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len contaminatio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42초

DNA 표지에 의한 채종원내 소나무 교배양식 구명 (Mating System in Seed Orchard of Japanese Red Pines Revealed by DNA Markers)

  • 홍용표;김영미;안지영;박재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44-352
    • /
    • 2010
  • 소나무 채종원내 클론 간 교배양식을 구명하기 위해서 4개의 nSSR 표지와 6개의 cpSSR 표지를 이용하여 소나무 채종원 내에서의 타가교배율, 기여 화분친 수, 화분오염율을 산출하였다. cpSSR haplotype에 근거한 타가교배율은 94~100%로, 평균 98.9%의 타가교배율이 산출되었다. nSSR genotype에 근거한 타가교배율은 90.3~100%로, 평균 95.9%의 타가교배율이 산출되었다. 별개의 DNA 표지분석에서 자가교배로 확인 되었던 종자들을 두 표지를 동시에 비교하여 확인한 결과 타가교배 종자로 최종 확인되었다(누적 타가교배율 100%). 화분오염율은 최소 43.6%(강원10)에서 최대 56.4%(강원12)로 평균 48.9%로 계산되었다. 종자의 cpSSR haplotype을 근거로 확인한 기여 화분친은 경북38에서 21개로 최대치가 확인되었으며, 강원10에서 13개로 최소치가 확인되어 평균 16.2개의 기여 화분친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안면도 소나무 채종원 ’77단지내 클론간 높은 타가교배율이 확인됨으로써 채종원산 종자의 유전적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안면도 소나무 채종원 '77단지 내 교배양식 분석을 통해서 확인된 결과가 향후 전진세대 채종원 조성 및 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DNA 표지를 이용한 채종원내 소나무의 교배양식 분석 (Mating System of Japanese Red Pines in Seed Orchard Using DNA Markers)

  • 김영미;홍용표;안지영;박재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3-71
    • /
    • 2012
  • To assess parameters of mating system in seed orchard, such as outcrossing rates, number of potential pollen contributors, and degree of pollen contamination, seeds, produced in '77 plot of the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seed orchard at Anmyeon island, were collected in 2007 and analysed by nSSR and cpSSR markers. Estimates of outcrossing rates ranged from 91.2 to 100% (mean 97.7%)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cpSSR haplotypes and from 81.6 to 100% (mean 95.3%)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nSSR genotypes. By cross checking of both DNA markers, seeds, presumed to be products of self pollination on the basis of single marker, were confirmed as outcrossed seeds, which resulted in cumulative outcrossing rates of 98.9%. On the basis of pooled cpSSR haplotype of each seed, the number of pollen contributors and paternal contribution rates were estimated as 14.8 and 0.512, respectively. In conclusion, considering pretty high level of outcrossing rates observed in a seed orchard, good genetic potential of the seeds, produced in '77 plot of the seed orchard of Japanese red pines at Anmyeon island, may be guaranteed. Investigated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mating system of Japanese red pines in a '77 plot of the seed orchard may also b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and establishment of the seed orchard of the progressive generation.

Effect of physically contained greenhouse covered by fine mesh on pollen dispersal in maize

  • Watanabe, Shin;Kamada, Hiroshi;Ezura, Hiroshi
    • 한국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한일 식물생명공학 심포지엄
    • /
    • pp.367-370
    • /
    • 2005
  • The risk from genetically modified (GM) plants results from the possibility of gene contamination producing adverse effects on biological diversity by introducing herbicide or insect resistance into related plants or weeds (NAS 2002). The concern about the leakage of genes from GM plants into the environment has primarily focused on pollen that could be wind-borne for long distances. During the period of fisk assessment in Japan, physical containment is applied as a measure of reducing gene flow via the dispersal of pollen from GM plants in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tried to estimate the effect of physically contained greenhouse covered by 1-mm fine mesh to reduce pollen dispersal by researching cross pollination rate between non-GM yellow maize in a greenhouse and silver maize outside the greenhouse.

  • PDF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the Dominant Species in Imported Pollens for Artificial Pollination

  • Kim, Su-Hyeon;Do, Heeil;Cho, Gyeongjun;Kim, Da-Ran;Kwak, Youn-Si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3호
    • /
    • pp.299-306
    • /
    • 2021
  • Pollination is an essential process for plants to carry on their generation. Pollination is carried ou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ype of plant species. Among them, pollination by insect pollinator accounts for the most common. However, these pollinators have be decreasing in population density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use of artificial pollination is increasing. However,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on microorganisms present in the artificial pollens. We showed the composition of bacteria structure present in the artificial pollens of apple, kiwifruit, peach and pear, and contamination of high-risk pathogens was investigated. Acidovorax spp., Pantoea spp., Erwinia spp., Pseudomonas spp., and Xanthomonas spp., which are classified as potential high-risk pathogens, have been identified in imported pollens. This study presented the pollen-associated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foundation for strengthening biosecurity in orchard industry.

