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ol flavonoid

검색결과 996건 처리시간 0.037초

고온고압처리에 따른 마늘(Allium sativum L.)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 권오찬;우관식;김태명;김대중;홍진태;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31-336
    • /
    • 2006
  • 고온고압처리 조건에 따른 마늘의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와 유용성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온고압처리온도(110, 120, 130, 140 및 $150^{\circ}C$)와 시간(1, 2, 3, 4 및 5 시간)을 변수로 처리한 후 DPPH assay에 항산화활성$(IC_{50})$,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5-HMF를 측정하였고 이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마늘은 항산화활성$(IC_{50})$은 고온고압처리 온도와 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50^{\circ}C$, 4시간 처리구에서 1.95 mg/g으로 가장 낮아 생마늘에 비해 약 50배 이상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고온고압처리 온도와 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40^{\circ}C$, 2시간에서 $18.16{\pm}0.51\;mg/g$으로 생마늘에 비해 약 7배정도 증가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고온고압처리 온도와 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50^{\circ}C$, 1시간에서 $532.73{\pm}18.79\;{\mu}g/g$으로 생마늘보다 약 16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5-HMF 함량은 110 및 $120^{\circ}C$에서는 변화가 작았지만 $130^{\circ}C$에서는 고온고압처리 시간의 증가에 따라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150^{\circ}C$, 2시간에서 $7,765.9{\pm}359.6\;ppm$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통계분석 결과 고온고압처리온도와 시간이 항산화성,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5-HMF 함량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며(p<0.001), 처리 시간보다 온도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성,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5-HMF 함량 간의 상관관계도 높게 나타났다(p<0.01).

운지버섯(Coriolus versicolor) 자실체 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 연구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riolus versicolor Fruit Body Crude Extracts)

  • 최병용;이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15-422
    • /
    • 2016
  • 본 연구는 운지버섯 자실체의 열수추출물(HE)과 메탄올 추출물(ME)의 총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과 일부 생리활성을 2015년 3월부터 2016년 2월에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HE의 총 polyphenol 함량(129.60 mg/dl)은 ME함량(43.80 mg/dl)보다 85,8 mg/dl가 더 높았으며, 열수에서 추출이 더 높았다. HE의 총 flavonoid 함량(30.50 mg/dl)은 ME함량(20.90 mg/dl)보다 9.5 mg/dl가 더 높았다. DPPH의소거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41.03%가, M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16.36%로 더 높았으며, Tyrosinase저해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8.29%, ME 3 mg/ml에서는 10.32%가 더 높았고, Elastase 저해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3.12%가, ME에서는 21.53%가 더 높았다. Collagenase저해활성은 HE 1 mg/ml에 비해서 3 mg/ml에서는 5.44%가, ME에서는 4.07%로 더 높았다. 상기 효소활성은 모두 추출액농도증가에 비례하여 활성이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상기의 두 종류의 추출물은 항산화 및 생리활성기능을 나타내어 피부의 주름의 완화제로서 유용하다고 판단되었다.

국내산 나무딸기류 과일의 항산화 및 암세포 항증식 활성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Rubus Fruits in Korea)

  • 정하나;이희재;조현노;황금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649-165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한 나무딸기류 과일(blackberry, Korean raspberry, black raspberry, boysenberry, golden raspberry)을 손으로 으깨거나 녹즙기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이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능을 분석하고, in-vitro 모델을 이용하여 각 추출물의 NO 소거능과 암세포항증식 활성을 분석하였다. 과일추출물의 총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은 각각 0.6~8.9 mg/g과 0.1~7.9 mg/g으로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하였다. Black raspberry 추출물은 갈지않고 추출하여도 다른 나무딸기류 과일에 비하여 polyphenol과 flavonoid를 매우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blackberry, Korean raspberry, golden raspberry를 갈아서 추출한 것이 으깨어서 추출한 것보다 polyphenol 함량과 항산화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나무딸기류 과일추출물의 항산화능은 총 polyphenol(R=0.995) 및 flavonoid(R=0.967) 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나무딸기류 과일추출물 모두 0.2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적인 NO소거능을 보였으며, 과일을 으깨어 추출한 것과 갈아서 추출한 것 간에 차이는 없었다. 나무딸기류 과일추출물을 0.1, 0.25, 0.5 mg/mL의 농도로 HT-29와 KATO-3 암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이들 세포의 증식을 각각 3~32%와 0~57%씩 억제시켰다. Blackberry와 Korean raspberry는 0.5 mg/mL 농도에서 갈아서 추출한 추출물이 으깬 것보다 유의적으로 HT-29 암세포 증식을 억제했으며, KATO-3 암세포에서는 과일을 으깨어 추출한 것과 갈아서 추출한 것 간에 차이가 없었다. 나무딸기류 과일추출물의 NO 소거능이 증가할수록 HT-29(R=0.602)와 KATO-3(R=0.498)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도 증가하였다.

