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olicy compliance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3초

직원의 정보보안 정책 준수에 대한 중화기술과 조직시민행동의 영향 연구 (A Study on Neutraliz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Information Security Policy Compliance)

  • 최명길;최화영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65-76
    • /
    • 2015
  • 본 연구는 중화 이론, 조직시민행동 개념이 직원의 정보보안 정책 준수 의도에 영향을 준다고 가정하고, 요인 간의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계 및 분석하였다. 연구모형과 가설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위해 온라인 설문을 통해 표본을 수집하였고, 분석 결과 중화 이론, 조직시민행동 변수는 직원의 정보보안 정책 준수 의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발성을 기초로 한 조직시민행동이 정보보안 정책 준수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화 기술이 정보보안 정책 준수 의도를 약화시키는 것을 검증하여 조직에서는 구성원들의 중화하려는 심리를 억제시키기 위해 탈중화 전략의 구체적인 형태를 고민하고, 의식교육 및 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하는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의 정보보안 강화에 기여하고, 향후 정보보안 정책 연구들의 초석이 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한국인 치료순응도 향상을 위한 개입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n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o Improve Patient Compliance in Korean)

  • 김춘배;조희숙;현숙정;박애화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3-42
    • /
    • 2002
  • 본 연구는 최근 20년간의 치료순응도 관련 국내연구를 수집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계량적 메타분석을 통하여 순응도 향상을 위한 개입 효과를 산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이후 20여년간 치료순응도와 관련된 연구는 133편에 달하였다. 이중 순응도 향상을 위한 실험연구가 11.3%, 단면연구 및 전향적 관찰연구가 88.7%에 해당하였으며, 후자의 경우 주로 순응도 향상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들이었다. 둘째, 연구대상의 상병 종류는 고혈압이 전체 연구의 24.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기타 만성질환, 당뇨병 및 결핵의 순으로 주로 이환기간이 길고 완치가 어려워서 치료순응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는 질환들이었다. 셋째, 133편 논문의 질적 메타분석과정을 거쳐 선별기준에 부합되는 논문은 10편으로 순응도 측정은 고혈압의 경우 혈압 조절과 같은 건강효과를, 당뇨병의 경우 뇨당, 혈당 저하와 같은 직접적인 지표 측정의 방법을 측정하였고, 이외에도 약속 이행과 환자의 주관적 보고, 약물 복용이행과 같은 객관적 지표를 측정하였다. 한편 개입방법으로는 행동변화를 적용한 1편의 연구 이외에 교육적, 행동적 및 정서적 개입의 방법을 모두 병행하여 적용하고 있었다. 넷째, 이들 중 6편의 논문에 대하여 순응도 향상에 대한 개입의 통합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 개입을 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개입이 이루어진 경우에 치료순응도 향상 효과는 4.1192여서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다시 순응도 측정방법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치료 순응도를 건강결과(혈압)로 측정한 경우 개입으로 인한 유효크기는 0.4679였고, 직접 측정지표(혈당/뇨당)에 의한 경우 개입 후 유효크기는 0.7753으로 나타나 순응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다양한 개입활동들이 환자의 치료순응도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제시할 수 있다. 그러나 계량적 메타분석 기준에 부합되는 연구의 논문 수가 제한적이라는 한계점이 있으며, 연구에 사용되는 개입방법의 시도가 더욱 다양화될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어 향후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Factors affecting hand hygiene behavior among health care workers of intensive care units in teaching hospitals in Korea: importance of cultural and situational barriers

