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ization time

검색결과 515건 처리시간 0.027초

Quercetin Reduces Chemotactic Activity of Porcine Peripheral Blood Polymorphonuclear Cells

  • Hwa, Gyeong-Rok;Ahn, Changhwan;Kim, Hakhyun;Kang, Byeong-Teck;Jeung, Eui-Bae;Yang, Mhan-Py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51-58
    • /
    • 2022
  • Quercetin, a flavonoid found in fruits and vegetables, exhibits a strong anti-inflammatory activ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quercetin on chemotactic activity of peripheral blood polymorphonuclear cells (PMNs) to culture supernatant from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In addition, we determined whether this effect is related to interleukin (IL)-8 and changes in cytoskeleton. The chemotactic activity of PMNs was evaluated by a modified Boyden chamber assay. Total cellular filamentous (F)-actin levels were measured by method of fluorescence microscopy. The levels of IL-8 mRNA and protein were measured by real time polymerase reaction method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pectively. Quercetin (0-50 µM) itself has no chemoattractant effect for PMNs. The culture supernatant from PBMCs (2 × 106 cells/mL) treated with LPS (1 ㎍/mL) showed remarkable increase in chemotaxis of PMNs. However, this effect was reduced dose-dependently by treatment with quercetin. In addition, PBMCs treated with LPS revealed enhanced levels in IL-8 protein and mRNA. Co-treatment of LPS with quercetin (50 µM) in PBMCs decreased IL-8 production and expression. Treatment of quercetin (0-50 µM) on PMNs to rpIL-8 (10 nM) decreased dose-dependently the chemotactic activity of PMNs. Treatment of quercetin on PMNs to IL-8 also reduced their total cellular F-actin leve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quercetin attenuates chemotactic activity of PMNs, which is mediated by down-regulation of IL-8 production from LPS-stimulated PBMCs and inhibition of F-actin polymerization in PMNs.

마이크로파 하이브리드 소결법에 의한 NTC 서미스터의 제조 (Microwave hybrid sintering of NTC themistor)

  • 최영락;안진용;안주삼;백동규;최승철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508-512
    • /
    • 1998
  • 마이크로파(2.45GHz) 에너지를 이용한 소결법으로 $1100^{\circ}C$~$1300^{\circ}C$의 온도범위에서 반도체 세라믹스인 $Mn_3O_4{\cdot}Co_3O_4{\cdot}3NiO$ 조성의 NTC 서미스터를 소결하였으며, 그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소결온도가 높아질수록 소결밀도가 높은 치밀한 소결체를 얻을 수 있었으며, 25~$85^{\circ}C$ 범위의 온도변화에 따른 전기저항변화 특성으로부터 구한 비저항 $B_{25^{\circ/85^{\circ}}$ 정수는 3100~3200K이었다. 마이크로파 하이브리드, 소결법으로 소결된 시편과 일반소결법으로 소결된 시편을 비교하면 소결특성과 전기적물성에서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이용한 소결공정은 20분 안에 완료되는 짧은 시간의 급속소결법으로 공정 시간과 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었다.

  • PDF

BiodentineTM의 경화시간에 따른 미세누출과 전단결합강도 (Microleakage and Shear Bond Strength of Biodentine at Different Setting Time)

