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ethylene(PE)

검색결과 518건 처리시간 0.031초

PE-GOX 하이브리드 모터의 연소특성 및 성능 예측 기법 : Part I, 연소 특성 (Performance Prediction Methods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PE-GOX Hybrid Rocket Motor : Part I, Combustion Characteristics)

  • 윤창진;송나영;유우준;문희장;김진곤;성홍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6년도 제2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67-270
    • /
    • 2006
  • Polyethylene-GOX 조합 추진제를 이용한 소형 하이브리드 로켓 모터의 연소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레인 두께에 대하여 평균화된 여러 형태의 상관관계식을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연료 발생율은 연소실로 유입되는 산화제 유량율에 대하여 크게 변화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inforcement of Polyethylene Pipes with Modified Carbon Microfibers

  • Petukhova, E.S.;Savvinova, M.E.;Krasnikova, I.V.;Mishakov, I.V.;Okhlopkova, A.A.;Jeong, Dae-Yong;Cho, Jin-Ho
    • 대한화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177-180
    • /
    • 2016
  • The surface properties of carbon microfibers (CMFs) are modified by chemical deposition of carbon nanofibers via the so-called ethylene processing. CMFs and the modified CMFs (MCMFs) are investigated as reinforcement additives to fabricate polyethylene (PE) composites with enhanced mechanical characteristic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E-MCMF composites are found to be better and favorable for applications under harsh climatic conditions such as those in Siberia. Improved adhesive interaction between MCMFs and PE is responsible for these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에틸 가지화된 폴리에틸렌과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블렌드의 혼화성와 물성( I ) (Miscibility and Properties of Ethyl-Branched Polyethylene/Ethylene-Propylene Rubber Blends( I ))

  • 조을룡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6권3호
    • /
    • pp.169-176
    • /
    • 2001
  • 2몰% 에틸가지를 포함하는 에틸 가지화 폴리에틸렌[(PE(2)]과 에틸렌-프로필렌 몰비가 50:50으로 같지만 입체규칙성이 서로 다른 랜덤-에틸렌-프로필렌 고무(r-EPR), 교호-에틸렌-프로필렌 고무(alt-EPR) 및 이소탁틱-교호-에틸렌-프로필렌 고무(iso-alt-EPR)를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입체규칙성에 대한 혼화성과 물성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혼합하였다. 이 세가지 블렌드들은 상온에서 상호간에 혼화성이 없었고, 밀도 측정에서 단순한 첨가 효과를 보여 주었다. 블렌드 조성에 따른 폴리에틸렌의 녹는점 감소는 PE(2)/r-EPR>PE(2)/alt-EPR>PE(2)/iso-alt-EPR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인장시험에서 이 블렌드계는 혼합 조성이 50:50 일때 가장 낯은 파난강도의 값을 보여 주어 이 블렌드 조성에서 두 고분자 상(phase)이 가장 분리된 형태학(morphology)을 가지고 있음을 알았다.

  • PDF

Effect of Metallocene-catalyzed Polyethylene on the Rhe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henylene sulfide)/Polyethylene Blends

  • Lee, Bo-Sun;Chun, Byoung-Chul;Chung, Yong-Chan
    • Fibers and Polymers
    • /
    • 제5권2호
    • /
    • pp.145-150
    • /
    • 2004
  • Blends of poly(phenylene sulfide) (PPS) and polyethylene, either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or metallocene-catalyzed polyethylene (MPE), that were prepared by melt blending, were investigated. From the rheological properties as determined by capillary rheometry, the melt viscosity of both PPS/LLDPE and PPS/MPE blends was low when PE was in dispersed phase, but high melt viscosity was observed for both blends with PPS in dispersed phas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were found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percent elongation at break and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In addition, dispersed phase morphology of the blends was analyzed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ogether with brief discussion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m.

