게 SKOV3 세포에 비해 농도, 시간의존적으로 A549 세포의 생존과 증식을 억제했다. 또한 resveratrol은 A549 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했지만 세포의 anoikis 저항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더불어, p53 유전자 기능이 불완전 소실된(knock-down) A549 세포의 생존과 증식은 resveratrol에 의해 변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resveratrol의 항암 효과가 기능을 하는 p53 유전자의 존재에 의존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resveratrol이 p53 유전자에 의존적으로 A549 세포에 대해 항암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입증했다.

압출성형 백삼추출물의 화학적 조성 및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from a Extruded White Ginseng)

  • 손현정;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946-950
    • /
    • 2009
  • 본 연구는 압출성형 공정을 통한 인삼 시료의 성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을 20%로 고정시키고, 배럴온도는 100, $140^{\ciirc}C$로 변화시켜 압출성형백삼을 제조하였다. 백삼, 홍삼, 압출성형백삼의 일반성분 실험에서는 압출성형 공정을 통한 성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없었다. 항산화활성 측정 결과 산성다당체 함량은 홍삼이 62.94 mg/mL로 높게 측정되었고 총 폴리페놀함량과 DPPH 측정에서는 $140^{\circ}C$ 압출성형백삼이 각각 14.99 mg/g, 80.21%로 높게 측정되어 압출성형 공정을 통한 항산화 물질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140^{\circ}C$ 압출성형백삼의 조성 분석을 위하여 BuOH 분획을 실시한 결과 총페놀성 화합물과 산성다당체 측정 결과가 각각 27.2 mg/g, 217.6 mg/mL로 측정되었으며 HPLC를 통해 알아본 사포닌 조성은 $140^{\circ}C$ 압출성형백삼에서 모든 성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홍삼의 특유성분인 Rg3s, Rg3r의 증가로 압출성형 공정을 통한 백삼의 홍삼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sveratrol의 항산화 및 산화촉진 활성이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 (Modulation of Cytotoxic Effects of Resveratrol by Its Anti- or Pro-oxidant Properties)

  • 김다람;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14-11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된 폴리페놀 화합물인 resveratrol의 항산화 활성과 산화촉진 작용을 세포 내에 조성될 수 있는 여러 pH 조건에서 시간별로 분석하고, resveratrol의 세포독성에 미치는 antioxidant들의 작용을 조사하였다. Resveratrol을 pH 6.5에서 저장하였을 경우 pH 7.4에서 저장하였을 때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Resveratrol을 pH 8.0에서 저장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오히려 다른 조건에서 보다 현저히 많은 $H_2O_2$를 생성하는 산화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Resveratrol의 HeLa 세포에 대한 독성은 SOD, NAC, glutathione, ascorbic acid 등과 같은 antioxidant 존재하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독성의 강화는 첨가된 antioxidant 의 농도에는 크게 영향 받지 않았다. 본 결과는 resveratrol이 세포 내 pH 환경에 따라 antioxidant 또는 $H_2O_2$와 같은 활성산소종을 생성하는 prooxidant로 작용할 수 있으며, resveratrol로부터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의 제거가 세포독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Effects of Bioactive Compound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Extra Virgin Olive Oil Varieties

  • Lee, Ok-Hwan;Kim, Young-Cheul;Kim, Kui-Jin;Kim, Young-Chan;Lee, Boo-Y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415-420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various bioactive components of five olive oil varieties, as well as to assess their contribution to the oxidative stability of the oils. Fatty acids, ${\alpha}$-tocopherol, ${\beta}$-carotene, total flavonoids, total phenols, and certain phenolic compounds of extra virgin olive oils (EVOO; blended, arbequina, hojiblanca, and picual) and pure olive oil (POO) were examined. Oxidation stability was evaluated by the peroxide value (POV). The total content of all the studied antioxidant compound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VOOs than the POO (p<0.05). Among the EVOOs, picual had the highest levels of ${\alpha}$-tocopherol ($10.18{\pm}0.40\;mg/100\;g$), ${\beta}$-carotene ($557{\pm}8\;{\mu}g/100\;g$), and total phenols ($110.7{\pm}1.3\;mg/g$), which correlated strongly with antioxidative capacity. Furthermore, the lowest POV occurred in picual EVOO and correlated with the highest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C16:1 and C18:1) and lowest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C18:2 and C18:3) compositions, suggesting the ratio of MUFA to PUFA is a critical parameter for the oxidative stability of olive oil.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oxidative stability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EVOO depends not only on the antioxidant vitamins, but also on the amount of phenolic compounds and fatty acid profile of the oil.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Anthocyanins Isolated from the Fruit of Vitis coignetiae Pulliat is Associated with the Activation of AMPK Signaling Pathway

  • Han, Min Ho;Kim, Hong Jae;Jeong, Jin-Woo;Park, Cheol;Kim, Byung Woo;Choi, Yung Hyu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4권1호
    • /
    • pp.13-21
    • /
    • 2018
  • Anthocyanins are naturally occurring water-soluble polyphenolic pigments in plants that have been shown to protect against cardiovascular diseases, and certain cancers, as well as other chronic human disorders. However, the anti-obesity effects of anthocyanins are not ful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thocyanins isolated from the fruit of Vitis coignetiae Pulliat on the adipogenesis of 3T3-L1 preadipocytes. Our data indicated that anthocyanins attenuated the terminal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as confirmed by a decrease in the number of lipid droplets, lipid content, and triglyceride production. During this process, anthocyanins effectively enhanced the activation of the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however, this phenomenon was inhibited by the co-treatment of compound C, an inhibitor of AMPK. Anthocyanins also inhibited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 and b,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In addition, anthocyanins were found to potently inhibit the expression of adipocyte-specific genes, including adipocyte fatty acid-binding protein, leptin, and fatty acid syntha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thocyanins have potent anti-obesity effects due to the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and thus may have applications as a potential source for an anti-obesity functional food agent.

Induction of Apoptosis and Autophagy by Resveratrol via Activation of AMPK Pathway in 5-Fluorouracil-Resistant Colon Cancer Cells

  • Lee, Seung Young;Jung, Ji Young;Choi, Hee Won;Choi, Kyung Min;Jeong, Jin-Woo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1-101
    • /
    • 2018
  • Resveratrol is a polyphenolic compound, which is a naturally occurring phytochemical and is found in a variety of plants, including food such as grapes, berries and peanuts.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resveratrol possesses anti-cancer activity against various types of human cancer, the molecular mechanisms of resveratrol-mediated overcome drug resistance potential are unclear. In this study, we determined whether resveratrol attenuates drug resistance responses in 5-fluorouracil-resistant colon cancer (SNUC5/5-FUR) cells. Treatment with resveratrol significantly enhanced apoptosi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modulation of anti- and/or pro-apoptotic protein expression, activation of caspases and activ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Resveratrol treatment also increased the induction of autophagy through up-regulation of autophagy-related genes such as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A/1B-light chain 3, P62 and beclin-1. However, blocking of autophagy by bafilomycin A1 reduced apoptotic cell death, suggesting that resveratrol-induced autophagy functions as a cell death mechanism in SNUC5/5-FU cells. Although th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sveratrol may have therapeutic potential to overcome drug resistance in colon cancer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