  • 송용호;이난영;이상호;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44-353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mineral tiroxide aggregate의 긴 경화시간과 치아변색 등의 단점으로 인해 이를 대체하고자 최근 주목받고 있는 재료인 tricalcium silicate를 기반으로 한 치수복조제 중 Biodentine의 미세누출과 최종수복제로 가장 많이 쓰이는 composite resin간의 전단결합강도에 대하여 경화시간에 따른 차이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미세누출 평가를 위해 소 치아 70개를 이용하여 순면에 와동을 형성한 후 Biodentine을 충전하고 무작위로 10개씩 하위 군으로 나누어 12분, 45분, 24시간, 48시간, 1주일, 2주일, 1개월로 경화시간을 달리한 후 상방에 composite resin을 적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미세누출 평가를 위해 표본을 24시간 동안 0.5% fuchsin 용액에 침적한 뒤, 수세하고 건조하여 각 표본을 수주 하 디스크를 이용해 절반으로 나누어 20배의 비율로 실체현미경(Olympus SZ61, Olympus, Tokyo, Japan)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전단결합강도 평가를 위해 중심구를 가진 아크릴 레진 블록을 210개를 제작하고 중심구에 Biodentine을 채운 후 각각 30개씩 7개 군으로 나누어 12분, 45분, 24시간, 48시간, 1주일, 2주일, 1개월 경화시간 경과 후 상방에 composite resin을 적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경화시간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미세누출에 있어서 24시간 이상 Biodentine 경화 후 상방에 composite resin 수복을 시행한 경우 미세누출을 최소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단결합강도에 있어서도 Biodentine의 경화시간이 24시간 이상일 경우 composite resin의 중합수축을 상쇄할 수 있는 전단결합강도가 측정되었다. composite resin 수복 전 Biodentine을 24시간 이상 경화시키는 것이 임상적으로 더 나은 결과를 나타낼 것이다.

4원 아크릴계 박리형 점착제의 제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emoval-typ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 서영옥;설수덕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6권4호
    • /
    • pp.225-236
    • /
    • 2001
  • 2원, 3원 공중합 점착제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4인 공중합체를 단량체의 종류와 농도, 개시제의 종류와 농도, 반응온도와 반응시간, 용매의 종류 및 단량체와 용매의 혼합비를 변화시켜 합성하여 점착제의 물성인 점도, 분자량, 전환율, 고형분과 구조분석들을 고찰하였다. 합성한 각 중합체에 내하여 가교제의 종류 및 농도를 변화시켜 점착세의 성능인 점착력. 유지력, 내열성, 내후성, 경시변화를 고찰한 결과, 디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4원 공중합체의 최적 혼합비는 BA/2-EHA/MMA/2-HEMA인 경우, 주단량체인 BA/2-EHA가 80%, 공단량체인 MMA가 15%, 관능성 단량체 2-HEMA가 5%. BA/2-EHA/MMA/AA인 경우, 주단량체인 BA, 2-EHA가 80%, 공단량체인 MMA기 15%, 관능성 단량체 AA가 5%이다. 4원으로 합성한 RA/2-EHA/MMA/2-HEMA의 점착제에 가교제로 이소시아네이트가 적합하였으며, BA/2-EHA/MMA/AA인 경우는 가교제로 멜라민계가 적합하고 점착력의 경시변화는 가교제로 이소시아네이트(PTDI)나 멜라민계 모두 균일하있으며, 내후성 시험후에 표면관찰을 하면 멜라민계는 점착제 잔유물이 남아있어 불안정했고, PTDI는 점착제 잔유물이 전혀 없이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 PDF

유전체장벽방전 플라즈마 중합을 이용한 양어 사료의 소수성 코팅 (Hydrophobic Coating on Fish Feed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Polymerization)

  • 이상백;트린쾅 흥;조진오;정준범;임태헌;목영선
    • 공업화학
    • /
    • 제25권2호
    • /
    • pp.174-180
    • /
    • 2014
  • 양어 사료의 부상시간을 연장시켜, 사료 소비율을 높이고 양식장 수질오염을 저하시키기 위해 사료에 소수성 코팅을 하였다. 상압 유전체장벽방전 플라즈마 반응기 시스템에서 헥사메틸다이실록세인(HMDSO), 톨루엔 및 n-헥세인을 전구물질로 사용하여 사료 입자의 표면에 코팅 층을 형성시켰다. 공정 변수인 플라즈마 구동을 위한 입력 전력, 전구물질 종류, 코팅시간을 변화시키며 코팅 성능을 비교하였다. 코팅된 사료 표면의 물리, 화학적 성질은 접촉각 측정기와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소수성 플라즈마 코팅 후 물의 접촉각 증가는 표면이 소수성으로 변화하였음을 나타냈으며, 코팅된 시료의 적외선 분광 스펙트럼을 통해 소수성 피막이 $CH_3$, Si-O-Si, Si-C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코팅된 사료의 부상시간이 미코팅 사료에 비해 수초에서 3 min까지 증가하였으며, 플라즈마 코팅방법이 사료의 부상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코팅 직후 시료에 비해 6일 경과 후 시료의 물 접촉각이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를 통해 에이징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방사선 중합 설폰화 PONF-g-스티렌과 양이온교환수지 복합 이온교환섬유의 중금속 흡착 특성 (Adsorption Properties for Heavy Metals Using Hybrid Son Exchange Fibers with Sulfonated PONF-g-Styrene by Radiation Polymerization and Cation Exchange Resin)