흑마늘 첨가 김치 양념소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Kimchi Seasoning with Black Garlic)

  • 이경행;윤영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5-180
    • /
    • 2017
  • To enhanc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reduce the off-flavor of garlic in the Kimchi, we manufactured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25~75% black garlic instead of raw garlic and measured the contents of antioxida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e polyphenol compound content was $270.91{\mu}g/mL$ in the control and $278.18{\sim}305.75{\mu}g/mL$ in the Kimchi seasoning with black garlic. The polyphenol compound content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black garlic in the Kimchi seasoning. The polyphenol compound contents gradually de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The flavonoid compound content was 26.18 mg% in the control and 26.80~38.72 mg% in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25~75% black garlic. The flavonoid compound content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black garlic. The flavonoid content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polyphenol compounds during storage periods. In the case of DPPH electron donating abilities, DPPH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the control was 84.82%, which showed a lower antioxidative activity than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black garlic.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black garlic were increased as the amount of black garlic was increased. In the lipid peroxidation test, the control showed no lipid peroxidation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black garlic also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during storage as in the control. However, it showed lower activity than the control. Reducing power was higher in the Kimchi seasoning replaced with black garlic than in the control. The higher the ratio of black garlic, the higher the reducing power.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Flavonoids in Korean Wild Grape (Meoru grape, Vitis coignetiae) and Its Pomace

  • Shim, Kwan-Seob;Kang, Da-Rae;Park, Seong-Bok;Park, Jong Hyuk;Chung, Yi Hyung;Kang, Young-Hee;Shin, Daeke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50-659
    • /
    • 2014
  • Large quantities of Korean wild grape (Vitis coignetiae, KWG) pomace, a by-product of grape juice and wine manufacture, are generated annually, and disposal cost of KWG pomace is now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d anthocyanin content in whole KWG, KWG skin and KWG pomace and to identify and quantify flavonoids found in whole KWG and KWG pomace using LC/MS/MS. Spectral analysis showed high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in KWG skin extracted with 75% ethanol (p < 0.05). KWG pomace had higher amount of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d anthocyanin than whole grape (p < 0.05). Sixteen flavonoids were identified, but only 10 flavonoids were quantifiable from whole KWG and KWG pomace. Both epicatechin and rutin were the major flavonoids, and 521 or 147 ng/g of epicatechin (p < 0.05) and 305 or 110 ng/g of rutin (p > 0.05) were found in whole KWG and KWG pomace,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KWG pomace is a very rich source of flavonoids, thus KWG pomace can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additive. Plans to include KWG pomace in food production are necessary.

추출방법에 따른 감귤 과피 유래 Flavonoid의 추출효율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n the Extraction Efficienc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 from Citrus Peel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최찬익;정원근;정은영;고민정;조상우;이재환;장판식;박영서;백현동;김기태;정명수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166-17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감귤 과피 가공부산물로부터 기능성 polyphenol 및 flavonoid가 새로운 추출방법인 아임계 추출법을 통해 추출되었고, 열수(80$^{\circ}C$), 에탄올, 설탕용액을 이용한 기존 추출법과의 추출효율이 비교 분석되었다. 건조된 감귤 과피로부터 총 polyphenol(27.25${\pm}$1.33 mg QE/g DCP) 및 flavonoid(7.31${\pm}$0.41 mg QE/g DCP)에 대한 최대 수율이 아임계 추출법(190$^{\circ}C$, 1300 psi, 10 min)을 통해 획득되었으며, 이것은 기존 추출법 가운데 가장 높은 수율을 보인 에탄올 추출법을 통한 총 polyphenol (3.79${\pm}$0.73 mg QE/g DCP) 및 flavonoid(0.86${\pm}$0.27 mg QE/g DCP) 수율 대비 7.2배와 8.5배 이상 더 높은 것이었다. 추출방법에 따른 감귤 과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러한 결과는 건조 감귤 과피 1 g 당 아임계 추출법(190$^{\circ}C$, 1300 psi, 10 min)에 의한 항산화 성분의 상대 수율(relative yield, %)이 다른 추출방법을 통해 획득된 것보다 대략 9.5배 이상 더 높다는 것을 설명하는 결과로, 아임계 추출법이 기존의 전통적 추출법에 비하여 감귤 과피의 기능성 polyphenol 및 flavonoid를 추출하는데 매우 적합한 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Aspergillus 속 균주를 이용한 마 품종별 고체발효시 Monacolin K 생산과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Monacolin K Production on Solid-State Fermentation of Diverse Yam by Aspergillus Species Strain)

