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hedral inclusion bod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봉입형의 핵다면체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의 생산과 인식항원의 결정 (The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to the Major Polyhedra Inclusion Body of the Occluded Form of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 장성호;홍순복;이형환;김종배;조명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06-413
    • /
    • 199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duce monoclonal antibodies to the major polyhedral inclusion body (PIB) antigen of the occluded form of Hyphantria cunea nuclear polyhedrosis virus (HcNPV). PIB proteinS were purfied from the Spodoptera frugiperda cell infected with HcNPVs. Using the purified PIB protein, BALB/C mice were immunized 3 times with 2 weeks intervals. The spleen were removed and fused with Sp2/0-Ag14, mouse myeloma cells.

  • PDF

CpBV-ELP1 발현 재조합 벡큘로바이러스의 대량 증식과 파밤나방 방제 기술 (Mass Production of a Recombinant Baculovirus Expressing CpBV-ELP1 and Control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 박아름;김용균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9-286
    • /
    • 2015
  • 프루텔고치벌 브라코바이러스(CpBV)는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의 어린 유충에 기생하는 프루텔고치벌(Cotesia plutellae) 공생 폴리드나바이러스이다. 일부 CpBV 유전자들은 피기생체 유충의 면역반응을 낮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본 연구는 기주의 면역작용을 억제하는 CpBV 유전자를 이용하여 살충력이 높은 재조합 벡큘로바이러스를 개발하는 데 응용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보고 자료에 기초하여 CpBV-ELP1를 발현하는 재조합 벡큘로바이러스(AcMNPV-ELP1)를 선발하여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충체에서 증식시켰다. 충체에서 증식된 재조합바이러스들은 파밤나방 유충 한 마리 당 $5{\times}10^{10}$ polyhedral inclusion body (PIB)를 생산하였다. 배양된 AcMNPV-ELP1은 파밤나방 유충에 높은 병원성을 보였다. 특히 파밤나방 1령과 노숙령기에 높은 살충력을 나타냈다. 파밤나방 유충이 가해하는 배추에 재조합 벡큘로바이러스($5{\times}10^6PIB/mL$)를 살포한 결과 처리 7일 후에 화학 농약인 테부페노자이드 보다 높은 방제효과(약 88%)를 나타냈다. 이 결과는 충체에서 대량배양된 AcMNPV-ELP1이 높은 병원성을 나타내 새로운 미생물방제제로 응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핵다면체 바이러스의 감염증상과 전자현미경적 연구 (Infection Symptom and Electron Microscopic Visualization of Nuclear Polyhedrosis Virus)

  • 이근광;김영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
    • /
    • 1994
  • 핵다면체 바이러스는 S. frugiferda 세포주에 감염되었다. 감염 12시간 후에 세포는 운동성을 잃고 세포의 핵은 팽창되었다. 감염 24시간 후에 세포는 비정상적인 형태로 되었으며, 작은 PIB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감염 48시간 후에는 전체 세포에 PIB가 형성되었고, 감염 76시간 후에는 핵속에 있는 PIB는 일부가 세포밖으로 방출되었다. 전자현미경을 통해 감염후 13시간이 지난후 NPV를 관찰한 결과 세포의 핵속에서는 virogenic stroma가 형성되었으며, 그 부분에서 nucleocapsids가 형성되었다. 감염 48시간 후에는 많은 nucleocapsid들은 bundle을 형성하고, PIB에 봉입되었다. PIB는 대부분 4면체이며, 크기는 $3{\sim}10{\mu}m$ 정도이었다. Virion은 막대형으로 nucleocapsid는 $30{\sim}40{\times}300{\sim}400nm$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