  • 백기완;조인희;노영창;황택성
    • 폴리머
    • /
    • 제30권6호
    • /
    • pp.525-53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PONF에 스티렌을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그래프팅한 후, 설폰화시킨 이온교환섬유를 제조하였다. 또한 핫멜트 점착방식으로 이들과 비드 수지를 결합시켜 복합 이온교환섬유를 제조하고 이들의 중금속 흡착특성을 확인하였다. 설폰화 PONF-g-스티렌 이온교환섬유의 이온교환용량과 함수율은 비드나 단일 이온교환 섬유에 비해 모두 증가하였으며, 이온교환용량과 함수율은 각각 최대 4.76 meq/g, 23.5%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복합 이온교환섬유의 $Hg^{2+}$ 흡착파과 시간은 130분으로 비드와 섬유상 이온교환체보다 매우 늦게 나타났다. $Hg^{2+}$의 흡착파과 시간은 pH가 증가함에 따라 파과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기 흡착파과는 10분 전후에서 일어났다. 복합 이온교환섬유의 혼합용액($Hg^{2+}\;Pb^{2+},Cd^{2+}$)에서의 흡착은 초기 20분 이내에 급격한 흡착 반응이 진행되었으며, $Hg^{2+}$이 가장 빠른 흡착파과가 일어났다. 또한 온도 변화에 따른 복합 이온교환섬유의 중금속 흡착은 $Hg^{2+}$이 가장 빠른 흡착이 이루어졌다.

아르곤 레이저에 의한 복합레진의 중합시 물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HYSICAL PROPERTIES OF COMPOSITE RESIN POLYMERIZATION WITH ARGON LASER)

  • 김덕;민병순;최호영;박상진;최기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1호
    • /
    • pp.1-19
    • /
    • 1998
  • After polymerizing composite resin with argon laser and visible light, four test, to be concretely, measurement of compressive strength using Instron testing machine, surface microhardness using Rockwell hardness tester, quantitative analysis of residual monomer using HPLC and analysis of degree of conversion using FTIR, were accomplished. Test groups were a sort of specimen with 3mm diameter, 4mm thickness for measuring compressive strength, two sort of specimen with 7mm diameter, 2mm and 3mm thickness for measuring surface microhardness, quantitative analysing of residual monomer after curing and measuring the degree of conversion, each were divided by six group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light exposure. In case of argon laser, in 1.0W and 0.5W output, the exposure time for specimen were 5 sec, 10 sec respectiyely. In case of visible light, the exposure time for specimen were 20 sec, 40 sec respectively. The test were accomplished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Compressive strength of composite resin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of 1 W output, exposing for 10 sec with argon laser, followed by the group of 0.5W, exposing for 10 sec with argon laser, the group of exposing for 40 sec with visible light.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three groups(p>0.05). 2. Surface microhardness of composite resin wasn't significantly affected by light curing conditions. 3. BIS-GMA within residual monomer was least detected in the group of exposing for 40 sec. TEGDMA was least detected in the group of 1 W output, exposing for 10 sec with argon laseboth 2mm and 3mm thickness specimen. 4. The degree of conversion of all groups in the 2mm thickness specimen were more than 50%, similar to each other but in the group of 1W, exposing 10 sec with argon laser the degree of conversion was highest in the 3mm thickness specimen. 5. Argon laser could make composite resin to has similar properties with 25% lesser exposure time than visible light.

