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ed stand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8초

산불 피해지 복원 방법이 임분 내 미세 기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est Restoration Methods and Stand Structure on Microclimate in Burned Forest Stand)

  • 김정환;임주훈;박찬우;권진오;최형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7-216
    • /
    • 2015
  • 본 연구는 산불 피해지에서 복원 방법 및 수종의 구성에 따라 미세 기후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 없어 산불 피해지에서 복원 방법 및 임분의 구성에 따라 임분 내 기상 패턴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독립 변수로 임분을 구성하는 수종의 종류와 생장, 임분 밀도, 그리고 피복율이며, 이에 따른 종속 변수로는 임분 내 광량, 기온, 습도, 토양 온도, 그리고 토양 수분 함량이었다. 기상 조건은 대부분 광 조건에 영향을 받는 종속 변수이나, 임분을 구성하는 수목의 생장과 피복률에도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분 내 습도는 임분 밀도와, 임분 내 기온과 수목의 수고와 음(-)의 상관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임분 밀도와 수목의 생장이 증가할수록 임분 내부의 기온과 습도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임분의 발달은 대부분 미세 기후의 전체 평균보다는 변동계수와 같은 편차를 줄이는 형태로 더 큰 영향을 주었으며, 수관 층의 수고와 임분 내 광량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는 것을 감안하면($R^2$=0.87), 임분의 구조는 광량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다른 미세 기후에는 간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변동계수의 경우 삼척 지역이 고성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수목의 생장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산불 발생 이후 시간 경과에 따라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현재 단계에서는 산불 피해 이후 숲의 발달에 따른 임분 내부의 기상 조건의 변화상을 뚜렷하게 확인하고 일반화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이를 위해서는 보다 긴 시간에 걸쳐 많은 지점에서의 기상 조건과 임분 현황을 지속적으로 조사되어야 할 것이다. 이후 일반화된 자료를 활용한다면, 임분 구조와의 관계 해석은 물론, 하층 식생 출현 등에 대한 해석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잣나무 인공림(人工林)의 간벌계획(間伐計劃)에 관한 연구(硏究)(I) (A Study on Thinning Planning of Pinus koraiensis Stand(I))

  • 최인화;서옥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66-80
    • /
    • 1997
  • 잣나무는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인공조림실적 중 31%를 차지하는 주요 조림수종이다. 현재 우리나라 산림(山林)은 대부분의 인공조림지를 포함하여 30년생 이하의 유령림(幼齡林)이 87%를 점유하고 있음에도 보육간벌은 거의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실정에 적합한 잣나무의 보육간벌 지침도 충분히 확립되어 있지 못하다. 본 연구는 잣나무림의 장기적 보육간벌 시험을 통하여 장차 최적(最適)한 간벌계획(間伐計劃) 및 방법(方法)의 확립 에 기여하고자, 우선 강원대학교(江原大學校) 연습림(演習林)에 설정된 잣나무의 간벌시험지와 기존의 임분수확표를 대상으로 생장함수를 이용하여 잣나무의 생장과정의 변화 등을 분석 고찰하였다. 간벌과정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적인 단계로 생장과정을 표현하기 적합한 이론적 생장함수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Mitscherlich, 4 parameter Richards, 3 parameter Richards의 3종의 생장함수식(生長函數式)을 간벌시험지에서 채취한 임령 18년 전후의 공시목의 직경생장 과정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3변수 Richards 생장함수식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림청에서 작성한 잣나무 수확표의 직경과 수고생장, 입목본수의 감소 과정도 3변수 Richards 생장함수식에 의하여 적합하게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장래 단목의 간벌에 따른 생장의 변화과정을 추정하기 위해, 단목의 점유 면적에 관계하는 계수 h를 포함하는 생장(生長)모델을 제안하였다. 현재 설치된 간벌시험지에서 향후 일정간격으로 얻어질 간벌시험지의 직경생장 공시자료를 이용하면 계수 h를 추정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제안된 모델의 유용성을 검증, 보완한다면 단목의 생장과정을 사전에 유추하여 간벌의 효과를 표현할 수 있는 수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경기도 광주 지역 36년생 리기다소나무림의 바이오매스와 에너지량 (Biomass and Energy Content of Pinus rigida Stand in Gwangju, Gyeonggi Province)

