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growth retardant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44초

C-형강 매트 저면관수 시스템을 이용한 분화 국화 재배 시 정식시기와 Daminozide 처리에 따른 초장 조절 (Height Control of Pot Chrysanthemum according to Daminozide Applications at Different Planting Period in C-Channel mat Irrigation System)

  • 강승원;서상규;이긍표;박천호
    • 화훼연구
    • /
    • 제19권1호
    • /
    • pp.30-36
    • /
    • 2011
  • 저면관수 방식인 C-형강 매트재배 시스템을 이용한 소형 분화 국화 재배 시 daminozide 농도에 따른 관주처리, 저면공급 및 정식시기에 따른 생장억제 효과의 지속력 및 저면공급의 처리효과를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차 정식처리구에서 $4,000mg{\cdot}L^{-1}$ 이상의 관주 처리구에서 초장신장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차 정식처리구의 경우 $5,000mg{\cdot}L^{-1}$에서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분산분석 결과 정식시기도 초장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양액과 저면 공급한 처리구에서 daminozide가 화뢰의 형성, 생체중 및 건물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하여 정식시기를 조절하여도 초장을 조절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초장신장 억제를 위한 생장조절제 처리 시 정식시기와 공급방법의 다양화를 통해 분화 국화의 효율적인 초장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생장억제제 처리가 기내 배양한 나도풍란 (Sedirea japonica) 유묘의 ABA 유사물질 함량 및 GA 유사물질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Retardants on Endogenous ABA-like Substance Content and GA-like Substance Activity of Sedirea japonica Seedlings Cultured In Vitro)

  • 조동훈;지선옥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139-144
    • /
    • 2005
  • 본 연구는 기내 배양한 나도 풍란에 식물생장억제제인 Uniconazole, Ancymidol, Paclobutrazol의 종류별, 농도별 처리가 식물체내 내생 GA 유사물질의 활성 및 ABA 유사물질의 함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지상부인 잎에서는 Uniconazole 0.05 mg/L, Ancymidol 0.1 mg/L, Paclobutrazol 0.3 mg/L 처리 시 ABA 유사물질의 함량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GA유사물질의 활성은 대조구 보다 높거나 비슷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ABA 유사물질의 농도는 높아졌으나, GA 유사물질의 활성은 비교적 억제되었다. 지하부인 뿌리에서는 Uniconazole 0.05, 0.2mg/L, Ancymidol 0.2 mg/L, Paclobutrazol 0.1 mg/L 처리에서 ABA 유사물질의 함량이 대조구보다 낮았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높았다. GA 유사물질의 활성은 비교적 저 농도에서는 높았으나, 고농도 처리에서는 저 농도와 비교하여 활성이 억제되었다.

접목선인장의 생육 억제에 미치는 CCC, Diniconazole 처리 효과 (Effects of CCC and Diniconazole on the Growth Retarding of Grafted Cactus)

  • 최이진;정명일;김미선
    • 화훼연구
    • /
    • 제16권4호
    • /
    • pp.234-238
    • /
    • 2008
  • 본 연구는 수출용 접목선인장의 연중 출하물량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목적으로 생장억제제인 CCC와 diniconazole을 처리하여 접목선인장의 생육을 단기간 억제하는 방법을 알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비모란선인장에 diniconazole을 처리하여 구경을 조사한 결과 약 1.1mm 정도 구경이 감소하였으며 자구수는 무처리의 경우 7.2개였으나 $100\;mg{\cdot}L^{-1}$ 처리에서 6.4개로 자구수 감소에 유의성이 있었다. 산취선인장의 CCC 처리 30일 후의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구경, 구고, 자구수 등에 억제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150\;mg{\cdot}L^{-1}$ 처리의 경우 무처리 보다 구경이 3.3 mm, 구고가 13.4 mm 감소하였다. 따라서 산취선인장 정식 후 재배과정에서 출하시기를 조절할 목적으로 생장억제제를 시용할 경우 $150\;mg{\cdot}L^{-1}$ CCC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코레옵시스(Coreopsis spp.)와 석죽(Dianthus spp.)의 삽목시 마디수, 적심 횟수 및 식물생장억제제 처리가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de size, Pinching and Growth Retardants on Growth of Coreopsis spp. and Dianthus spp.)

