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tics

검색결과 1,249건 처리시간 0.027초

Conflating Blackness and Rurality: Urban Politics and Social Control of Africans in Guangzhou, China

  • Huang, Guangzhi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9권2호
    • /
    • pp.148-168
    • /
    • 2020
  • In April, 2020, amid widespread fear of a second wave of infections of the novel coronavirus in China, local authorities in Guangzhou cracked down on the city's black population, resulting in mass evictions of Africans. The incident raises several questions about racism in China. How should we interpret this heavy-handed treatment of black people? Was this an isolated incident? What motivated such operations? In this article, I explain social control of Guangzhou's African communities as a problem of municipal politics. What underlies the government's heavy handed approach, I argue, are those communities' ties to rurality, which constitute a roadblock in the city's urban upgrade. Using Dengfeng Village, one of the best known African communities in China, as a case study, I show that efforts to upgrade the area by the local state and the real estate industry were frustrated by the community's status as an urban village. Africans, whom Chinese have historically associated with rurality, are seen as contributing to a space that has long been stigmatized as a spatial manifestation of rural people's lack of self-discipline. To better reveal the interconnection between social control and urban politics, I place official action in context of the history of the community's formation and the lived experience. This analysis of Dengfeng applies to various extents to other major African communities in Guangzhou.

『사만』에 나타난 아유 우따미의 현실인식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the Actuality Represented in Ayu Utami's Saman)

  • 김장겸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2권2호
    • /
    • pp.171-199
    • /
    • 2012
  • Saman, a novel written by Ayu Utami, has been recognized as the symbol of the politico-social changes, which began to occur since the collapse of Suharto' New Order regime in 1998. In the novel, Ayu Utami showed the spirits of resistance against various absurd socio-political circumstances during the New Order era such as pressure on discussion, abuse of power, politics-business collusion, patriarchism, and suppression of gender. In representing those spirits, Ayu Utami used unconventional structure-making, fresh feedback and multilayered descriptions of the figures, which brought her a fame as the pioneer of the Fragrant Literature (Angkatan Wangi or chick-lit). Ayu Utami particularly criticized that, under the name of sustaining the national integrity and identity, the New Order regime enhanced patriarchal system, which consequently infringed gender equality and women's rights to self-determination. In addition, Ayu Utami argued that the abuse of power and politics-business collusion, which were prevalent during the New Order period, destroyed lives of the masses and the Indonesian society.

記憶とパワーのジェンダーポリティックス: 東アジアの国際関係において日本の平和憲法と慰安部問題の意味づけ (Gendered Politics of Memory and Power: Making Sense of Japan's Peace Constitution and the Comfort Women in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 金泰柱;李洪千
    • 분석과 대안
    • /
    • 제4권2호
    • /
    • pp.163-202
    • /
    • 2020
  • This paper examines how Japanese society produced and reproduced a distinctively gendered history and memories of the experience of WWII and colonialism in the postwar era. We argue that these gendered narratives, which were embedded in postwar debates about the Peace Constitution and comfort women, have engendered contradictions and made the historical conflicts with neighboring countries challenging to resolve. On the one hand, this deepens conflict, but on the other, it also generates stability in East Asia. After Japan's defeat in WWII, the American Occupation government created the Peace Constitution, which permanently "renounces war as a sovereign right of the nation and the threat or use of force as means of settling international disputes." The removal of the state's monopoly on violence - the symbol of masculinity - resulted in Japan's feminization. This feminization led to collective forgetting of prewar imperialism and militarism in postwar Japan. While collectively forgetting the wartime history of comfort women within these feminized narratives, the conservative movement to revise the Peace Constitution attempted to recover Japan's masculinity for a new, autonomous role in international politics, as uncertainty in East Asia increased. Ironically, however, this effort strengthened Japan's femininity because it involved forgetting Japan's masculine role in the past. This forgetting has undermined efforts to achieve masculine independence, thus reinforcing dependence on the United States. Recurrent debates about the Peace Constitution and comfort women have influenced how Japanese political elites and intellectual society have constructed distinctive social institutions, imagined foreign relations, and framed contemporary problems, as indicated in their gendered restructuring of history.