  • 권기철;이돈구
    • 임산에너지
    • /
    • 제25권1호
    • /
    • pp.39-45
    • /
    • 2006
  • 경기 태화산 북서사면(해발 250m) 36년생 리기다소나무림의 바이오매스는 수간 목부 166.1ton/ha, 수간 수피부 22.4ton/ha, 가지 51.9ton/ha, 고사지 16.0ton/ha, 당년생 잎 3.8ton/ha, 전년생 잎 6.6ton/ha, 구과 1.3ton/ha로서 지상부 252.0ton/ha로 나타났다. 또한 연간 순생산량은 수간 목부 15.4ton/ha/yr, 수피 1.7ton/ha/yr, 가지 5.2ton/ha/yr, 당년생 잎 3.8ton/ha/yr, 구과 1.3ton/ha/yr, 지상부 27.4ton/ha/yr로 추정되었다. 리기다소나무림 지상부의 에너지량은 5,434GJ/ha, 연간 에너지 고정량은 597GJ/ha/yr로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림의 광합성부는 지상 5.2m부터 시작되고 최대 광합성부는 지상 11-13m 사이의 높이에 나타났다.

  • PDF

성남시 갈마치 지역의 동물이동통로 복원을 위한 생태특성 분석 및 복원목표종의 선정 (Analy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lection of Target Species for Restoration of Wildlife Corridor at Galmachi of Sungnam City)

  • 전승훈;이상돈;하성룡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1호
    • /
    • pp.13-24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lect target species for effective restoration plans of wildlife corridors at Galmachi of Sungnam City. The actual vegetation in study area was physiognomically mixed with deciduous broad leaved forests dominated by oaks and artificially planted species. And it is a secondary forest formatted by sprout originated stand and being on early succession stage as a young stand. So study site was regarded as not suitable for the habitats for wildlife. The number of mammal species at study site was total 22 species, but most of these species were found as not so many in individual numbers. The individual number of hare was approximately 4 to 8, while the raccoon dog and water deer with 2 to 3 and 1 to 2, respectively. As such, it was estimated as a low population density due to discontinuation of ecosystem and the man-made impacts. In this study, raccoon dog and water deer were selected as the target species because of their migration patterns and ecological value in local ecosystem. It was suggested to establish a wildlife corridors of an over-bridge type at the peak area of Galmachi, known to be the mostly-used migratory route for 2 target species.

아세톤과 DMSO (Dimethylsulfoxide)로 추출(抽出)하여 측정(測定)한 잣나무 침엽(針葉) 내(內)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 비교(比較) (Extraction and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Contents of Korean Pine Needles Using Acetone and DMSO (Dimethylsulfoxide))

  • 서금영;손요환;구진우;노남진;이명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4호통권161호
    • /
    • pp.264-268
    • /
    • 2005
  • 참나무류 임분에 자연 발생한 잣나무와 인공 조림된 잣나무 침엽을 80% acetone과 DMSO(Dimethylsulfoxide)로 추출하여 측정한 엽록소 함량을 비교하였다. 80% acetone에 비해 DMSO로 추출한 총 엽록소 함량은 잣나무 침엽의 모든 연령에서 약 4-6배 높은 값을 나타했다. 또한 DMSO로 추출한 경우 상층 임관을 점유한 인공 조림된 잣나무와 하층에 생육하는 잣나무 간에는 총 엽록소 함량에 차이가 없었으며, 80% acetone으로 추출한 경우에도 역시 두 종류의 잣나무 사이에 연령별 총 엽록소 함량의 차이는 없었다. DMSO로 추출할 경우 자연 발생 잣나무와 인공 조림된 잣나무 침엽 모두 6시간의 추출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A Comparison of Litterfall Dynamics in Three Coniferous Plantations of Identical Age under Similar Site Conditions

