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arization

검색결과 4,446건 처리시간 0.024초

비스무스실리콘 산화물 단결정을 이용한 전기광학 장치에서의 편광 특성 (Polarization Properties of Signals in $Bi_{12}SiO_{20}$ Electrooptic Devices)

  • 김상국
    • 한국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6-21
    • /
    • 1990
  • The accurate polarization state of the light inside BSO crystal was calculated with consideration of optical activity. By solving Maxwell's equations, the general form of the polarization matrix for any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was obtained. Examples of output polarization states in BSO crystals were also calculated, and their properties were discussed.

  • PDF

Estimation of Polarization Ratio for Sea Surface Wind Retrieval from SIR-C SAR Data

  • Kim, Tae-Sung;Park, Kyung-Ae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29-741
    • /
    • 2011
  • Wind speeds have long been estimated from C-band VV-polarized SAR data by using the CMOD algorithms such as CMOD4, CMOD5, and CMOD_IFR2. Some SAR data with HH-polarization without any observations in VV-polarization mode should be converted to VV-polarized value in order to use the previous algorithms based on VV-polarized observation. To satisfy the necessity of polarization ratio (PR) for the conversion, we retrieved the conversion parameter from full-polarized SIR-C SAR image off the east coast of Korea. The polarization ratio for SIR-C SAR data was estimated to 0.47. To assess the accuracy of the polarization ratio coefficient, pseudo VV-polarized normalized radar cross section (NRCS) value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original VV-polarized ones. As a result, the estimated psudo value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original VV-polarized data with an root mean square error by 0.99 dB. We applied the psudo NRCS to the estimation of wind speeds based on the CMOD wind models. Comparison of the retrieved wind field with the ECMWF and NCEP/NCAR reanalysis wind data showed relatively small rms errors of 1.88 and 1.91 m/s, respectively. SIR-C HH-polarized SAR wind retrievals met the requirement of the scatterometer winds in overall. However, the polarization ratio coefficient revealed dependence on NRCS value, wind speed, and incident angle.

마이크로셀 환경에서 편파 다이버시티 기법 적용을 위한 파라미터 분석 (Analysis of Parameters for Polarization Diversity Scheme in Microcell)

  • 이영수;홍순학;석우찬;윤영중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403-409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셀 환경에서 상향경로(Up- Link)에서의 면파 다이버시티 기법 적용에 필요한 파라미 터인 교차편파 변별도(cross polarization discrimination: XPD). 신호상관계수(signal correlation coefficient:$\rho$). 수신선호 감쇠값(received signal decrease) 등을 측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1.9 GHz에서 측정되었으며 빌딩밀집지역, 주택밀집지역. 상권지역, 학교지역 등 서울 도심지역의 여러 환경에서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교차편파 변별도(XPD)는 환경에 따라 6~11 dB 측정되었고, 신호상관계수($\rho$)는 0.7보다 낮았으며, 수신선호 감쇠값은 3dB보다 작았다. 공간 다이버시티와 성능비교 분석결과. 편파 다이버시티 이득이 환경에 따라 2-5 dB 정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편파 다이버시티 기법은 마이크로 셀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이버시티 기법으로 판단된다

  • PDF

동일 채널 이중편파를 적용하는 디지털 무선 중계장치의 직교편파간섭제거기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Cross-Polarization Interference Canceler for Digital Radio Relay System with Co-Channel Dual Polarization)

  • 서경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25-23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동일채널 이중편파를 적용하는 디지털무선중계장치의 직교편파간섭을 제거할 목적으로 직교편파간섭제거기(XPIC)의 이론적 모델링, 디지털 설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유한임펄스응답 여파기를 이용한 복소 시간영역 적응등화기(ATDE)를 설계하고, 이를 이용한 XPIC의 구조 및 제어방법을 ATDE와의 연동하여 제시하였다. XPIC와 ATDE를 연동으로 약 25㏈ 이상의 시그너쳐(signature)와 약 23㏈ 이상의 XPIC 개선인자를 얻을 수 있음을 모의실험으로 보였다. 설계된 직편파간섭제거기의 동작검증을 위해 동일채널 이중편파용의 64-QAM모뎀과 연동하여 탭의 수, 알고리즘의 수렴, 장치의 성능, 직교편파간섭제거기의 개선인자에 대한 결과도 검토하였다.

이중 편파 위상 배열 시스템을 위한 기판 집적 슬롯 배열 안테나 (SIW Slot Array Antenna for Dual-Polarization Phased Array System)

  • 조대근;변진도;이해영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28-23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위상 배열 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한 $4{\times}8$ 이중 편파 기판 집적 도파관(SIW: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슬롯 배열 안테나를 제안한다. 제안된 배열 안테나는 수직 편파 안테나와 수평 편파 안테나로 구성 되어 이중 편파가 가능하며, 수직 편파 안테나는 기존의 기판 집적 도파관을 이용하여 가로 슬롯 선형 안테나를 배열하였으며, 수평 편파 안테나는 half mode 기판 집적 도파관(HMSIW: Half Mode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을 사용하여 세로 슬롯 선형 안테나를 배열하였다.

