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lactide)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2초

골수유래 간엽줄기세포와 점착성 단백질 및 폴리펩타이드가 흡착된(락티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 지지체와의 상호작용 (Interaction of Bone Marrow Stromal Stem Cells with Adhesive Protein and Polypeptide-adsorbed Poly(lactide-co-glycolide) Scaffolds)

  • 최진산;이상진;장지욱;강길선;이영무;이봉;이해방
    • 폴리머
    • /
    • 제27권5호
    • /
    • pp.397-404
    • /
    • 2003
  • 조직공학적 지지체에서의 골수유래 간엽줄기세포의 점착과 성장에 있어서 세포 점착성 단백질과 폴리펩타이드와의 상호작용을 조사하였다. 세포 점착성 물질로 알려진 단백질이나 폴리펩타이드는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인 PLGA 필름과 지지체에 흡착하여 코팅되었으며, 이에 골수유래 간엽줄기 세포의 점착과 성장 거동을 비교하였다. 이들 단백질과 폴리펩타이드는 콜라겐 IV형과 피브리노겐, 라미닌, 젤라틴, 피브로넥틴, 폴리(L-라이신)이 사용되었다. 이중 폴리(L-라이신)을 제외한 단백질과 폴리펩타이드는 PLGA 필름 표면에 거의 단층으로 덮어져 흡착되었으며, PLGA 필름과 지지체에서 골수유래 간엽줄기세포가 1일과 2일, 4일간 배양되었다. 세포의 점착과 성장 거동은 sulforhodamine B법으로 평가하였다. PLGA 필름과 지지체에 단백질이나 폴리펩타이드가 흡착되지 않은 표면보다는 흡착된 표면에서의 세포의 점착과 성장이 우수하였다.

초임계 용매내에서 생분해성 Poly(lactide-co-glycolide) 공중합체의 혼합물 밀도 측정 (Mixture Density Measurement of Biodegradable Poly(lactide-co-glycolide) Copolymer in Supercritical Solvents)

  • 변헌수
    • 폴리머
    • /
    • 제24권4호
    • /
    • pp.505-512
    • /
    • 2000
  • 본 연구는 초임계 용매인 $CO_2$, CHF$_3$ 및 CHClF$_2$내에서 poly(lactide-co-glycolide) [PLGAI 용액과의 흔합물 밀도를 측정하였다. 초임계 용매와 Poly(lactic acid) [PLA] 및 PLGA간의 흔합물 밀도는 온도 27-10$0^{\circ}C$와 압력 3000 bar까지 실험하여 나타내었다 [PLGA$_{x}$의 X는 0~50 mo1% 범위에 대한 glycolide의 몰농도이다]. PLA-$CO_2$ 흔합물은 약 1430 bar 이내에서, PLA-CHF$_3$계는 700 bar 이하에서, PLA-CHClF$_2$계는 100bar 이하에서 각각 용해되었다. 이때 온도범위는 27~93$^{\circ}C$이며, 흔합물 밀도는 1.084~l.334g/$cm^3$ 범위에서 나타났다. PLGA$_{15}$ 공중합체-$CO_2$ 흔합물은 약 1900 bar 이하에서 용해되었으며, 이때 혼합물 밀도는 37~92$^{\circ}C$에서 1.158~l.247g/$cm^3$으로 나타났다. PLGA$_{25}$공중합체-$CO_2$계는 약 2390 bar이하에서, PLGA$_{25}$-CHF$_3$계에 대해서는 1470 bar이하에서, PLGA$_{25}$-CHClF$_2$계에 대해서는 118 bar 이하에서 각각 용해되었으며, 흔합물 밀도는 29~81$^{\circ}C$사이에서 1.154~1.535g/$cm^3$로 나타났다. PLGA$_{50}$-$CO_2$계는 24$0^{\circ}C$, 3000 bar내fl서는 용해되지 않았으며, 반면 PLGA$_{50}$과 CHClF$_2$의 흔합물은 오히려 5$0^{\circ}C$와 100 bar내에서 쉽게 용해되었다. 또한 PLGA와 CHClF$_2$계는 glycolid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흔합물 밀도가 증가하였다.다..다..다..