  • Jeong, Jae-Yeob;Kim, Choon-Sig;An, Hyun-Chul;Cho, Hyun-Seo;Choo, Gap-Chul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2호
    • /
    • pp.97-102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litterfall dynamics in three adjacent coniferous tree plantations (larch: Larix leptolepis; red pine: Pinus densiflora; rigitaeda pine: P. rigitaeda) planted in the same year (1963), and growing under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Sambong Exhibition Forests, Hamyang-gun, Gyeongsangnam-do. Litter was collected monthly between July 2006 and June 2008. Needle, broad leaf and total litter inputs followed a similar monthly pattern in the three coniferous plantations. The amounts of needles, flowers, and miscellaneous litt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larch than in the two pine plantations, while branch litt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arch than in the two pine plantations. Average total litterfall for two year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pine (5,475 kg $ha^{-1}\;yr^{-1}$ for red pine and 5,290 kg $ha^{-1}\;yr^{-1}$ for rigitaeda pine) plantations than for the larch (3,953 kg $ha^{-1}\;yr^{-1}$ plantation. Needle litter comprised about 73.1% of total litterfall for the rigitaeda pine, 70.8% for the red pine and 62.9% for the larch plantation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litterfall inputs can be affected by tree species.

수병(銹病)에 감염(感染)된 슬래쉬소나무 조림지(造林地)에 대한 임분단위(林分單位)의 생존 (生存) 예측모형(豫測模型) (Whole Stand Survival Prediction Model in Slash Pine Plantations Infected with Fusiform Rust)

  • 이영진;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4호
    • /
    • pp.480-487
    • /
    • 2000
  • 미국(美國) 남부(南部) 지방(地方)의 경우, 슬래쉬소나무 (Pinus elliottii Engelm.) 조림지(造林地)에서는 수병(銹病) (Cronartium quercuum [Berk.] Miyabe ex Shirai f. sp. fusiforme)의 감염(感染)으로 인해 산림(山林) 소유자(所有者)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야기시키고 있다. 장기적(長期的)으로 매년(每年) 측정(測定)된 영구실험(永久實驗) plots의 자료(資料)에 의하면 평균(平均) 약 40% 정도의 슬래쉬소나무 조림지(造林地)가 수병(銹病)에 감염(感染)되어 줄기 부분에 흑 (canker)이 생성되어 결국 고사(枯死)하거나 2차적 피해를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수병(銹病)에 감염(感染)된 슬래쉬소나무 임분(林分)에 대한 생존(生存) 예측모형(豫測模型)을 개발(開發)하였으며, 이 모형(模型)은 수병(銹病)의 발생율(發生率)을 모형(模型)에 포함하였으며, 수병(銹病)에 감염(感染)되지 않은 단계(段階)의 임목(林木)들이 감염(感染)되는 단계(段階)로의 전이(轉移) 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존(生存) 본수(本數)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특징(特徵)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임지(林地)의 생산력(生産力)과 관엽수(關葉樹)의 밀도(密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조림(造林)된 슬래쉬소나무 임분(林分)의 미래(未來) 생존(生存) 본수(生存)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본(本) 연구(硏究)의 결과(結果)로 제시(提示)된 모형(模型)은 산림(山林) 경영자(經營者)들에게 특히 수병(銹病)에 감염(感染)된 슬래쉬소나무 조림지(造林地) 임목(林木)의 미래목(未來木) 생존(生存) 본수(本數) 예측(豫測)에 중요한 정보(情報)를 제시(提示)해 줄 수 있다.

