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tics of place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3초

음모론 혹은 토론의 장으로써의 인터넷 방송: Afreeca TV의 망치부인을 중심으로 (Internet Broadcasting As a Place for Conspiracy Theory or Discussion: Focus on BJ Hammer Wife of Afreeca TV)

  • 한석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1-70
    • /
    • 2017
  • 본 연구는 현재 한국 사회에서 크게 성장 중인 인터넷 방송의 모습을 탐구한다.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기존의 시청자들 개인이 스스로 방송하게 되는 인터넷 방송 시장이 새롭게 태어났다. 국내에서 가장 대중적인 인터넷 방송플랫폼은 Afreeca TV로, Broadcasting Jockey(BJ)들이 자신의 채널에서 고유의 콘텐츠로 다양한 장르의 방송을 하고 있다. 근래의 혼란스러운 한국 사회와 맞물려, 시사/정치의 장르도 인기가 점점 높아진 장르로 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시사/정치 부분에서 유명한 BJ 망치부인을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녀의 채널의 특징, 의견, 시청자들과 소통 방법이 한국 사회에서 언론의 자유에 대해 어떠한 시사점을 던지는 지 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인터넷 방송이 음모론 혹은 토론의 장이 되는지에 대해 입체적으로 탐구하고, 더 나아가 인터넷 방송의 청사진에 대해 토론한다.

신문기사정보 패싯 택소노미 구축 방안 - 예술 분야를중심으로 - (Plan of Constructing Facet Taxanomies of Information on News Articles - Focused on the area of Arts -)

  • 장인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81-403
    • /
    • 2019
  • 신문기사를 주제 분야별로 나누고, 분야 내에서 각각의 범주들은 기본 패싯과 결합하는 패싯 택소노미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 패싯 택소노미를 구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패싯 택소노미는 신문기사를 주제 분야(정치, 경제 분야 등)로 나누고 범주(정치 분야의 경우, 정치일반, 행정, 사법 등) 및 하위 범주를 기본 패싯과 각각 결합한다. 하위 범주는 더욱 하위 구분할 수 있다. 택소노미는 범주 간의 계층 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범주-패싯은 예를 들어, "예술"에 대해 '사람', '행위', '행사', '시간', '장소' 등과 결합한다. 그리고 예술의 하위 범주인 '미술', '음악', '무용' 등은 '예술'과 계층 관계를 이루어 추론과 브라우징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범주-패싯 결합은 기본 패싯순으로 계층 구조를 갖는다. 한편, 시험용 어휘 구축은 '예술 분야'를 대상으로 용어 145어를 본 연구에서 다루는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패싯 택소노미를 구축하고, 디스플레이를 예시하였다.

남성 아브젝트라는 새로운 가부장의 형상과 계급 재현의 젠더 정치 -영화 <기생충>을 중심으로 (New Aspect of Patriarch as a Male Abject and Gender Politics of Class Representation - Focusing on )

  • 김건형
    • 대중서사연구
    • /
    • 제27권3호
    • /
    • pp.53-94
    • /
    • 2021
  • 본고는 영화 <기생충>에서 계급적 양극화를 드러내는 혐오스러운 남성 아브젝트의 젠더적 재현 양상에 주목한다. 프레카리아트 남성이 혐오스러운 신체/위치를 자임함으로써 남성 가부장이 되는 새로운 감정정치의 양상을 독해하고자 한다. <기생충>은 통념적인 가족 서사와 반대로 부모를 책임지는 자식이라는 전도를 보여준다. 타인의 자리를 빼앗아야 자신의 자리가 생긴다는 신자유주의적 생존법을 부모 세대에게 가르쳐주는 것이다. 민혁으로부터 성공한 구세대 가부장의 유산인 수석을 전달받은 뒤부터, 기우는 중산층 남성 주체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품는다. 그러나 이 전망을 상실한 뒤 기우는 아버지에게 먼저 죄송하다고 역전된 고백을 한다. 가족의 계급적 지위를 지켜내기 위해 자신이 희생해야 한다는 과잉된 책임 윤리를 드러낸다. 기택 역시 동익과 가부장으로서의 동일시를 시도했지만, 이 남성 연대가 계급에 의해 무너지면서 급작스러운 분노에 휩싸여 살인을 저지른다. 그 결과 기택은 몸에서 악취가 나는 지하생활자라는 혐오스러운 지위로 내려가게 되고, 오직 기우만이 고립된 아버지로부터 윤리적 반성의 메시지를 수신한다. 영화는 계급적 양극화라는 구조에 맞서 싸운 부자에게 윤리적 투사라는 숭고한 지위를 부여하는데, 특히 결말의 에필로그와 내레이션은 부자간의 윤리적 책임감과 상호 연대를 강조한다. 이 과정에서 여성 인물들의 목소리는 점차 누락시켜 남성 인물들을 향한 젠더적 선별을 희미하게 만든다. <기생충>은 계급적 아브젝트를 자임함으로써 윤리적으로 주체화되는 신자유주의 시대 프레카리아트 남성의 정치적 재현 전략을 드러내고, 혐오를 젠더적으로 선별해 재현함으로써 가부장의 책임 윤리를 새롭게 미학화하고 있다.

