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growth substance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8초

물레나물(Hypericum ascyron L.)의 식중독 미생물 증식 억제 물질의 분리 및 식품적용 (Isolation of Growth Inhibition Substance on Food borne Microorganisms from Hypericum ascyron L. and Application to Food Preservation)

  • 한지숙;이지영;백남인;박일웅;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74-282
    • /
    • 2002
  • 물레나물 에탄올 추출물과 헥산 분획물은 L. monocytogenes 5균주에 대해 25 ppm에서 72시간까지 완전 균증식 억제 효과가 있었다. 물레나무 헥산 분획물의 항균활성 물질을 분리, 정제하여 얻은 H2-5-2 소획분의 경우 실험 MIC가 10 ppm으로 그 항균력을 생균수로 나타내었을 때 초기 접종 균수보다 0.5 log cycle정도 감소하여 그 살균효과를 알 수 있었다.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의 항균 스펙트럼을 살펴보면 B. cereus나 S. aureus에 대해서는 실험 최저 농도인 25 ppm에서도 72시간까지 완전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V.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는 50 ppm 첨가시 72시간 동안 균증식이 억제되었다. 물레나물의 항균활성 물질은 불포화도가 높은 sterol로 추정되었다. 쇠고기와 명태육 마쇄물에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을 첨가하여 $32^{\circ}C$$5^{\circ}C$에서 식품 적용 실험을 실시한 결과 $32^{\circ}C$ 저장온도에서는 쇠고기, 명태육에 첨가한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의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5^{\circ}C$ 저장온도에서는 명태육에 첨가된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은 항균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의 항균효과는 배양액 상태보다 감소하였다.

대두(大豆)의 질소대사(窒素代謝)에 관(關)한 연구(硏究) -III. 유식물(幼植物) 시기(時期)에서의 Glutamine 산(酸)과 Asparagine 산(酸) 및 그 Amide의 소장(消長) (Studies on the Nitrogen Metabolism of Soybeans -III. Variation of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its Amides during the Growth of Yonger Plants)

  • 강영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5-59
    • /
    • 1970
  • 대두(大豆)의 유식물(幼植物)시기에 있어서의 Glutarmine 산, Asparagine 산 및 그 Amide에 대(對)하여 각물질(各物質)의 소장(消長)을 검토하면서 대두내(大豆內)에서의 생합성(生合成)을 구명(究明)하여 보았다. 1. 산성 Amino 산으로의 Glutamine 산과 Asparagine 산의 소장곡선(消長曲線)은 자엽(子葉)에 있어서는 유식물(幼植物)시기 전반기에 있어서는 Glutamine 산, 후반기에 있어서는 Asparagin 산이 peak를 나타내어 성엽발생기를 중심(中心)으로 하여 대(對)칭적인 인상을 주었다. 그러나 배적(胚的)기관에 있어서는 양부위(兩部位)가 모두 성엽이 발생(發生)한 시기에 peak를 나타내었으며 소장곡선(消長曲線)은 거의 비슷한 증감의 현상을 나타냈다. 2. 그 Amide인 Glutamine과 Asparagine은 자엽(子葉)에나 배적(胚的)기관에서도 성엽이 발생한 시기에 peak를 나타냈으며 배적(胚的)기관에 있어서의 자엽(子葉)탈락시기에서의 감소에 비하여 자엽(子葉)에서의 급격한 증가는 대단히 인상적이다. 3. Glutamine 산과 Glutamine의 소장(消長)관계를 보면 둘다 자엽(子葉)에서 배적(胚的)기관으로 이동한 사실은 발견(發見)되었으나 그밖의 Glutamine 산은 식물(植物)의 함질소성분으로서 Ammonia를 받아드리기 위한 중요한 입구적(入口的)인 기능과 Glutamine 산 자체(自體)로서 타(他) Amino 산의 전구물질(前驅物質)인 역활을 다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또 Glutamine의 경우는 후반기에 들어와서는 그의 가수(加水)분해로서 발생(發生)하는 Ammonia의 생성기구가 자엽(子葉)이 탈락하기 직전에는 그 기능이 상실되었음을 시사하여 주었다. 4. Asparagine 산과 Asparagine 과의 관계에서는 종자(種子) 상태(狀態)부터 감소하기 시작한 Asparagine 산은 배적(胚的)기관에 이동한 이외에도 Asparagine의 형성에 전구적(前驅的)인 물질(物質) 역할을 충분히 하여 주었다고 생각되었다. 그리고 Kreb's 회로의 생성물(生成物)로서 간주되는 Asparagine 산의 형성론(形成論)은 후반기부터 인정하게 되었다. 또 Asparagine의 함유량의 급격한 축적은 각세포(各細胞)에서 발생(發生)한 Ammonia의 농도를 유해량(有害量) 이하는 억제하기 위하여 Asparagine의 형태로 전환했다고 생각하는 설(說)과 자엽내(子葉內)에 과도(過度)하게 함유(含有)하고 있던 $NH_3$와 탄수화물로 형성 집적(集積)되어 있다는 두가지 설(說)로 적응시킬 수 있었다. 5. Amide는 발아중 또는 삼성물(森成物)에서의 경우라도 외부(外部)에서 Ammonia의 공급이 충분하면 형성량(形成量)도 많아지는데 대두내(大豆內)에 있어서는 외부(外部)에서의 공급 없이도 상당량의 Amide가 형성(形成)되었다. 이것은 대두(大豆)의 특징이 되기도 하며 특(特)히 Glutamine 보다는 Asparagine이 다량 생성되었다.