  • PDF

Rosiglitazone 가용화를 위한 PEG-PLA(PLGA) 고분자 미셀의 제조 및 특성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EG-PLA(PLGA) Micelles for Solubilization of Rosiglitazone)

  • 김연환;임정혁;민현수;김준기;이용규;박고은;조광재;허강무
    • 폴리머
    • /
    • 제34권3호
    • /
    • pp.274-281
    • /
    • 2010
  • 본 실험에서는 일련의 poly(ethylene glycol)-poly(D,L-lactide)(또는 -poly(D,L-lactide-co-glycolide))이중블록 공중합체들을 D,L-lactide(또는 glycolide)의 고리열림 중합에 의해 합성하고, 당뇨병 치료제 일종인 rosiglitazone의 가용화를 위한 고분자 미셀 제형으로서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고체분산법을 이용하여 높은 봉입률의 약물함유 미셀 제형을 효과적으로 제조하였고, 미셀 제형의 수용액 내 안정성을 hydrotropic agent의 일종인 2-hydroxy-N-picolylnitinamide(HPNA)의 사용으로 더욱 향상시킬 수 있었다. 생체 외 세포생존평가에서 생체적합성과 낮은 독성을 보였고,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도 약물을 함유한 고분자 미셀이 약물 대조군보다 혈당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BCNU 함유 PLGA 웨이퍼의 제조와 생체외 방출거동 (Preparation of BCNU-loaded PLGA Wafers and In Vitro Release Behavior)

  • 성하수;문대식;강길선;이정식;이해방
    • 폴리머
    • /
    • 제26권1호
    • /
    • pp.128-138
    • /
    • 2002
  • 종양부위 또는 종양을 수술로 제거한 부위에 직접 이식하여 항암제를 투여함으로써 종양 또는 종양재발을 억제하는 악성뇌종양치료에 이용하기 위한 국소서방성 항암제제로서 항암제 1,3-bis(2-chloroethyl)-1-nitrosourea (BCNU, Carmustine)가 함유된 poly(D,L-lactide-co-glycolide) (PLGA, 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 몰비 75 : 25) 미분말을 제조하여 웨이퍼로 성형하였다. BCNU가 함유된 PLGA 미분말은 분사건조법에 의해 제조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제조된 미분말은 미립구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XRD와 DSC를 통하여 PLGA에 포접된 BCNU의 결정성이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생체외 방출시험조건에서 BCNU의 방출경향은 PLGA의 분자량 및 농도, BCNU의 함량 등에 의존하였으며 초기 burst effect 이후 거의 0차 방출의 경향으로 8주 이상 지속적인 방출경향을 나타내었다. 방출시험기간 동안 웨이퍼의 형태변화를 관찰하고 방출시험액의 pH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BCNU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PLGA의 수화와 분해가 촉진됨을 확인하였다.

지속적인 국소마취를 위한 생분해성 PLGA 미립구의 제조와 생체외 방출 거동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PLGA Microspheres for Sustained Local Anesthesia and Their in vitro Release Behavior)

  • 조진철;강길선;최학수;이종문;이해방
    • 폴리머
    • /
    • 제24권5호
    • /
    • pp.728-735
    • /
    • 2000
  • 지속적인 국소 마취의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펜타닐이 함유된 생분해성 poly(L-lactide-glycolide) (75 : 25 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의 몰 비, PLGA)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펜타닐 베이스가 함유된 PLGA 미립구는 일반적인 O/W 용매 증발법으로 제조하였으며 미립구의 크기는 10에서 150 $\mu\textrm{m}$의 범위에 있었다. 미립구의 표면과 단면 형태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생체외 펜타닐 베이스 방출량은 HPLC로 분석하였다. 젤라틴 유화제의 사용으로 가장 낮은 다공성 단면의 형태와 가장 높은 포접율을 가질 수 있었다. 펜타닐의 방출 패턴은 유화제의 종류, PLGA의 분자량 및 농도, 초기 약물 loading양 등과 같은 제조 조건들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생체외에서 펜타닐 베이스의 방출은 제조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거의 zero-order 형태로 25일 이상으로 지속적이었다. 또한 XRD와 DSC로 펜타닐이 함유된 PLGA 미립구의 물리화학적인 성질을 조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