지명의 정치지리학: 행정구역개편으로 인한 시 명칭 결정을 사례로 (The Political Geography of Place Names : The Decisions of City Names in the Process of Administrative District Reorganization)

  • 지상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10-325
    • /
    • 2012
  • 인류는 한 장소를 다른 장소와 구분하기 위해 지명을 사용해왔으며, 지역의 정체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지명이 선택된다는 점에서, 지명은 인간의 집합적인 의식의 산물이다. 또한 지명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사성을 가지며, 그 변화의 이면에는 사회 집단들의 경쟁과 투쟁 그리고 헤게모니 집단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지명을 관철시키기 위한 정치적 의도가 자리하고 있다. 최근의 지리학계의 지명연구는 이러한 정치 사회적 과정에 주목하고 있으며,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경향의 연장선상에서, 1990년대 중반 도농통합적 행정구역 개편 당시 시의 명칭을 둘러싼 논쟁을 정치 지리학적으로 살펴보았다. 통합 당시 시 군 주민들은 지명이 가지는 역사성과 인지도를 내세우며 자신들의 주장을 정당화하였으며, 지역의 경제력이 정치적 자원으로 동원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통합시 명칭의 결정은 주로 인구규모나 기초의회 의원의 숫자 등 정치적 자원의 양으로 결정되었으며, 일부 지역은 시의 명칭을 통합의 협상카드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는 지명의 결정이 정치적 경합관계의 산물임을 보여주며, 이러한 정치적 논쟁속에서 지명은 시 군의 영역성(territoriality)의 상징이 된다. 시명칭의 결정 이후에도 지명은 지역정치에서 지속적인 논란의 대상이 되며, 이는 향후 행정구역 개편과정에서 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합리적인 지명 결정의 방법이 고민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만평 속 인물캐릭터인 '국정원 여직원'의 기호적 분석 (Symbolic Analysis of a Figure Character in Satirical Cartoon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Female Agent')