  • 박노복;신윤경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3권1호
    • /
    • pp.71-82
    • /
    • 2011
  • 본 연구는 Dianthus spp. 및 Coreopsis spp.을 분화용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줄기 마디수, 적심 횟수 및 왜화제 처리가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oreopsis spp. 삽목시 마디 수와 육묘일수에 관한 실험 결과 정식 후 한 달 이후에는 도장의 우려가 있어 육묘 기간은 4주를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Coreopsis spp. 분화용으로는 2마디 처리에서 초장, 분지수 등의 및 관상가치가 적당하고 분화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가장 좋았다. 적심횟수는 Coreopsis spp.는 2회 적심하는 것이 초장 신장 억제 및 측지 분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Coreopsis spp.의 식물생장억제제 처리결과에 있어서, B-9 처리는 식물 생육이나 분화 및 꽃수 형성에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특히 4,000 ppm 2회 처리한 것이 가장 좋았다. 반면에 CCC 처리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Coreopsis spp.의 분화 상품 생산에는 B-9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Dianthus spp.는 적심 및 식물생장억제제를 처리하지 않아도 생장이 양호하며 초장신장이 적당하여 분화용으로 적합한 품종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B-9 4,000ppm 2회 처리한 것이 엽수가 월등히 증가하였다.

질소영양(窒素營養)의 효율증진(效率增進)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Nitrogen Nutrition)