전처리 및 포장방법이 냉풍감압건조 복숭아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treatment and packaging methods on quality of cold vacuum dried peach)

  • 권기만;김재원;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7-322
    • /
    • 2013
  • 전처리 유무와 포장방법에 따른 건조복숭아를 가속실험($40^{\circ}C$, 50일)하여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 중량 및 pH의 변화는 vitamin C 처리가 무처리에 비해 낮았으며, 충진방법에 따라서는 전반적으로 vacuum 처리가 passive 및 $N_2$ 처리방법에 비해 낮았다. 가용성고형분 함량은 polyethylene film에서 높았고, vacuum 처리가 passive 및 $N_2$ 처리방법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적정산도의 경우는 OPP/Al/PE film이 polyethylene film다 높은 반면 vitamin C 처리 시 포장 재질 간에 유의한 수준의 값을 나타내어 vitamin C 처리가 저장 중에 온도에 의한 산의 손실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충진 방법에 따라서는 전반적으로 vacuum 및 $N_2$ 처리방법이 passive에 비해 높은 적정산도 값을 나타내었고, 식미와 관계가 있는 당산비에서는 vacuum 처리방법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색도의 변화는 전반적으로 vitamin C 처리가 무처리에 비해 낮은 변화를 보였으며 L 값, delta E 값 및 갈변도의 결과 OPP/Al/PE film 포장방법 및 vacuum 처리에서 갈변현상이 억제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전처리 방법에 따른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vitamin C 처리가 무처리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포장재질에 따라서는 polyethylene film에 비하여 OPP/Al/PE film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무처리군의 passive 포장법에서는 갈변 및 품질열화현상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vitamin C 처리군의 vacuum-OPP/Al/PE film 포장은 갈변화 및 품질손상이 적게 관찰되어 품질유지 및 유통기간 연장을 위한 적정포장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온보조반응법에 의한 Polyethylene(PE) 표면의 친수성 증가 (Improving wettability of polyethylene(PE) surface by ion assisted reaction)

  • 석진우;최성창;장홍규;정형진;최원국;고석근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00-205
    • /
    • 1997
  • 고분자 Polyethylene(PE) film 표면을 1keV의 산소 이온 빔만을 사용하여, 또는 산 소 분위기에서 1keV의 아르곤 이온 빔으로 조사하는 이온보조반응(ion assisted reaction)법 을 이용하여 개질을 하였다. 개질된 polyethylene 표면의 친수성(wettability)과 표면 에너지 를 측정하기 위해 접촉각 측정기(contact angle micrometer)를 사용하였으며, 개질된 표면의 화학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를 이용하였다. 표면 개질을 위한 이온 조사량은 $1\times 10^{14}-1\times\;ions/\textrm{cm}^2$, 산소 가스는 0~4sccm(ml/min.)까지 변화 시켰다. 산소 이온 빔만으로 조사 후 polyethylene 표면과 물과의 접촉각은 $95^{\circ}$에서 최대 $62^{\circ}$까지 변화하였으며, 산소를 4sccm(ml/min.) 주입하면서 아르곤 이온 빔으로 조사 하면 물과의 접촉각이 최대 $28^{\circ}$까지 감소하였으며, 이때 이온 조사량은 $1\times 10^{17}-1\times\;ions/\textrm{cm}^2$이 었다. 또한 polyethylene을 산소 이온 빔으로만 표면 개질시 표면 에너지는 작은 증가를 보 였으며, 산소 분위기에서 아르곤 이온 빔으로 표면 개질 하였을 때에는 표면 에너지가 2배 에 가까운 증가를 하였다. 이와 같은 표면의 친수성과 표면 에너지의 증가는 이온보조반응 법에 의해 polyethylene의 표면을 산소 분위기에서 아르곤 이온 빔으로 조사한 시료의 XPS 의 spectra결과로 보아 PE의 표면에 C-O 또는 C=O와 관련된 결합의 증가로 인한 친수성 작용기가 poluethlene표면에 형성되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 PDF

신미종(辛味種) 고추의 Polyethylene Film House 재배시(栽培時) 주요성분(主要成分)에 미치는 Light Quality의 영향 - II. Chlorophyll, Carotenoid 및 Capsaicin 함량(含量) - (The Effect of Light Quality on the Major Components of Hot Pepper Plant(Capsicum annuum L.) Grown in Polyethylene Film House -II. Chlorophyll, Carotenoid and Capsaicin Content-)

  • 김광수;김순동;박정륭;노승문;윤태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10
    • /
    • 1978
  • 고추의 Polyethylene Film house 재배시에 피복 재료로서 White, Blue, Green 및 Red Color의 Film을 사용하여 광질에 따른 실험을 행한 바 있다. White와 Red Film의 처리시에 Chlorophyll, Carotenoid, 및 Capsaicin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總) Chlorophyll의 함량은 White구가 $208.9{\mu}g/g$-F.W., Red구가 $153.0{\mu}g/g$-F.W.으로서 White구에서 그 함량이 현저히 높았으며, Chlorophyll a,b의 비는 White, Red구가 각각 2.15, 2.13으로 비슷하였다. 2. 총(總) Carotenoid는 Red구가 White구의 3.4배에 달하였으며, 특히 $\beta$-carotene은 Red, White구가 각각 $490.6{\mu}g%,\;75.5{\mu}g%$로서 Red구에서 현저히 많았다. 3. Capsaicin의 함량은 Red구가 White구보다 약 20%정도 높았다.