  • 박경철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7호
    • /
    • pp.307-334
    • /
    • 2014
  • 만평은 특정인물 또는 사회현상을 풍자하기 위해서 특정인물 또는 사회현상에 비유되는 인물캐릭터를 등장시킨다. 만평 속 인물캐릭터의 말과 행위를 통해 부정행위를 한 권력자나 부조리한 사회현상을 드러낸다. 본 연구의 인물캐릭터인 국정원 여직원은 장기간에 걸쳐 만평에 등장하고 있으며, 실제 인물 대신에 사회현상을 비유하고 있다. 이처럼 국정원 여직원이 장기간에 걸쳐 만평 속 인물캐릭터로 등장하는 이유는 관련된 사회현상이 종결되지 않고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또한 실제인물 대신에 사회현상을 비유하는 이유는 국정원 여직원의 숨겨진 얼굴로 인해 얼굴을 알기 쉽지 않은데 기인한다. 숨겨진 얼굴은 인물의 특징을 과장하기 힘들게 한다. 숨겨진 얼굴은 야구모자와 목도리로 상징되는 숨고 싶은 욕망의 표현이기도 하다. 숨겨진 얼굴과 숨고 싶은 욕망은 실제 인물 대신에 관련 있는 다른 인물 혹은 사회현상으로 치환하기 쉽게 만든다. 즉 국정원 여직원의 외형적 특징은 만평에서 '추가된 기의'를 결합시키기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는 셈이다. 만평 속 인물캐릭터인 국정원 여직원은 실제 국정원 여직원과 무관하게 여러 의미가 필요에 의해 결합하여 실제 인물은 사라지고 다른 인물 혹은 집단 또는 사회현상으로 치환된다. 이처럼 본 연구는 만평에서 '국정원 여직원'으로 등장하는 인물캐릭터를 기호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만평 속 인물캐릭터의 역할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만평 속 인물캐릭터의 기호적 분석을 통해 다음을 알 수 있다. 첫 번째, 만평은 사회현상을 풍자한다. 만평 속 인물캐릭터가 실제 인물을 대신하여 사회현상을 풍자한다. 두 번째, 만평은 정치가 만들어내는 부조리한 사회현상의 핵심적이거나 감추고 싶은 치부를 드러내어 풍자한다. 만평 속 인물캐릭터가 실제 인물을 대신하여 사회현상의 핵심적이거나 감추고 싶은 치부를 드러내어 풍자한다. 세 번째, 만평은 정치가 만들어내는 부조리한 사회현상의 책임자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다. 만평 속 인물캐릭터가 실제 인물을 대신하여 정치가 만들어내는 부조리한 사회현상의 책임자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다. 네 번째, 만평은 정치가 만들어내는 부조리한 사회현상에 의해 개인이 받게 되는 상처 혹은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게 카타르시스를 제공한다. 만평 속 인물캐릭터가 실제 인물을 풍자하고 조롱함으로써 부조리한 사회현상에 의해 개인이 받게 되는 상처 혹은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게 카타르시스를 제공한다.

『순진한 테러리스트』에 재현된 스?하우스-레싱의 장소정치학 (The Squat Represented in The Good Terrorist: Lessing's Politics of Place)

  • 박선화
    • 영미문화
    • /
    • 제14권1호
    • /
    • pp.27-51
    • /
    • 2014
  • Doris Lessing describes a band of revolutionaries who become involved in terrorist activities far beyond their level of competence in The Good Terrorist. Alice Mellings who is from a middle-class family has organized a squat house in London and seems capable of controlling everyone around her and anything about the house. She is seemingly like a housekeeper or a breadwinner. She also likes to be on the battlefront, for instance, demonstrating, picketing and spray-painting slogans. Such is able to easily exploit the others and she increasingly becomes the leader in the house. Recently some critics have focused on the political and social roles of the protagonist who represents a voice of terrorists in the 1980s England. Based on this, The Good Terrorist is read with the concept of the subject of feminism that Gillian Rose adopts in order to show that this subject tries to avoid the exclusion of the master subject. This subject imagines spaces which are not structured through masculinist claims to exhaustiveness. Alice as the subject of feminism shows different roles; she extorts or steals money for the maintenance of the house from her affluent parents; she spends all her time cleaning, fixing, decorating the deserted house; and she looks after the official affairs related to the house with her skills and experiences. She is systematically in charge of the house and sits at the head of the table in the kitchen. But when their activities turn into disaster and their plans fail, Alice willingly decides to close down the house after ousting the members. Here in her extorted gaze it is revealed that she takes control over the working class members of the house who are unable to lead a revolution because of their own problems and thereby the working class are dominated by the middle class. That is, the place is paradoxically recreated based on class differences, which the revolutionaries try to break. By representing the deconstruction and recreation of the place through squat houses, Lessing reveals her implicit feminism in which a new place should be produced crossing the principle of the dichotomy of gender and class.