  • PDF

Being True to Oneself: Sewol Ferry Disaster and Homeland Politics of Korean Immigrants in Britain

  • Shin, Mijoo;Han, Heejin
    • 분석과 대안
    • /
    • 제3권2호
    • /
    • pp.33-57
    • /
    • 2019
  • After the tragic incident of the sinking of Sewol in spring 2014, Korean migrants in Britain began to hold street protests in London. These protestors condemned the Korean government for the lack of appropriate responses to the accident, and for its failure to conduct proper investigation on the issue. The small group of protestors held silent street protests every month at Trafalgar Square, despite not gaining much media coverage nor public attention. These migrants' almost three-year long protest outside their homeland is puzzling. Not only did they live in Britain for a long time to the extent that they regard the country as their second home, but they also exert scant amount of influence on the political landscape in South Korea. What can then account for these individuals' participation in activism related to their homeland politics? In this paper, we utilize the concept of 'moral identity' to explain the behaviors of Korean migrants involved in the street protests. These migrants had strong 'moral identity', which triggered a sense of responsibility to act when their cherished moral values were jeopardized. Korean migrants who possessed a strong sense of moral identity placed huge importance on living in accordance with their moral values. It is a way of upholding their self-esteem and sustaining their ideal self.

  • PDF

미국 장애연극에 나타난 다양성의 정치학 -장애, 인종, 민족성의 교차 공연 (The Politics of Diversity in American Disability Theater: Performing the Intersection of Disability, Race, and Ethnicity)

  • 김영덕
    • 영어영문학
    • /
    • 제56권4호
    • /
    • pp.597-618
    • /
    • 2010
  • This paper discusses American disability theater's representations of disability identity and disability identity politics. Dramatists John Belluso and Lynn Manning, among others, present characters with disabilities who experience oppressions at multiple, interlocking levels of domination on the basis of disability, race, and ethnicity. In Manning's Shoot, the black, blind hero iterates episodes in which he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insults in encounters with whites who used derogatory racist words or belittled him and with some school children who taunted him for just being blind. This play, as in Manning's solo performance, Weights, presents narratives of a blind person traversing multiple locations of oppression in "a long litany of losses" in a white-dominated and ableist society. Belluso's Gretty Good Time similarly weaves together stories of disabled women, Gretty and Hideko, who bond together to resist the dominant ideology that reduces them into titillating commodities of mass consumption. Hideko's story serves the two-fold function of both affirming the specificity of her individual experience as an ethnic other and espousing the communal experience of stigmatization she shares with other disabled women like Gretty. In these plays, the intersection of the identity categories of disability, race, and ethnicity highlights the diversity of the body and the fluidity of boundaries, foregounding the specificity of disabled bodies, while at the same time overthrowing the hierarchical binarism between disabled and "normal" bodies.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에 대한 리더와 구성원 지각의 정합성: 조직정치지각과 정서적 조직몰입의 관계를 중심으로 (Congruence in Leader and Follower Perceptions of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s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 박재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240-252
    • /
    • 2016
  • 본 연구는 리더 또는 구성원의 자기보고에 의한 일방향적인 LMX 지각과 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한 기존 연구와 달리, LMX지각의 정합성을 바탕으로 리더와 구성원의 LMX 지각의 균형과 불균형에 따른 조직정치지각 및 정서적 조직몰입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특히, 불확실성관리이론에 근거하여 LMX지각의 정합성 차이에 따른 집단별로 구성원의 조직정치지각이 정서적 조직몰입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정서적 조직몰입은 균형/LMX 고집단이 균형/LMX 저집단과 구성원 저평가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구성원 고평가집단 역시 균형/LMX 저집단과 구성원 저평가집단에 비해 높았다. 둘째, 조직정치지각은 균형/LMX 고집단이 균형/LMX 저집단과 구성원 저평가집단에 비해 낮았으며, 구성원 고평가집단은 균형/LMX 저집단에 비해 낮았다. 마지막으로 불확실한 정치적 업무환경에서 구성원의 정서적 조직몰입은 모든 집단(균형/LMX 고집단, 균형/LMX 저집단, 구성원 저평가집단, 구성원 고평가집단)에서 감소되었다. 특히, 내집단에 비해, 외집단의 구성원들이 정치적 업무환경 하에서 정서적 조직몰입에 더욱 부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마지막으로 종합논의를 통해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4P모델 분석을 통한 경찰과 언론의 바람직한 관계 정립 방안 (Ideal Relationship between Police and Press through the Analysis of 4P Model)