  • PDF

폐(廢)LCD에서 회수(回收)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의 인장강도(引張强度)와 연신율(延伸率)에 미치는 PE(Polyethylene)와 유리섬유(纖維)(Glass Fiber) 첨가효과(添加效果) (Effects of PE (Polyethylene) and GF (Glass Fiber) Addition on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of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covered from Waste LCDs)

  • 이성규;조성수;이수영;박재량;홍명환;홍현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2권3호
    • /
    • pp.50-56
    • /
    • 2013
  • 폐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실용적이고 경제성 있는 재생복합소재의 개발에 기여할 목적으로 ABS/PE(50/50과 20/80), ABS/GF (90/10) 복합 소재의 조성이 연신율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PE 함량을 50%에서 80%로 증가시킨 폐플라스틱 재생복합소재의 인장시험 결과 전반적으로 연신율이 2.4%에서 13%로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유리섬유 첨가 시 인장강도와 연신율 모두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사실에 비추어 볼 때 PE의 함량에 따라 인장강도 등 다양한 기계적 특성의 조절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고 무엇보다도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투입되는 재생복합소재의 특성 중 아주 중요한 연신율을 향상시키는데 PE의 효과가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ABS 자체의 우세한 비정질성이 결정성을 띈 PE의 첨가로 인해서 광범위하게 결정화된 결과 폐플라스틱 입자들 사이의 전단 응력이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간주된다.

염소화폴리에틸렌의 첨가가 폴리프로필렌-니트릴 고무 블렌드의 모폴로지 및 기계적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lorinated Polyethylene(cPE) on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PP) and Nitrile Rubber(NBR) Blends)

  • 장영욱;원종훈;주현석;정경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0권3호
    • /
    • pp.204-211
    • /
    • 2005
  • 염소화폴리에틸렌이 비상용성 블렌드인 폴리프로필렌과 니트릴고무 블렌드의 모폴로지와 기계적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블렌드의 조성 및 cPE의 첨가량을 변화시켜가며 조사하였다. 염소화폴리에틸렌을 첨가함에 따라 분산상의 크기가 감소되며 분산상 크기가 보다 균일하게 됨을 알 수 있었으며, 블렌드의 인장강도, 인열강도, 파단신율이 크게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모폴로지와 기계적물성의 변화로부터 상용화제의 적정 첨가량은 니트릴고무에 대해 5-10 wt% 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A Fuel Feasibility Study of Sewage Sludge by Melting of Thermoplastic Polyethylene

  • Lee, Byeong-Kyu;Jeong, Wang-Seok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16
    • /
    • 2010
  • This pilot study evaluated fueling feasibility of sewage sludge, which contains a large amount of water content, by applying melting of thermoplastic polyethylene (PE). This study has identified a simultaneous achievement of drying and heating value improvement of the sewage sludge. The sewage sludge collected from a sewage sludge treatment plant during a winter period had a water content of 83.7 wt%, a combustible volatile content of 12.5 wt%, and an ash content of 3.8 wt%. The higher heating value (HHV) of the dried sewage sludge, before impregnation or coating of PE, was 4,600 kcal/kg. The collected sewage sludge was immersed into the melted PE solution, which had a HHV of 11,070 kcal/kg, and kept immersing with increasing reaction time. As the reaction (immersing or coating or impregnation) time increased, the water content of the sludge decreased. However, the HHV of the sludg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reaction time. The HHVs of the sewage sludge immersed or dipped into the melted PE solution for 15 min ranged from 6,780 to 8,170 kcal/kg with water content less than 7 wt%. This result indicates the melted PE solution can be utilized as an improvement technology for dryness and heating value of the sewage sludge with high water content. The sewage sludge impregnated or coated with melted PE can be utilized as potential fuel or energy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