Continuous Viewing Angle Distribution Control of Liquid Crystal Displays Using Polarization-Dependent Prism Array Film Stacked on Directional Backlight Unit

  • Park, Min-Kyu;Park, Heewon;Joo, Kyung-Il;Jeong, Hee-Dong;Choi, Jun-Chan;Kim, Hak-Rin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0권6호
    • /
    • pp.799-806
    • /
    • 2016
  • We present a polarization-dependent prism array film for controlling the viewing angle distribution of liquid crystal (LC) display panels without loss of light efficiency. On a directional backlight unit, our polarization-dependent prism array film, made into a stacked bilayer with a well-aligned liquid crystalline reactive mesogen (RM) layer on the UV-imprinted prism structure, can continuously control the light refraction function of the prism array by electrically switching incident polarization states of a polarization-controlling layer prepared by a twisted nematic LC mode. The viewing angle control properties of the polarization-dependent prism array film are analyzed under different prism angle and refractive index conditions of the RM layer. A simple analytic model is also presented to describe the intermediate viewing angle distributions with continuously varying applied voltages and incident polarization states.

Polarization State of Scattered Light in Apertureless Reflection-mode Scanning Near-Field Optical Microscopy

  • Cai, Yongfu;Aoyagi, Mitsuharu;Emoto, Akira;Shioda, Tatsutoshi;Ishibashi, Takayuki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8권3호
    • /
    • pp.317-320
    • /
    • 2013
  • We studied the polarization state in an apertureless scanning near-field microscopy (a-SNOM) operating in reflection mode by using three-dimensional Finite-difference Time-domain (FDTD) method. As a result, the electric field around tip apex in the near-field region enhanced four times stronger than the incident light for ppolarization when the tip-sample separation was 10 nm. We find that the p- and s-polarization state is maintained for the scattered light when the probe is perpendicular to the sample. When the probe is not perpendicular to the sample, the polarization state of scattered light will rotate an angle that equals to the inclination angle of probe with p-polarization illum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polarization state will not rotate with s-polarization illumination.

교차편파 격리도를 개선한 이중선형 편파 시뉴어스 안테나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a Dual Linear Polarization Sinuous Antenna with Improved Cross Polarization Isolation)

  • 김지흥;유홍균;채명호;김정훈;박범준;박영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23-132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교차편파 격리도(XPI; cross polarization isolation)를 개선한 이중선형 편파시뉴어스 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안된 시뉴어스 안테나는 이중선형 편파 발생을 위해 4개의 암(arm) 방사체로 구성되며, 클로펜스타인 테이퍼(Klopfenstein taper) 구조의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발룬을 통해 급전된다. 또한 후방 반사파 감소를 위해 2단 원통형 캐비티 구조를 적용하였다. 캐비티 내부에는 반사파에 의한 성능 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허니컴 형태의 흡수체를 삽입하였다. 설계된 시뉴어스 안테나는 저대역에서의 교차편파 격리도를 개선하기 위해 최외각 암패턴과 캐비티의 림(rim) 사이에 저항을 적용하였다. 제작된 안테나는 저대역에서 교차편파 격리도가 개선되어 편파 측정을 위한 안테나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 Study on Overcoming Disturbance Light using Polarization Filter and Performance Improvement of Face Recognition System

  • Yoon, Andy Kyung-yong;Park, Ki-cheul;Lee, Byeong-cheol;Jang, Jung-hyuk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7권4호
    • /
    • pp.239-248
    • /
    • 2020
  • The performance of the facial recognition system is determined by many technical factors. Further, most of the technical factors have been realized or are still in continued research. The recognition rate has a great influence on performance not only by technical factors but also by other factors. However, researchers are trying to improve the recognition rate by focusing only on technical factors. The mechanism of recognizing is to compare a face image obtained by photography to an already stored face image and determine the score of the similarity. However, if the photographed image is damaged by external light, even a system with a good algorithm will fail to recognize i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vent the disturbance of light entering from the outside, so it should be blocked, but the camera will not work without light. Thus, it is proposed that a method to secure the external light but block the disturbance of light that affects photography. A method of blocking disturbance light is to use a polarization filter. There are three polarization methods: circular polarization, linear polarization, and elliptical polarization. In this paper,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overcome disturbance of light using only a circularly polarized filter. In addition, a lighting system that reproduces disturbance light was provided for the experiment, and light of varying intensities and angles was installed to affect the face recognition camera. As a result of actual application, it was determined that a very improved recognition performance in various disturbance light environments.

한국인의 소득양극화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인식유형 (Cognitive Categorization of Korean for Reason and Solution about Income Polarization)

  • 김동수;김옥환;이상헌;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4호
    • /
    • pp.461-483
    • /
    • 2011
  • 본 연구는 소득양극화에 대한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한구인의 구체적인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38명의 연구대상자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이를 질적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득양극화 원인에 대하여 계층이동 불가능유형, 중산층 가능유형, 부유층 가능유형, 계층이동 가능유형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소득 양극화의 해결책에 대하여 진보적 해결유형, 중도진보적 해결유형, 중도보수적 해결유형, 보수적 해결유형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원인인식과 해결책인식을 교차하여 본 결과, 한국인은 대체로 소득양극화의 원인을 보수적으로 인식하는 반면에 해결책에서는 진보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각 유형별 의미와, 한국사회에서 소득양극화 문제에 대한 합의적 의사소통을 이루기 위한 시사점등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