  • 곽판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1권
    • /
    • pp.151-166
    • /
    • 1969
  • I. 질소시용량(窒素施用童)과 배양조건(培養條件)이 고구마의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 및 괴근형성(塊根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1)배양액(培養液) 1l 당(當) 3m.e. $NO_3$-N의 저수준질소구(低水準窒素區) (A구(區))에서는 괴근생성(塊根生成)이 왕성(旺盛)하였으나 1l당(當) 10 m.e. 이상(以上)의 고수준질소구(高水準窒素區)($B_1{\cdot}B_2$ 구(區))에서는 세포신장(細胞伸長)은 활발(活潑)하였지만 괴근형성(塊根形成)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고수준질소(高水準窒素)의 괴근억제효과(塊根抑制效果)는 경엽생장(經葉生長)의 촉진(促進)을 통(通)한 간접적(間接的) 영향이나 탄수화물(炭水化物)에 대(對)한 경합관계(競合關係)보다 질소(窒素)의 직접적효과(直接的效果)나 어떠한 생기적효과(生機的效果)가 개재(介在)된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2) 배양액(培養液) 1l당(當) 6mg의 요소가용(尿素加用)은 생장(生長)을 촉진(促進)하고 특히 지상부(地上部)의 생체중(生體重)의 증가를 초래(招來)하였으나 초장(草丈)에 대(對)해서는 오히려 억제적(抑制的)이었다. 3) 본시험(本試驗)에서 새로히 설계(設計)된 수경배양법(水耕培養法)은 식물(植物)생육(生育)을 역경배양이상(礫耕培養以上)으로 왕성(旺盛)하게 하고, 특히 저수준질소구(低水準窒素區)(A구(區))에서는 역경배양(礫耕培養)과 같이 괴근생성(塊根生成)도 상당(相當)히 이루어졌다. 4) 식물생장억제제(植物生長抑制劑)인 B-nine의 엽면살포(葉面撒布)는 초장(草丈)을 억제(抑制)하였으나 다른 효과(效果)는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보여주지 않았다. II. 요소시용량(尿素施用量)이 고구마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1) 배양액(培養液)을 통(通)하여 근부(根部)에 흡수(吸收)된 고수준농도(高氷準濃度)의 질소(窒素)는 경엽생장(莖葉生長) 즉, 초장(草文), 입수(數), 생체중(生體重)을 억제(抑制)하고 있다. 이것은 아마도 Ammonia화(化) 되지 않은 요소태질소(尿素態奎素)의 직접적흡수(直接的吸收)에 의(依)한것 같다. 2) 제(第) I 부(部)에서 고수준질산태질소(高水準窒酸態窒素)는 괴근형성(塊根形成)을 불가능(不可能)케 하였으나 본시험(本試險)에서의 고수준요소(高水準尿素)는 괴근형성(塊根形成)을 가능(可能)케 하고 있다. 그러나 고수준요소구(高水準尿素區)(B구(區))에서의 지상부(地上部) 대(對) 괴근비(塊根比)는 저수준요소구(低水準尿素區)(A구(區))보다 낮고, 괴근발육(塊根發育)에 대(對)한 억제(抑制)정도는 지상부(地上部)에 대(對)한 억제(抑制)정도보다 더 큰것을 볼 수 있다. 3) 고수준요소(高水準要素)의 근부흡수(根部吸收)가 경엽생장(莖葉生長)을 억제(抑制)하는데 대(對)하여 같은 양(量)의 요소엽면시용(尿素葉面施用)은 경엽생장(莖葉生長)을 촉진(促進)하고 있다 따라서 지하부(地下部) 대(對) 지상부비(地上部比)는 요소엽면시용구(尿素葉面施用區)(C구(區))에서 가장 크고, 요소(尿素)의 근부흡수(根部吸收)에 의(依)한 저수준(低水準)(A구(區)) 및 고수준요소구(高水準尿素區)(B구(區))에서는 낮다. III. 요소시용(尿素施用)과 식물생장억제제처리(植物生長抑制劑處理)가 고구마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1) 식물생장억제제(植物生長抑制劑)의 일종(一種)인 B-nine은 고수준요소구(高水準尿素區)나 저수준요소구(低水準尿素區)에 관계(關係)없이 전반적(全般的)으로 초장(草丈)을 억제(抑制)하고 있다. Gibberellin 단용(單用)은 초장(草丈)을 현저히 촉진(促進)하고 Gibberellin과 B-nine의 혼용(混用)은 B-nine의 초장억제(草丈抑制)를 회복(恢復)시키고 있다. 2) B-nine 처리(處理)는 저수준요소구(低水準尿素區)에서 현저히 고구마의 생체중(生體重)을 특히 지상부(地上部) 생체중(生體重)이 증가(增加)되었다. 고수준요소구(高水準尿素區)에서도 B-nine 처리(處理)는 생체중(生體重)을 증대(增大) 시키고 그정도는 농도에 따라 다르며 0.15% 처리구(處理 區)($B_1$구(c))가 가장 컸다. B-nine의 생체중(生體重) 증대효과(增大效果)는 지상부(地上部)에서 가장 크고 다음은 괴근(塊根)이며, 세근(細根)에서 가장 작았다. 따라서 지상부(地上部) 대(對) 세근비(細根比)는 B-nine 처리구(處理區)로서 어느 때나 감소(減少)되고, 지상부(地上部) 대(對) 괴근부(塊根部)는 저수준요소구(低水準尿素區)에서 감소(減少)하고 고수준요소구(高水準尿素區)에서는 오히려 증가(增加)되고 있다. 3) Gibberellin 단용(單用)도 고구마의 생체중(生體重)을 증대(增大)시키고 Gibberellin과 B-nine의 혼용구(混用區)($B_3$+GA구(區))는 각단용구(各單用區)보다 더욱 현저한 증대(增大)를 가져왔다. 즉 Gibberellin과 B-nine은 초장(草丈)에 대(對)해서는 길항작용(拮抗作用) 을, 생체중(生體重)에 대(對)해서는 상승작용(相乘作用)을 나타냈다. 4) B-nine 처리(處理)는 초장(草丈)과 생체중(生體重)에 대(對)해서 현저한 선택적효과(選擇的效果)를 나타냈다. 따라서 B-nine 은 Antimetabolite라기 보다 대사조정자(代謝調整者)로써 역할(役割)하는 것으로 본다. 5) 고수준요소(高水準尿素)의 공급(供給)으로 일어나는 작물생육억제(作物生育抑制)를 B-nine 처리(處理)로 회복(恢復)되있으며 이 사실(事實)은 실용적(實用的) 전망(展望)이 크다고 본다.