  • PDF

생후 발달과정동안 남성 생식기의 Efferent Ductules에서 Monocarboxylate Transporters(MCTs)와 Basigin의 발현 양상과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에 의한 MCT1 발현 조절 연구 (Expression of Monocarboxylate Transporters(MCTs) and Basigin and Estrogen Receptor α(ERα)-Mediated Regulation of MCT1 Expression in The Efferent Ductules of Male Reproductive Tract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 이기호;최인호;정정수;장종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309-32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남성 생식 기관인 efferent ductules(ED)에서 monocarboxylate transporter (MCT) isoform과 Basigin(Bsg)의 mRNA 발현을 탐구하고, MCT1의 발현이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연구하였다. 생후 여러 연령대의 백서 ED에서 MCT isoform과 Bsg의 mRNA 발현 여부는 real-time PCR에 의해 조사 되었고, 정상 생쥐와 에스트로젠 수용체 α knockout 생쥐를 사용하여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에 의한 MCT1의 발현 조절 여부는 immunohistochemistry 방법에 의해 간접적으로 알아 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백서의 ED에서 MCT1, 2, 3, 4와 8 그리고 Bsg 유전자의 발현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MCT1의 발현이 ED의 ciliated 세포의 basolateral 지역에서 발현되고 어떤 측면에서 ERα에 의해 조절되어 질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MCT가 monocarboxylate의 세포 내, 외부로 운반을 조절함으로써 남성 생식기의 일부인 ED의 역할을 조절하는데 관여함을 시사한다.

광경화성 단분자를 이용한 광학 보상 휨 액정 디스플레이의 전기광학 특성연구 (Study on Electro-optic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ly Compensated Be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UV Curable Monomer)

  • 임영진;전은정;권동원;김정환;정광운;이명훈;이승희
    • 폴리머
    • /
    • 제33권5호
    • /
    • pp.496-500
    • /
    • 2009
  • 광학 보상 휨 액정디스플레이(OCB-LCD)는 빠른 응답속도와 광 시야각 특성 때문에 응용 분야가 많다. 하지만 OCB-LCD는 초기에 splay 상태로 배열되어 있고 계조 구동은 bend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초기 splay 상태에서 bend 상태로의 빠른 전이가 필요하다. 기존에 순간적으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방식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임계 전압과 광경화성 반응성 단량체의 고분자화를 통한 표면 선경사각 형성으로 초기 상태부터 bend 상태를 갖는 OCB-LCD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액정 셀의 전기 광학적 및 전기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조된 셀은 기존 OCB 셀에 비해 고 선경사각으로 인한 고속응답 특성을 보여주었고 액정 단량체에 의해 형성된 배향막 위의 고분자 층 형성에 따른 잔류 DC 값은 0.1 V 보다 적었다.

신디오탁틱 폴리비닐알코올 편광필름에 관한 연구 - 고분자량 신디오탁틱 폴리비닐알코올/요오드 복합체 필름의 요오드 탈착 거동 - (Studies on the Syndiotactic Poly(vinyl alcohol) Polarizing Film -Iodine Desorption Behavior of High Molecular Weight Syndiotactic Poly(vinyl alcohol)/Iodine Complex Film-)

  • 류원석;염정현;최진현;지병철;윤원식;노태환;김한도;김재필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115-121
    • /
    • 2001
  • 수평균 중합도 10000 및 신디오탁틱 다이애드기 함량 61.5%의 고분자량 신디오탁틱 폴리비닐알코올(high molecular weight syndiotactic poly(vinyl alcohol) (HMW s-PVA))/요오드계 편광필름을 제조하고 이의 흡착 거동 및 열수 하에서의 요오드의 내구성을 고찰하였다. 아탁틱 PVA 및 저분자량 s-PVA/요오드계 필름과 비교할 때 열수하에서의 HMW s-PVA 필름의 용해도 및 HMW s-PVA/요오드계 필름의 요오드 탈착은 현저히 억제되었다. 요오드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열수하에서의 요오드 탈착현상이 점차 심화되었다. 이는 처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PVA 분자와 요오드 분자간에 안정한 복합체가 형성되기보다는 물리적인 흡착에 의하여 흡착량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라고 설명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