  • PDF

Pseudomonas koreensis에 의한 잡초제어활성물질인 HCN 생성과 이 균주의 식물성장 촉진 및 흰개미 살충 활성 (Production of HCN, Weed Control Substance, by Pseudomonas koreensis and its Plant Growth-Promoting and Termiticidal Activities)

  • 유지연;장은진;박수연;손홍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771-780
    • /
    • 2018
  • To develope a microbial weed control agent, HCN-producing bacteria were isolated,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 selected strain of WA15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koreensis by morphological, cultural, biochemical and 16S rRNA gene analyses. The conditions for HCN production was investigated by a One-Variable-at-a-Time (OVT) method. The optimal HCN production conditions were tryptone 1%, glycine 0.06%, NaCl 1%, and an initial pH and temperature of 5.0 and $30^{\circ}C$, respectively. The major component for HCN production was glycine. Under optimal conditions, HCN production was about 3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basal medium. The WA15 strain had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indoleacetic acid that was associated with the elongation of plant roots and siderophore and ammonification inhibiting fungal growth, and produced hydrolytic enzymes, such as cellulase, pectinase and lipase. The strain was able to inhibit the growth of phytopathogenic fungi, such as Rhizoctonia solani, Botrytis cinerea and Fusarium oxysporum, by the synergistic action of volatile HCN and diffusible antimicrobial compounds. A microscopic observation of R. solani that was teated with the WA15 strain showed morphological abnormalities of fungal mycelia, which could explain the role of the antimicrobial metabolites that were produced by the WA15 strain. The volatile HCN produced by the WA15 strain was also found to have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termites. Our results indicate that Pseudomonas koreensis WA15 can be applied as a microbial agent for weed control and also as a termite repellent. Furthermore, it could be applied as a microbial termiticidal agent to replace synthetic insecticides.

고추역병균(疫病菌)(Phytophthora capsici)의 생물학적(生物學的) 방제(防除);II. 항균물질(抗菌物質)의 분리(分離) 정제(精製) 및 항균활성(抗菌活性) (Biological 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of Red-pepper Caused by Phytophthora capsici.;II. Isolation and Antifungal Activity of the Substances)