  • PDF

전남 장성지방 삼나무 및 편백 인공림의 물질 생산량에 관하여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Plantation in Changsong District, Chonnam)

  • 김춘식;이정석;조경진
    • 임산에너지
    • /
    • 제7권1호
    • /
    • pp.1-10
    • /
    • 1987
  •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대표적 조림수종인 삼나무 20년생과 편백 25년생을 대상으로 $400m^2(20m{\times}20m)$의 조사구를 설정하고, 생산구조와 물질생산량을 조사하였다. 각 조사구로부터는 직경급별로 안배한 각 수종별 9주의 표본목을 벌채하여 1m의 계층으로 절단하고 줄기(Ws), 가지(Wb), 잎(Wl)부위로 나누어 생산량을 측정한 후 건조량을 계산하였다. 엽에 대해서는 소지로부터 엽을 분리하기가 어려우므로 소지의 양을 포함하여 엽량으로 하였다. 생산구조에 있어서 엽은 두 수종 모두 6.2m 부위에서부터 시작되었고 최대엽량부위는 수관의 2/3 지점으로서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현존량은 삼나무림 108.75ton/ha, 편백림 112.56ton/ha로 추정되었다. 현존량구성비는 삼나무림에서 줄기, 잎, 가지, 편백림에서는 줄기, 가지, 잎 순으로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순생산량은 삼나무림 13.32ton/ha/yr로 추정되었으며, 구성비는 줄기, 잎, 가지 순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생산능률면에서 순동화율을 삼나무림 1.10kg/kg/yr, 편백림 1.21kg/kg/yr, 건재생산능률은 0.71kg/kg/yr, 0.75kg/kg/yr, 현존량축적률은 삼나무림 8.61kg/kg/yr, 편백림 9.63kg/kg/yr로 각각 나타났다.

  • PDF

Solid Matrix Priming 처리가 고추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III. 발아온도와 건조기간 (Effect of Solid Matrix Priming on Peppers(Capsicum annuum L.) Germinability III. Germination Temperature and Duration of Dehydration)

  • 김도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5호
    • /
    • pp.17-25
    • /
    • 2009
  • 본 실험은 국내 고추종자 12 품종을 대상으로 SMP 처리시 최적의 발아온도와 건조기간을 구명하고, 3 종류의 종자처리기술을 적용하여 고추종자의 입모율과 수확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발아온도에 따른 결과는 무처리 종자가 $15^{\circ}C$에서 12 품종 모두 전혀 발아가 되지 않았다. SMP 처리종자는 발아율이 77(여명)~100%(대왕)로 높았으며, $15^{\circ}C$ 여명품종의 77%와 $35^{\circ}C$의 부강품종 85%를 제외한 나머지 품종은 모든 온도에서 93% 이상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건조조건은 $45^{\circ}C$에서 3시간이 적절한 품종으로 금수레, 동방, 종가네, 향촌, 여명, 광복, 왕 품종이었으며, $35^{\circ}C$에서 6 시간이 적절한 품종은 마니따, 조양 품종이었고, $25^{\circ}C$에서 12시간이 적절하다고 판단된 품종은 부강, 다보탑, 대왕 품종이었다. 건조기간에 따른 고추종자의 수분 함수율 변화는 품종마다 다소 차이는 있겠으나, $45^{\circ}C$에서 3~6시간으로 판단되었다. SMP, osmopriming, pH조절처리에 따른 입묘율을 비교한 결과 낮은 입모율을 보이는 처리는 향촌품종의 pH 조절처리, 다보품종은 무처리, osmopriming 처리였다. 또한 광복품종은 입모율이 낮았고, 대왕품종은 다른 품종에 비해 양호한 경향이었다. 정식 후 90일째 수량에서 무처리가 낮은 경향이었으며, 결주율 또한 높게 나타났다. 품종에 따라 수량의 차이는 있었으며, pH 조절과 osmopriming의 처리 또한 모든 품종에서 안정된 입모율을 보이는 것은 아니었다. 결론적으로 SMP 처리조건은 모든 품종에서 안정된 입모의 확보를 가져올 수 있었으며,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반복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광릉(光陵) 활엽수(闊葉樹) 천연노령림(天然老齡林)과 침엽수(針葉樹) 인공유령림(人工幼齡林) 그리고 양주(楊洲) 사방지(砂防地) 혼효유령림(混淆幼齡林)의 수관통과우량(樹冠通過雨量), 수간유하량(樹幹流下量) 그리고 차단손실량(遮斷損失量)에 관하여(I) - 실험적(實驗的) 측정결과(測定結果)를 중심(中心)으로 - (Throughfall, Stemflow and Interception Loss of the Natural Old-growth Deciduous and Planted Young Coniferous in Gwangneung and the Rehabilitated Young Mixed Forest in Yangju, Gyeonggido(I) - with a Special Reference on the Results of Measurement -)