  • Jeong, Heon-jae;Jo, Heui-sug;Lee, Hye-jean;Kim, Min-ji;Yoon, Hye-yeon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6-49
    • /
    • 2015
  •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where severely ill patients are treated, importance of reducing Hospital Acquired Infection (HAI) cannot be overstated. One of the simplest and most effective actions against HAI is proper hand hygiene (HH) behavior of Health Care Workers (HCWs). However, compliance varies across different cultures and different job types of HCWs (physicians, residents and nurs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determinants of HH behavior by HCWs' job types in Korea.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Reasoned Action Approach style interviews with staff physicians, residents and nurses across 7 teaching hospitals. We found that all HCWs strongly believe HH is important in reducing HAI. There were, however, job type-specific HH behavior modifying factors; staff physicians stated feeling pressure to be HH behavior role model. Residents identified Quality Improvement team that measured compliance as a facilitator; a notable barrier for residents was senior physicians not washing their hands, because they were afraid of appearing impudent to their seniors. Nurses designated their chief nurse as a key referent. All participants mentioned heavy workload and lack of access to alcohol-based sanitizer as situational barriers, and sore and dry hand as deterrents to HH compliance.

질 향상 활동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Quality Improvement Performance)

  • 이선희;강혜영;조우현;채유미;최귀선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4-69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qualify improvement(QI) activities. A mail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15 and October 30, 2000, with the staffs being charge of QI at each of the hospitals with 400 beds or greater. Of the 108 hospitals eligible for inclusion in our study, 79 participated, yielding a response rate of 73.1%. After excluding 12 hospitals that did not perform any QI activities, 117 responses from 67 hospitals were used for the analysis. Using the Malcolm Baldrige National Quality Award Criteria(MBNQAC), perceived performance of QI was measured in terms of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clinical practice, clinical supporting department, administrative procedure of receiving care, customer satisfaction, efficiency and standardization of work process. Factors evaluated for the association were the extent of QI implementation, compliance to 5 QI principles, participation of hospital CEOs, budget allocation, history of QI, and bed size.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QI performance and these factor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ospitals showing higher degree of QI implementation (path coefficient=0.5967, p<0.001)) and better compliance with the basic principes of QI(0.5736, p<0.05) tended to achieve better performance. Path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hospital CEOs(0.1954, p<0.05) and compliance with the basic principes of QI(0.4028, p<0.0001) indirectly affected the outcomes of QI by influencing the intermediate variable of the level of QI implementation. This study results suggest that having employees have a good orientation of the basic concept and principes of QI through relevant training be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 to achieve better outcomes from QI activities. In addition, to educate leaders of hospitals the need of active implementation of QI is important to encourage their participation and draw strong support for QI programs.

  • PDF

Health Promotion at Work: A Comparison of Policy and Practice Across Europe

  • Verra, Sanne E.;Benzerga, Amel;Jiao, Boshen;Ruggeri, Kai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0권1호
    • /
    • pp.21-29
    • /
    • 2019
  • Background: Promoting healthy lifestyles at work should complement workplace safety programs. This study systematically investigates current states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OHS) policy as well as practice in the European Union (EU). Methods: OHS policies of EU member states were categorized as either prevention or health promotion provisions using a manifest content analysis. Policy rankings were then created for each prevention and promotion. Rankings compared eight indicators from the European Survey of Enterprises on New and Emerging Risks-2 data on prevention and promotion practices for each member state using Chi-square and probit regression analyses. Results: Overall, 73.1% of EU establishments take preventive measures against direct physical harm, and about 35.4% take measures to prevent psychosocial risks. Merely 29.5% have measures to promote health. Weak and inconsistent links between OHS policy and practice indicators were identified. Conclusion: National OHS policies evidently concentrate on prevention while compliance with health and safety practices is relatively low. Psychosocial risks are often addressed in national policy but not implemented by institutions. Current risk assessment methods are outdated and often lack psychosocial indicators. Health promotion at work is rare in policy and practice, and its interpretation remains preventive. Member states need to adopt policies that actively improve health and well-being at the workplace.