  • 장윤희;장상문;최정;이동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9-405
    • /
    • 1996
  • 고추역병균(疫病菌)인 Phytophthora capsici에 대한 생물학적(生物學的) 방제(防除)를 위하여 Pseudomonas sp. A-183균주(菌株)의 배양액(培養液)으로 부터 3가지 화합물(化合物)을 분리(分離) 정제(精製)한 후(後) 항균활성(抗菌活性)을 조사(調査)하여 미생물농약(微生物農藥)의 개발(開發)에 대한 가능성(可能性)을 검정(檢定)하였다. 배양여액(培養濾液)을 pH 2로 조정하여 ethyl acetate로 추출(抽出)한 경우에 항균활성(抗菌活性)이 가장 높았으며, 조추출물(粗抽出物) $50mgkg^{-1}$의 농도(濃度)에서도 P. capsici의 생육(生育)을 완전히 억제(抑制)시켰다. 배양여액(培養濾液)으로 부터 백색분말상(白色粉末狀)의 A물질(物質), sticky oil상狀(의) B물질(物質) 및 황색(黃色) 분말상(粉末狀)의 C물질(物質)을 분리(分離) 정제(精製)하였다. A, B 및 C물질(物質)의 P. capsici에 대한 항균력(抗菌力)의 최소저해농도(最小沮害濃度)는 각각(各各) $1mgkg^{-1}$, $5mgkg^{-1}$$5mgkg^{-1}$으로 나타났다. 세가지 물질(物質) 모두 pot시험(試驗)에서 P. capsici에 의한 고추역병(疫病)을 효과적(效果的)으로 방제(防除)하였다.

  • PDF

Propolis Inhibits Neurite Outgrowth in Differentiating SH-SY5Y Human Neuroblastoma Cells

  • Kim, Han Bit;Yoo, Byung Su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239-243
    • /
    • 2016
  • Propolis is a multicomponent, active, complex resinous substance collected by honeybees from a variety of plant sources. We have studied the effect of propolis on neurite outgrowth of SH-SY5Y human neuroblastoma cells induced to differentiate by all-trans-retinoic acid (RA). Propolis, at a concentration of $3{\mu}g/mL$,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viability of differentiating SH-SY5Y cells. However, the neurite outgrowth of the differentiating SH-SY5Y cells treated with propolis ($0.3{\sim}3{\mu}g/mL$) for 48 hr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reatment of RA-stimulated differentiating SH-SY5Y cells with 0.3 to $3{\mu}g/mL$ propolis resulted in decreased level of transglutaminase and 43-kDa growth-associated protein (GAP-43)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results indicate that propolis is able to inhibit neurite outgrowth of differentiating SH-SY5Y cells.

토양중(土壤中) p-Chlorophenoxy Acetic Acid(CPA)의 잔류평가(殘留評價) (On the Persistency of p-Chlorophenoxy Acetic Acid(CPA) in Soil)

  • 박창규;김용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2호
    • /
    • pp.145-148
    • /
    • 1981
  • A study has been conducted to ascertain persistency of p-chlorophenoxy acetic acid (CPA), a plant growth substance, in soil. CPA was extracted from soil and then converted to a gIc (ECD) sensitive derivative, 2-chloroethyl p-chlorophenoxy acetate (CPA ester) with $BCI_3$ as catalyst. Total recovery of CPA including the chemical conversion was 49.4% and detection limit of CPA in soil, a minimum concentration of the compound which can be identified on chromatogram, was 0.03 ppm. Half life of CPA in clay loam under field conditions was 20 days and that of CPA under laboratory condition was 27.4 days respectively.

  • PDF

배지조성과 차광정도가 시설하우스 재배 인삼의 초기 생육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ading Degree and Substrate Component on Early Growth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Panax ginseng Grown under Plastic House)

  • 천상욱;정순목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13-621
    • /
    • 2011
  • 인삼의 시설생산을 위하여 배지 조성 및 차광 정도를 달리한 환경조건 하에서의 생육특성과 생리활성 변화를 검토하고자 온실 및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적정한 배지 조합은 차광 정도에 따라 달랐는데 무차광에서는 coco peat 단독, 50% 차광에서는 coco peat와 perlite를 50:50으로 혼합하였을 때, 70% 차광에서는 perlite 단독배지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생육을 보였다(P<0.05). 차광은 엽면적, 엽록소 함량, 근장, 지상부 및 지하부 생체중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총 페놀 함량은 지상부(20.7~23.8 $mg{\cdot}kg^{-1}$)보다는 지하부(25.8~28.4 $mg{\cdot}kg^{-1}$)에서, 무차광(20.7~25.8 $mg{\cdot}kg^{-1}$)보다는 차광(23.7~28.4 $mg{\cdot}kg^{-1}$)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지하부(6.9~7.0 $mg{\cdot}kg^{-1}$)보다는 지상부에서(17.4~26.8 $mg{\cdot}kg^{-1}$), 무차광보다는 차광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반면,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을 통한 항산화성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고, 지하부(24.9~28.7%)보다는 지상부에서(31.1~36.5%), 차광보다는 무차광에서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차광은 비닐하우스 조건하에서 재배된 인삼의 생육과 생리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ntifungal Action of Ginkgo biloba Outer Seedcoat on Rice Sheath blight