  • 김영식;유제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40-349
    • /
    • 2011
  • 이 연구는 4P(Police-Press-Politics-Public) 모델의 분석을 통해 언론과 경찰의 바람직한 관계 정립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Jean-Louis Loubet Del Bayle은 4가지 주체인 경찰, 언론, 대중, 정치의 관계에 관하여 정보의 교류와 흐름, 권력관계, 정당성 관계라는 3가지 측면에서 이들 간의 관계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모델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언론과 경찰은 국민과 정치라는 외부 주체와의 관계에서 정당성(Legitimacy)을 부여받고 그 정당성을 바탕으로 정보를 입수하고 상대방에 대한 통제 권한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이렇듯 각자의 사회적 기능과 외부환경과의 관계는 경찰과 언론의 관계를 민감하고 복잡하게 만드는 근본 이유가 된다. 4P모델의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언론과 경찰의 균형적 관계 정립은 두 주체의 사회적 기능을 보장하고 정당성 확보의 공통 경로인 국민들의 이익으로 귀결된다는 것이다. 또한, 경찰은 언론과의 균형적 관계 형성을 통해 사회변화의 적응성을 높여 경찰행정발전의 영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경찰과 언론의 균형적 관계를 위해서는 두 주체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실질적인 '보도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야 하고, 경찰로서는 언론에 대한 사회적 기능의 이해와 관계 개선을 위해 전문적인 인력으로 구성된 언론 담당 부서를 설치해야 한다.

경합하는 기술, 경계의 재설정, 그리고 기표-정치(signifiant-politics): 기능성자기공명혈관조영술(fMRA)의 사례로 살펴본 신기술의 명명 작업 (Contested Technologies, Resetting the Boundary, and the "signifiant-politics": Semiotical Governance of New Technology in the Case of fMRA)

  • 이준석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199-222
    • /
    • 2014
  • 기능성자기공명혈관조영술(fMRA)은 2008년 한국에서 처음 이루어진 기술과학적 혁신이다. 7테슬라 초고자장 자기공명영상을 주로 활용하는 이 기술은, 뇌내 미세혈관 영상을 획득하여 뇌의 인지활동을 이미징하는 기술이며, 가천의대 뇌과학 연구소에서 기본 개념이 개발되었다. 관련 논문은 2008년, 2010년, 2012년 세 차례에 걸쳐 연관된 SCI 저널에 출판되었으며 지속적으로 그 가능성이 탐색되고 있는 중이다. 특히 fMRA는 Seiji Ogawa 박사가 '90년대 개발하여 인지과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fMRI(기능성자기공명영상)와 경합하는 기술로 개발되었다. fMRI와 fMRA 모두 뇌내 미세혈관의 영상을 획득하여 인간의 인지기능을 시각화하는 기술이다. fMRI는 특정한 인지활동에 따르는 국소적 산소농도 변화를 포착하여 이미지화하는 기술이고, fMRA는 초고해상도 뇌영상의 획득을 통해, 해당 인지활동과 연관된 뇌의 영역으로 연결되는 미세혈관의 변화 자체를 포착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fMRA 기술이 구성되던 시기의 과학자사회 내부를 들여다보면, 우리는 해당 신기술이 일련의 경계 작업을 통한 과학적 개념의 재설정과 용어(기표)의 자유로운 의미작용을 활용하여 입지를 공고히 하는 기호학적 작업(기표-정치)을 수반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기표-정치는 기호학적인 정치 행위이자 정치적인 기호사용 행위(semiotic politics and political semiotics)이다. 기술과학의 정치성은 과학자 사회와 시민사회,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접점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며, 신기술이 등장한 경우 우리는 수면 밑에서 발생하는 과학자들 간의 경합 외에도 신기술과 구기술 사이의 기술적 경합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신기술과 결부된 이러한 측면을 분석함으로써 분석자는, 특정 기술과학에 내재된 경쟁구조와 핵심 행위자들 사이에 배태된 정치성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 PDF

법과 소통 그리고 정치 - 율곡의 폐정개혁론을 중심으로 - (Law, Communication and Politics : Yulgok's Thinking on Reform of Obnoxious Politics)