조직의 보안 분위기가 개인의 기회주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An Effect of Organizational Security Climate on Individual's Opportunistic Security Behavior: An Empirical Study)

  • 임명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31-46
    • /
    • 2012
  • 보안 분위기에 대한 연구를 위해 안전 분위기에 관한 선행연구와 성과모델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정보보안 분위기 모델을 제안하였다. 연구모델은 정보보안 분위기, 보안 정책 준수 태도, 그리고 기회주의적 보안 행위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조직의 보안 분위기는 보안정책 준수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태도는 기회주의적 보안 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안 분위기는 기회주의적 보안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보안 정책 준수태도를 통해 간접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정보보호 정책 동향에 따른 공공기관 담당자를 위한 업무 수행 준수사항 및 시사점 (Compliance and Implications for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y Policy Trends)

  • 주광일;최선희;박학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61-467
    • /
    • 2017
  • 개인정보보호법은 공공 및 민간 전반에 걸쳐 사회 전반에 걸쳐 강력하게 적용되고 있는 법률로 최근 주관 부처인 행정자치부에서는 매년 보호수준 및 관리수준을 강화해가고 있다. 그러나 실제 현장의 경우 공공기관 담당자 입장에서 개인정보보호법 준수를 위하여 개정되는 법령을 쫓아가는데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보호 정책 동향을 살펴보고, 공공기관의 입장에서 개인정보보호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준수해야하는 항목을 점검하고자 한다. 또한 최근 개인정보보호 관련 정책 중에서 공공에서 추진하는 사항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항을 제시함과 동시에 업무 자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SCO Framework을 적용한 조직과 조직원의 정보보안 준수 관계 연구 (Information Security of Organization and Employees in Social Exchange Perspective : Using Structure-Conduct-Outcome Framework)

  • 황인호;김상현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4호
    • /
    • pp.105-129
    • /
    • 2019
  • Purpose Issues related to information security have been a crucial topic of interest to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the IT/IS field. This study develops a research model based on a Structure-Conduct-Outcome (SCO) framework for the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and organizations regarding information security.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applying an SCO framework to information security, structure and conduct are activities imposed on employees within an organizational context; outcomes are activities that protect information security from an employee. Data were collected from 438 employees working in manufacturing and service firms currently implementing an information security policy in South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ith AMOS 22.0 is used to test the validation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proposed casual relationships in the research model. Findings The results demonstrate support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dicting variables in organization structure (security policy and physical security system) and the outcome variables in organization conduct (top management support, security education program, and security visibility). Results confirm that the three variables in organization conduct had a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 outcome (security knowledge and compliance intention).

개인 대처와 조직 동질성 문화에 따른 정보보안 준수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according to Individual Coping and Organizational Homogeneity Culture)

  • 황인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105-115
    • /
    • 2021
  • 연구 목적은 탐색적 관점에서 개인 대처와 조직 동질성 문화의 차이에 따른 조직 구성원의 정보보안 준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는 개인 대처(업무 중심, 감정 중심)과 조직 동질성 문화(동질성, 이질성)으로 집단을 구분하였으며, 교차설계를 통한 각 집단별 정보보안의 차이를 확인하고, 정보보안 준수 선행요인과 정보보안 준수의 도간의 이중매개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정보보안 정책을 보유한 조직에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21.0을 통해 일변량 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처 차원은 감정 중심이 업무 중심보다 정보보안 관련 평균이 높았으며, 동질성 문화 차원은 동질성이 이질성보다 정보보안 관련 평균이 높았다. 또한, 정보보안 인식과 준수의도간의 영향 관계를 사회적 영향과 정보보안 관여도가 완전 매개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시사점은 조직 문화 차원에 따른 개인의 의사결정 유형의 정보보안 준수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정보보안 준수의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결과는 조직과 개인 특성별 차별화된 정보보안 준수 모델 정립의 방향을 제시한다.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green chemistry technology assessment techniques: a material reutilization case

  • Hong, Seokpyo;Ahn, Kilsoo;Kim, Sungjune;Gong, Sungyong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30권sup호
    • /
    • pp.2.1-2.11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presents a methodology that enables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green chemistry technologies. Methods The study carries out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a particular case of material reutilization by calculating the level of "greenness" i.e., the level of compliance with the principles of green chemistry that was achieved by implementing a green chemistry technology.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greenness level was enhanced by 42% compared to the pre-improvement level, thus demonstrating the economic feasibility of green chemistry. Conclusions The assessment technique establish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 useful reference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industry-level and government-level technological R&D and for evaluating newly developed technologies, which can greatly contribute toward gaining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global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