  • 김경하;전재홍;유재윤;정용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488-495
    • /
    • 2005
  • 본 연구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운용하는 경기도 광릉시험림 내 활엽수 천연노령림과 침엽수 인공유령림 그리고 양주 사방지 혼효유령림의 수관통과우량, 수간유하량, 그리고 차단손실량을 조사하여 앞으로 임상변화가 임내우 및 차단손실량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전산모델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 대상유역인 활엽수 천연노령림은 활엽수 천연림을 대표할 수 있으며, 잣나무와 전나무림으로 구성된 침엽수 인공유령림은 1976년 조림지로서 침엽수 인공림을 대표할 수 있다. 또한 양주 사방지 혼효유령림은 1974년 사방공사를 실시한 후 현재까지 보전되어 온 임분으로 사방림을 대표할 수 있다. 조사는 2003년 3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실시하였으며, 겨울에는 측정을 중지하였다. 임외장우량은 전도형 자기우설량계로 측정하였으며, 임내우량은 임분 내에 $10m{\times}10m$의 표준구를 설정하고 수관통과우량과 수간유하량을 전도형 측정기와 CR10X 데이터 로거를 이용하여 30분 단위로 측정하였다. 약 2년간 자료를 종합한 결과, 임외강우량에서 수관통과우량과 수간유하량을 뺀 차단손실량은 잣나무림이 임외강우량(1,629.5 mm)의 37.2%인 606.6 mm로 가장 많았으며, 혼효림이 임외강우량(1,363.5 mm)의 22.6%인 308.6 mm로 가장 적었다. 수간유하량은 혼효림이 임외강우량의 10.7%로 가장 많았으며, 잣나무림이 2.4%로 가장 적었다. 임외강우량과 수관통과우량 간의 관계는 모든 조사구에서 직선회귀식으로 나타났다. 직선회귀식의 기울기인 평균 수관통과율은 수관울폐도에 따라 66%에서 77%까지 분포하였다. 임외강우량과 수간유하량은 수관통과우량에 비해 편차가 크긴 하지만 모든 조사구에서 직선회귀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임외강우량이 수간유하량으로 전환되는 비율은 잣나무림이 2%로 가장 낮았고 혼효림이 12%로 가장 높았다. 수간저류능은 활엽수림이 0.21 mm로 가장 높은 반면에 잣나무림이 0.003 mm로 가장 낮았다. 대체로 수간유하량은 침엽수림보다 활엽수림에서 많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임분구조에서 활엽수림이 수피가 매끄럽고 가지의 각도가 가파르기 때문이라고 판단되었다. 차단손실량은 임외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조사구에서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활엽수림과 혼효림의 경우 전나무림과 잣나무림에 비해 차단손실량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활엽수림과 혼효림이 계절적으로 낙엽에 의해 엽면적지수가 변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임분구조에 따라 임내우인 수관통과우량과 수간유하량, 그리고 차단손실량이 큰 차이를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차단손실량을 산정하기 위한 전산모델은 임분구조에 따른 차단손실량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어야 하며, 이는 임상별 특성과 엽면적지수 등을 매개변수로 한 모델이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