안면도 소나무 채종원 교배양식 추정모수의 연간비교 (Two-Year Estimates of Mating System in Seed Orchard of Pinus densiflora Revealed by cpSSR and nSSR Markers)

  • 김영미;홍용표;박재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578-587
    • /
    • 2015
  • 교배양식 유전모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nuclear SSR (nSSR) 표지와 chloroplast SSR (cpSSR) 표지를 이용하여 2006년과 2007년에 안면도 소나무 채종원(77년 조성)에서 생산된 종자를 대상으로 타가교배율과 화분오염율, 근친교배율을 확인하였다. cpSSR 유전형에 근거한 타가교배율은 2006년에 94.9~100%(평균 98.9%)이며, 2007년에는 91.2~100%(평균 97.7%)이다. nSSR 유전자형에 근거한 타가교배율은 2006년에 90.3~100%(평균 95.9%), 2007년에 81.6~100%(평균 95.3%)의 타가교배율이 산출되었다. 두 표지를 동시에 비교하여 확인한 결과 2006년 생산종자의 평균 누적 타가교배율 100%, 2007년 생산종자의 평균 누적 타가교배율은 98.9%로 추정되었다. 근친교배율($t_m-t_s$: biparental inbreeding)은 2006년에 -0.006과 2007년에 0.007으로 추정되었다. 평균 화분오염율은 2006년에 평균 48.9%, 2007년에 평균 42.4%이며, 종자의 cpSSR 유전형을 근거로 확인한 화분친 기여율(기여화분친 수)은 2006년에 0.458(평균 16.2개), 2007년에 0.512(평균 14.8개)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2006년, 2007년 안면도 소나무 채종원(77년 조성) 내 클론간 높은 타가교배율이 확인됨으로써 채종원산 종자의 유전적 품질은 자가교배로 인한 근교약세가 원인이 되는 불량형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기대된다. 안면도 소나무 채종원(77년 조성) 내 교배양식 연간 분석을 통해서 확인된 결과가 향후 진전세대 채종원 조성 및 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잣나무 클론 채종원에서 간벌 강도에 따른 개량효과와 유전다양성 (Genetic Gain and Diversity in a Clonal Seed Orchard of Pinus Koraiensis Under Various Thinning Intensities)

  • 오창영;한상억;김장수;강규석;이병실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63-268
    • /
    • 2008
  • 잣나무 채종원의 유전간벌을 위하여 재적생장에 대한 개량 효과와 유효클론수를 이용한 유전다양성을 평가하였다. 유전 간벌은 클론의 일반조합능력으로 나타나는 육종가(breeding value), 암꽃과 수꽃 개화량을 이용한 종자생산 기여도, 클론별 ramet수 등를 이용한 클론별 변이를 기초로 하였다. 차대 검정 결과에 의하여 산출된 재적생장에 대한 클론별 일반조합능력(genetic value) 및 1991년부터 2003년까지 조사된 개화량 성적을 이용하여 잣나무 채종원(1981년 조성) 179클론에 대하여 간벌 강도에 따른 유전다양성 및 개량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때 채종원 외부로부터의 화분오염율은 30%(gene migration = 1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재적생장에 대한 개량효과는 간벌율이 10%에서 60%까지 높아짐에 따라서 점차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보다 더 높은 간벌 강도에서 현저한 개량효과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효클론수는 간벌강도 10%에서 60% 사이에서는 40클론으로 나타났으며, 70% 간벌율 이상에서는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변동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잣나무 채종원에 대해서는 50%에서 60% 수준의 간벌 강도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친화적 식량생산을 위한 꿀벌의 다원적 가치 (Multi-functionality of honey bees for eco-friendly food production)

  • 정철의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5권2호
    • /
    • pp.166-175
    • /
    • 2022
  • Current food system has developed with the agricultural innovation to feed the increasing population of the world, but with high costs such as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inequality with low sustainability. Human has developed long history of mutualistic interaction with honey bee. This manuscript describes the multi-functionality of honey bee for food production. Firstly honey bee produces honey, bee pollen, royal jelly and propolis which are rich in functionality. Second honey bee serves as the main pollinator for crop production which is worth for 28% of total crop production values in Korea. Lastly honey bee can be an alternative meat produciton system with lower energy, carbon costs but higher nutritional security. This manuscript described those parts and discussed the multi-functionality of honey bees for eco-friendly food security pursuing lowered environmental cost and carbon-zero strategies in the climate change era.