  • PDF

정식 후 주야간온도차에 따른 착색단고추의 초기 생육 (Early Growth of Sweet Pepper by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Temperature after Planting)

  • 김호철;구양규;이용범;이정현;최준호;배종향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5호
    • /
    • pp.552-557
    • /
    • 2013
  • 본 연구는 고부가가치 작물인 착색단고추를 대상으로 정식 후 초기 생육에 대한 주야간온도차(DIF)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DIF는-6($20-26^{\circ}C$), 0($23^{\circ}C$), 3($24.5-21.5^{\circ}C$) 및 6($26-20^{\circ}C$)으로 처리하였다. 정식 후 10주 동안 DIF 3과 DIF 6 처리에서 DIF-6과 DIF 0 처리보다 생장 속도가 빨라 초장이 더 길었다. 주당 엽면적은 DIF 3 처리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정식 후 10주째에는 가장 넓었다. 주당 생체중은 DIF-6 처리에서 다른 처리들의 74-77%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건물중과 건물률은 DIF 0과 DIF 3 처리에서 DIF-6과 DIF 6 처리보다 높은 경향이었는데, 특히 DIF 6 처리에서는 정식 8주 후부터 건물률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정식 후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은 DIF 0과 DIF 3 처리에서는 정식 6주 이후 10주째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한 반면 DIF-6과 DIF 6 처리에서는 정식 8주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정식 후 10주 동안 모든 처리에서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이 줄기보다 높았고, DIF가 높은 수준일수록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은 낮아지고 줄기로의 건물분배율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착색단고추 재배 시 정식 후 초기에 주간온도와 야간온도 차이를 너무 크게 관리하면 생육이 저하되는데, 특히 주간보다 야간 온도를 높게 관리할 때에 더욱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디류식물에 있어 생장억제제시용효과에 관한 연구 (Growth Regulation of Korean Lawngrass and Manilagrass with Several Growth Retardants)

  • 심재성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9-52
    • /
    • 1989
  • Native Kerean lawngrass (Zeysia japonica steud.) and Manilagrass ( Zeysia matrella Merr.) are frequently used as sport turf and lawn in Kerea and ether Asian countries because of its excellent summer qualities and superior winter-hardiness compared to ether warm-season turfgras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lant growth retardants ( PGR ) en the inhibition (d the growth of the two Kerean native turfgrasses. Kerean lawngrass and Manilagrass were treated with [2 RS , 3 RS] -1- [4- chlorophenyl ] -4, 4-dimethyl -2- [1 H -1, 2, 4- tiazol -1- y] pentan -3- ol ( PP -333) at 93 and 930 gha -j ; 5-[4- chlorphenyl ]-3, 4, 5, 9, 10- peiitaaza - tetracyclo [5, 4, 1, 0 2 6 . o ~'~I -3, 9- diene ( BAS -106) at 16 and 160 gha ; [ E I-] - cyclohexyl -4, 4- dimethyl -2- [1, 2, 4- triazol -1- yl ]-1-pentene - 3- ol ( NTN -821) at 56 and 560 gha ', and 4- chloro -2- [$\alpha$- hydrozybenzy I isonicotin anilide ( CGR -811) at 92 gha in pot study . All PGR treatments were effective in reducing the plant height, with the exception of BAS -106 at 16 gha for Korean lawngrass ; however , all increased quality to some degree , with the exception of PP -333 at 93 gha . The low PGR rates significantly increased Korean lawngrass height during late jtily aitd mid-August . On the other hand , BAS -106 significantly increased Manilagrass height {rom 24 Septeml)er onwards . All PGR treatments haol higher turfgrass quality than untreatments , and also the high rates of PGIt treatments were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quality than the low rates observed on 8 October . Meanwhile , Manilagrass quality was increased to some extent than Korean lawegrass . PP - 333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reducing clipping yield and the same results were found with the application of NTN -821 at 560 gha -l for both Korean lawngrass and Manilagrass , BAS -106 at 160 gha for Korean lawegrass , and CGR -811 at 92 gha for Manilagrass . The high PGR rates had higher turfgrass shoot weight observed on 8 October than the low rates , and there were little increases obtained with the low rates of PP -333 for Korean lawngrass and BAS - 1 06 for Manilagrass . Effeets on stolon growth varied between growth retardants , and between retardant treatments ; the high rates of PGR as well as the low rate of NTN -821 elongated stolon of Korean lawngrass and manoilagrass . However , PP -333 at 93 gha and BAS -106 at 16 gha - shortened stolons of Korean lawugrass , resulting in inhibition or little difference of stolon dry weight . NTN -821 at 560 gha and CGR -811 had no positive effect on the stolon length of Manilagrass . 101) -333 and the low rate of BAS -106 and NTN -821 decreased root weight of Korean lawng - rass All PGR rates had negative effect on the root weight of Manilagrass with the exception of BAS -106 CR -811 and the high rate of NTN -821 which made no difference in root weight between retarolant treatments and the control .