넥타이 업체의 브랜드 현황과 소비자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rand Situations of Neck-tie-industry and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 이인자;박지영
    • 복식
    • /
    • 제23권
    • /
    • pp.169-181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he neck-tie business enterprise establish the reasonable marketing strategy meeting consumer' needs by grasping their characteristic of purchasing neck-ties and their attitudes toward trademar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t was shown that the neck-tie enterprise tended to appeal to megazines, catalogues , etc as promotional politics, while the tips obtained by consumers would come from the showcase at the purchasing place. and the consumer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salesperson's advice. For this result, it is required to place further emphasis on the marketing policy such as the display of products at the store or the education of sales persons. 2. It was shown that the consumer tended to use the department store as the purchasing place remarkably, and so it could be found that the use of the department store is becoming generalized to the consumer. But is was shown that the consumer sensitive to prices tended to make use of the marketplace as the purchasing place, so the practical marketing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in relation to this trend. 3. The important elements excreting an influence on the consumer's purchasing the neck-tie were shown to be in orders of design > color> harmony > with suit > price > quality, and the product differentiation policy used by the business enterprise to appeal to the consumer was shown to be in orders of design >color > quality > material > price. Accordingly , it was consistent with the consumer's criterion for choice to an extent. 4. It was shown that the selling price for the neck-tie brand actually was higher for imported or technically cooperated brands than for the home-made brand. Thus, the consumer's perception of the price for the neck-tie was consistent with in this regard, consumers did not feel some difference in quality between the home -made neck-tie brand and the imported or technically cooperated neck-tie brand .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duce the product capable of satisfying the consumer's need by manufacturing the own brand on basis of impored technology.

  • PDF

Exploring Southeast Asian Studies beyond Anglo-America: Reflections on the Idea of Positionality in Filipino Thought

  • de Joya, Preciosa Regina
    • 수완나부미
    • /
    • 제11권1호
    • /
    • pp.41-70
    • /
    • 2019
  • As a response to Peter Jackson's call for a Southeast Asian Area Studies beyond Anglo-America, this paper argues that the achievement of this salient objective hinges on an understanding of the idea of positionality and what it entails. Drawing from reflections from Filipino scholars, positionality can be understood not merely as one's determination through geographic location or self-knowledge of one's condition within the politics of knowledge production; rather, it is the power and opportunity to claim a place from which one understands reality in one's own terms, and the capacity to effect influence within her intellectual domain. In redefining positionality as such, one realizes that crucial to establishing Southeast Asian Area studies beyond Anglo-America is acknowledging the importance of the vernacular in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knowledge, as well as the constant danger of English as the global lingua franca, established in the guise of an advocacy that resolves unevenness by providing equal opportunity for all intellectuals to gain "global prominence." This paper argues that, instead of trying to eradicate unevenness, one can acknowledge it as the condition of being located in a place and as a privileged position to think and create beyond the shadow of Anglo-American theory.

  • PDF

재일 한인 축제를 통해서 본 장소의 정치 (A Korean Festival in Japan and the Politics of Place)

  • 이희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48-261
    • /
    • 2003
  • 본고에서는 오사카의 이꾸노 한인축제의 정성적 분석을 통하여 민족적 정체성이 어떻게 구축되며, 커뮤니티 내외적 이해관계를 매개로 그 과정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차이보다는 유사성을 고려함으로써 재조직되는 문화의 잠재성에 특히 주목하고 싶다. 이러한 역동적 상호관련은 특정한 사회논리와 정체성이 겨루어지는 속에 특유하며 비공식적인 공공권이 축제에 의해 제공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러한 광범위한 활무대는 특정의 배제와 포섭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연구는 축제를 통해 정체성이 구축되고 끊임없이 협의되는 미시적 수준의 복합적 정체화 과정을 드러낸다.

  • PDF

한국의 주부와 개발의 정치학 (Jubu, Politics of Gender, and National Development in South Korea)

  • 데니스하트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2호
    • /
    • pp.47-66
    • /
    • 2001
  • Today in modern Korea, the preferred modern social role for many modern women is that of modern housewife. This move to the role of housewife is a change in more than just a role; it also reflects a deep and fundamental change that has taken place in the social and economic roles of married women. This shift in economic activities and the gender roles they help produce speaks of a deep and profound process of transformation for all of Korea. Traditionally, a woman was a member of a family premised upon group production as well as group consumption. The role of jubu is derived almost exclusively from market forces and bases her identity and actions upon those forces. This distinction is crucial because it means Korean women are finding that they are no longer as central to the existence of the family. Modern life situations have altered a womans role by making consumption, not production by the woman herself, the keystone of modern famil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