  • 최진홍
    • 동양고전연구
    • /
    • 제36호
    • /
    • pp.301-332
    • /
    • 2009
  • 우리 학계에서 율곡이 살았던 16 세기는 흔히 성리학의 전성기로 평가된다. 그런데 율곡을 통해 본 당시의 상황은 절망적이었다. 학문적으로는 성리학이 꽃을 피웠지만 정치적으로는 쇠락의 길로 치닫고 있었다. 따라서 성리학 중심의 연구는 나름대로의 의미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정치를 분석하기에는 한계를 갖는다. 율곡을 다룬 기존 연구들은 주로 철학적 이론중심에 맞추어 설명하는 방식을 취해왔다. 이 논문은 이와 달리 율곡이 현실정치에서 실제로 보고 듣고 느낀 다양한 정치적 경험들을 재구성하는 방식을 택한다. 기존의 연구가 주로 율곡의 철학을 다룬 '경학론' 중심이었다면, 이 책은 율곡의 정치적 경험에 근거한 '정치적 사고'에 주목하여 그의 '경세론'을 복원하려는 의도를 갖는다. 필자가 율곡에게서 가장 주목한 용어는 폐(弊)였다. 율곡의 관직생활은 전(前)시대의 권간들이 남긴 유폐(遺弊)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으로 시작되었다. 율곡이 주목한 것은 '백성[民]'이 아니라, 백성들의 구체적인 삶의 모습인 '민생(民生)'이었다. 율곡은 당시 처참한 민생의 원인이 바로 '폐법(弊法)'에 있음을 인식하고, 폐법을 개혁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벌인다. 율곡은 백성을 사랑하는 애민(愛民)의 차원이 아닌, 백성이 편안한 안민(安民)에 초점을 두게 된다. 이후 율곡의 관심은 '폐정(弊政)'이라는 문제로 옮겨가게 된다. 율곡은 폐법이 개혁되지 못하는 이유를 폐정에서 찾고 있었다. 율곡이 지목한 폐정은 첫째는 잘못된 인사문제였고, 둘째는 왜곡된 공론문제였다. 율곡은 인사문제와 공론문제는 모두 '소통의 부재'라는 요소에 그 기원을 두고 있음을 인식한다. 율곡은 여기서 논(論)보다 의(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의(議)를 살려냄으로써 정치의 장에서 소통의 기반을 마련하려는 시도를 한다.

한국사회 복지태도 변화의 역동성 : 개인 복지태도 변화에 대한 종단자료 분석 (Dynamics of Welfare Attitudes Change in Korea: Longitudinal Study of Korean's Welfare Attitudes Change)

  • 이상록;이순아;김형관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4호
    • /
    • pp.59-89
    • /
    • 2017
  • 개인 복지태도의 변동성은 해당 사회의 복지태도 양상 및 특성, 이의 정치적 영향 등을 파악함에 있어 주목되어야 할 부분이다. 이러한 점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인 복지태도의 종단 변화에 대한 분석 및 고찰을 통해 한국사회 복지태도 변화의 양상 및 특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는 2010년, 2013년, 2016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 복지인식 부가조사를 활용하였으며, 개인 복지태도의 변화는 '소득격차해소의 정부책임성', '복지증세' '보편(선별) 복지' 등의 3개 주요 복지태도 항목들에서 지지 상태의 변화 뿐 아니라 다양한 변화 유형들(친복지적 태도 변화와 반복지적인 태도 변화; 미온적인 지지태도 변화와 극적인 지지태도 변화)로 측정,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복지태도 항목들의 미약한 평균치 변화와는 달리 개인 수준의 지지 태도의 변화는 매우 활발하여, 한국사회에서 개인 복지태도 변화의 역동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개인 특성에 따른 복지태도 변화 분포는 복지이슈 및 시기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여, 복지태도의 변화는 특정 집단에 국한되지 않고 정치사회적 상황 및 이슈에 따라 역동적으로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이항 및 다항 로짓 모델들의 분석에서 복지태도 변화는 성별, 연령, 거주지역, 고용지위, 소득계층, 정치이념 등의 다양한 개인 특성과 유의하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나, 복지태도 변화에는 계층 및 계급적 이해 뿐 아니라 다양한 측면의 개인적 이해가 개입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사회에서 개인 수준의 활발한 복지태도의 변화 혹은 역동적 변화를 확인하는 바로, 정태적인 분석 접근에서 벗어나 한국인의 활발한 복지태도 변화에 대한 학술적, 정치적 주목의 필요성을 환기하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