  • 이준걸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53-5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Aspergillus terreus KCCM 12225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한 마와 쌀(칠보미)의 발효 물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발효한 마와 쌀의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활성, 총 polyphenol, flavonoid 함량 및 환원력을 조사하였다. 또한 동일 균주를 사용하여 마 및 쌀의 발효시에 주요한 약용성분인 monacolin K의 생산량을 조사하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장마, 병마, 둥근마 및 쌀의 경우 발효전에는 51.8%, 66.4%, 42.2% 및 7.5%이었으나, 발효 후에는 64.7%, 74.7%, 52.8% 및 32.3%로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polyphenol 함량은 발효 전의 경우 196.9, 265.7, 160.1 및 91.6 mg/kg이었으나, 발효 후에는 530.7, 708.3, 427.2 및 265.9 mg/kg으로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flavonoid 함량은 발효 전의 경우 73.3, 107.9, 42.6 및 22.6 mg/kg이었으나, 발효 후에는 242.0, 347.7, 139.1 및 63.3 mg/kg으로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원력은 발효 전의 경우 0.97, 1.28, 0.64 및 0.17 (700 nm에서의 OD값) 이었으나, 발효 후에는 1.75, 2.38, 1.24 및 0.46으로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nacolin K 생산량은 467.1, 514.8, 339.2 및 272.5 mg/kg으로 각각 나타났다. 결과로서, 병마를 이용한 발효 시 가장 높은 생리활성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발효마는 항산화 및 항고지혈증 관련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Capacity of Ethanol Extracts and Fractions from Rubus coreanus Miq.)

  • 강현;이성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264-270
    • /
    • 2021
  • 본 연구는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70% 에탄올 추출물 238.46 mg GAE/g 으로 나타났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 413.59 mg GAE/g 으로 다른 분획물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52.83 mg QE/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ethyl acetate 분획물의 RC50값이 각각 3.95와 6.25 ㎍/mL 으로 대조군인 ascorbic acid와 유사한 소거능을 나타내었다(p<0.05). FRAP에 의한 환원력 측정 결과에서도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 복분자 70%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물이 다량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복분자를 기능성 신소재 개발 원료로 활용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복자 추출물의 Phenolic acids와 Flavonoids의 조성 및 화장품 항산화 활성 (Composition of Phenolic Acids and Flavonoids and Skin Care Cosmetic Antioxidant Activity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s)

  • 장아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365-371
    • /
    • 2021
  • 이 연구는 연복자의 열수와 80%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총 polyphenol과 flavonoid의 함량과phenolic acid와 flavonoid의 조성 및 함량을 분석하고, 이 추출물에 대한 일부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므로 스킨케어 기능성 화장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총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은 열수와 80% 메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과피 추출물이 씨앗 추출물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henolic acid는 열수 추출물에서 2종, 80% 메탄올 추출물에서 6종이 확인되었다. Flavonoids는 열수 추출물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80%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1종이 확인되었다. 또한 연복자의 열수와 80%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조사한 결과, DPPH와 ABTS의 라디칼 소거능은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연복자의 열수와 80% 메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고,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어 피부관리를 위한 기능성 화장품 성분원료 및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개암 첨가가 청국장의 품질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heonggukjang prepared Using Hazelnut)

  • 최원석;이난희;최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29-1234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heonggukjang with the addition of hazelnut. The number of Bacillus subtilis and the content of crude fat were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hazelnut. The addition of hazelnut made the color of Cheonggukjang lighter. The flavonoid and polyphenol content were sharpl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addition of hazelnut.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heonggukjang was also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hazelnut. Taken together,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 of hazelnu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heonggukjang by increasing the antioxidant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