백합나무의 인공교배 방법에 따른 교배 효율성 비교 (Comparison of Pollination Efficiency on Different Pollination Methods in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 유근옥;권해연;최형순;김인식;조도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696-702
    • /
    • 2009
  • 본 연구는 충매화인 백합나무의 구조적 생리적 특성을 활용하여 인공교배 시 교배봉투 설치 과정의 생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 자연 상태(open-pollination)의 비교구, 2) 생식기관(꽃잎, 수술)을 제거하지 않고 교배봉투만 설치(self-pollination), 3) 생식기관만 제거하고 방치, 4) 생식기관 제거 및 인공수분을 실시 후 교배봉투 설치, 5) 생식기관 제거 및 인공수분 실시 후 교배봉투를 씌우지 않는 5 가지의 교배처리를 하였다. 시험결과, 생식기관을 제거하지 않고 교배봉투만 설치한 2번 처리구에서는 충실종자가 전혀 만들어지지 않아 자연 상태에서 자가수분에 의해 종자가 결실될 확률은 매우 낮은 것으로 보인다. 생식기관만 제거하고 교배봉투를 씌우지 않은 3번 처리구의 충실종자 결실률은 0.2%로 통상적인 대규모 인공교배 시의 발생하는 오차수준 보다 매우 낮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생식기관을 제거하고 인공수분을 실시한 후 교배봉투를 씌운 4번 처리구와 씌우지 않은 5번 처리구 종자 충실률은 각각 27.9%와 24.0%로 나타나 인공수분 후 교배봉투를 씌우지 않아도 외부 화분의 유입에 의한 종자 결실률의 증가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백합나무에서는 대규모 인공교배 시 인공수분 후 교배봉투를 씌우는 과정을 생략해도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홍도(紅島)의 적송집단(赤松集團) (Pinus densiflora S. et Z. Population in Hong-do Island in Korea)

  • 임경빈;김진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3-61
    • /
    • 1974
  • 전남(全南) 신안군(新安郡) 흑산면(黑山面) 홍도리(紅島里)에 위치(位置)하고 있는 홍도(紅島)의 적송집단(赤松集團)을 대상(對象)으르 개체(個體)의 수형(樹型), 분지각(分枝角), 수피색(樹皮色), 추재율(秋材率) 침엽장(針葉長), 수지도(樹脂道)의 위치(位置)와 수(數) 등이 조사(調査)되었다. 홍도(紅島)에 자라는 송류(松類)는 적송(赤松)이 대부분(大部分)으로 필자(筆者)는 조사(調査)도중 단일주(單一株)의 해송치수(海松稚樹)를 발견(發見)하였을 뿐이다. 20년생(年生) 이상의 적송(赤松) 14개체(個體)의 침엽(針葉)을 검경(檢鏡)한바 어느 정도(程度)의 해송인자(海松因子)가 혼입(混入)되어 있었다. 밀엽형개체(密葉型個體)와 소엽형개체(疎葉型個體)를 볼 때 부수지도(副樹脂道)의 수(數)가 현저하게 적은 것이 특징(特徵)이며 특히 소엽형(疎葉型)의 경우 부수지도(副樹脂道)의 수(數)가 1.3 이라는 평균치(平均値)를 보였다. 현 단계로서는 과거부터 홍도(紅島)에 해송(海松)이 있었던 것으로 보기 어렵고 해안일대(海岸一帶)에 분포(分布)하는 해송(海松)으로부터 화분(花粉) 비산공여(飛散供與)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유전자변형 양배추로부터 비유전자변형 모본으로의 유전자 이동성 (Gene Flow from GM Cabbage to Non-GM Control)

  • 김영중;남경희;백인순;박정호;정순천;한지학;김창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3호
    • /
    • pp.157-161
    • /
    • 2014
  • Understanding the gene flow from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to conventional crops is important to prevent and mitigate seed contamination caused by pollen-mediated gene flow. We conducted a field test to investigate the gene flow from diamondback moth resistant GM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containing cry1Ac1 gene, to a non-GM control line AD126. GM and non-GM cabbage plants were cultivated in the field and pollinated using Bombus terrestris under the nets during the flowering periods. After seeds were collected from non-GM plants, hybrids between them and the GM cabbages were screened by multiplex PCR targeting cry1Ac1 gene. Out of 878 germinated seedlings, 168 hybrids were found and the average gene flow frequency was 19.7%. Because cabbage is mainly pollinated by insect pollinators, large-scale field tests are needed to study gene flow of GM cabb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