  • PDF

Hexaconazole의 처리가 수박의 생육 및 박의 ethylene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xaconazole on growth of watermelon(Citrullus lanatus Schrad) and ethylene evolution of gourd(Lagenaria siceraria Standl))

  • 김수정;이정명;강충길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8-112
    • /
    • 1998
  • Hexaconazole의 처리가 수박의 생육 및 박의 ethylene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약제처리 방법에 따른 수박 생장의 억제효과는 경엽처리가 현저하게 효과적인데 반하여 토양관주 처리에서는 효과가 없거나 미미하였다. Hexaconazole 경엽처리시 수박생장은 약제처리 7일후에는 농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신장, 마디수가 억제된 반면 약제처리 42일후에는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다. Hexaconazole 처리시 수박의 암꽃 착화위치는 착과부위인 제 2번 암꽃까지의 길이생장 및 마디수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고, 측지길이에 미치는 영향은 제 2, 제 3마디에서 현저하게 억제되었는데 이는 처리시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Hexaconazole 처리시 박의 ethylene 발생량은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ethylene 발생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약제처리 5일까지는 계속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 PDF

생장 조절제(B995.CCC) 산포가 대두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wth Retardants B995 and CCC on the Growth arid Yield of Soybean)

  • 위성옥;최원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5-290
    • /
    • 1984
  • 대두에 왜화제인 B 995와 CCC를 살포시기별(본엽 4, 5, 6 매), 농도별 (500, 1000, 2000, 3000 ppm)로 엽면살포하여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제별로는 경장에서만, 살포시기별로는 결협율에만, 그리고 농도별로는 경장, 분지수, 결협율, 주당협수와 수량에서만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견장의 단축은 CCC보다는 B 995가 더 효과적이었으며 결협율은 본엽4 매시의 살포에서 가장 높았다. 3.농도별효과를 보면 저농도보다는 고농도인 3,000ppm에서 경장의 단축, 분지수, 결협율 그리고 주당협수의 증가와 수량의 증대를 나타냈다. 4. 주경절수, 경건중, 엽록소와 100입중은 약제살포시기 및 농도별로 유의성이 없었다. 5. 수량은 경장과는 부의 상관이었고 분지수, 주당협수, 결협율과는 정의 상관이었다. 6. 왜화제의 엽면살포는 주요수량구성 요소증대에 상당히 효과적이었다.

  • PDF

날개하늘나리에 있어서 디니코나졸 처리가 스트레스 내성과 관련된 해부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niconazole Application on Anatom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tress Tolerance in Lilum davuricum)

  • 엄선정;박경일;최영준;오욱;김규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3호
    • /
    • pp.229-235
    • /
    • 2012
  • 본 연구는 디니코나졸(diniconazole, DCZ) 분무처리가 날개하늘나리(Lilium davuricum)의 형태학적 특성 및 폴리아민(polyamines, PA)과 프롤린(proline)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식물 스트레스 내성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장 5cm의 식물체에 DCZ $50mg{\cdot}L^{-1}$와 증류수(대조구)를 엽면살포한 후 23/$18^{\circ}C$(주/야)의 온실에서 30일간 생육시켰다. 처리 30일 후 DCZ 처리에 의해서는 날개하늘나리의 초장과 엽장이 감소하였고, 줄기 세포의 크기와 길이가 줄어들었으며, 잎의 두께와 표피조직의 큐티클층의 두께는 증가하였다. PA의 함량에 있어서, DCZ는 처리 후 5-10일경 spermidine의 함량을 증가시켰고 처리 10일 이후에는 spermine의 함량을 크게 증가시켰다. 프롤린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DCZ 처리구에서 처리 10일 후부터 함량이 감소하였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DCZ 처리는 형태해부학적 및 생화학적 측면에서 날개하늘나리의 스트레스 내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