  • Oh, Tae-Seok;Koo, Han-Mo;Yoon, Hei-Ryeo;Jeong, Nam-Su;Kim, Yeong-Jin;Kim, Chang-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61-66
    • /
    • 2015
  • From study of antifungal actions on the rice sheath blight by using the extract of Ginkgo biloba outer seedcoats, we found that the extracts of Ginkgo biloba outer seedcoats of all treatment concentrations had inhibited the rice sheath blight. Among them, the most effective concentration was 250 mg/l at which the growth of microbe was 26 mm and even at the packaging test, when sprayed the G. biloba outer seedcoats at the level of 250 mg/l, the damage rate of the rice sheath blight was identified as 13%. As a result investigating the antifungal activity by separating polysaccharides from G. biloba outer seedcoats, it showed that the clear zone of 14 mm or more was formed at the concentration of 250 mg/l or higher.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G. biloba outer seedcoat is a natural substance with the antifungal activity on the rice sheath blight.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Up-regulated Genes in Apple with White Rot Disease

  • Kang, Yeo-Jin;Lee, Young Koung;Kim, In-J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5호
    • /
    • pp.530-537
    • /
    • 2019
  • Fuji, a major apple cultivar in Korea, is susceptible to white rot. Apple white rot disease appears on the stem and fruit; the development of which deteriorates fruit quality, resulting in decreases in farmers' income. Thus, it is necessary to characterize molecular markers related to apple white rot resistance. In this study, we screened for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etween uninfected apple fruits and those infected with Botryosphaeria dothidea, the fungal pathogen that causes white rot. Antimicrobial tests suggest that a gene expression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the substance inhibiting the growth of B. dothidea in apples was induced by pathogen infection. We identified seven transcripts induced by the infection. The seven transcripts were homologous to genes encoding a flavonoid glucosyltransferase, a metallothionein-like protein, a senescence-induced protein, a chitinase, a wound-induced protein, and proteins of unknown function. These genes have functions related to responses to environmental stresses, including pathogen infections. Our results can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for early detection of the disease or for use in breeding white rotresistant cultivars.

수피상처치료를 위한 식물생장조절물질 기반 상처유합제 개발 (Development of Wound-treatment Formulation Using Plant Growth Regulators for Wound Healing of Some Tree Species)

  • 민호정;김병관;차병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3-92
    • /
    • 2016
  • 상처로부터 수목을 보호할 상처유합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생장조절물질을 첨가한 MS 배지에 느티나무, 대추나무, 소나무, 은행나무 및 칠엽수의 가지 절편을 배양하고 유합조직의 형성률을 조사하였다. 기내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2,4-D, NAA, IBA 등을 후보물질로 선발하고 증량제인 잔탄검과 혼합하여 상처유합제를 조제하였다. $2{\times}10cm$ 크기로 수피를 완전히 제거한 절단면에 각각의 상처유합제를 충분히 바르고 12주 뒤에 유합조직의 크기를 조사하였다. 유합조직 형성량은 수종에 따라, 상처유합제의 유효성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느티나무와 단풍나무에서는 2,4-D 2 mg/L가 가장 좋은 효과를 보였으며, 잣나무에서는 NAA 8 mg/L이, 그리고 은행나무에서는 IBA 1 mg/L이 가장 좋은 효과를 보였다. 은행나무는 다른 수종보다 유합조직 형성량이 현저히 적었다. 티오파네이트메틸 도포제는 느티나무에서만 효과가 뛰어났으며, 다른 수종에서는 모든 생장조절제제를 능가하지는 못했다. 수피의 상처처리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셀린은 4 수종 모두에서 상처부위에 오래 잔존하며 부후를 촉진시키는 역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활엽수의 상처유합제로는 2,3-D 제제가, 송백류에는 NAA 제제가, 그리고 은행나무에는 IBA 제제가 적당한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