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ar graph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초

A graph-based method for fitting planar B-spline curves with intersections

  • Bon, Pengbo;Luo, Gongning;Wang, Kuanquan
    •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 /
    • 제3권1호
    • /
    • pp.14-23
    • /
    • 2016
  • The problem of fitting B-spline curves to planar point clouds is studied in this paper. A novel method is proposed to deal with the most challenging case where multiple intersecting curves or curves with self-intersection are necessary for shape representation. A method based on Delauney Triangulation of data points is developed to identify connected components which is also capable of removing outliers. A skeleton representation is utilized to represent the topological structure which is further used to create a weighted graph for deciding the merging of curve segments. Different to existing approaches which utilize local shape information near intersections, our method considers shape characteristics of curve segments in a larger scope and is thus capable of giving more satisfactory results. By fitting each group of data points with a B-spline curve, we solve the problems of curve structure reconstruction from point clouds, as well as the vectorization of simple line drawing images by drawing lines reconstruction.

일반화된 보로노이 그래프를 이용한 동일 두 링크 로봇의 센서 기반 경로계획 (Sensor-Based Path Planning for Planar Two-identical-Link Robots by Generalized Voronoi Graph)

  • 소명뢰;신규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6986-6992
    • /
    • 2014
  • 일반화된 보로노이 그래프(GVG)는 자율 주행 로봇을 위한 일종의 로드맵으로서. GVG는 선서에다 받은 정보만 사용하여 작업 공간거리의 계산에 따라 정의를 한다. 로봇은 장애물까지의 최대 거리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포인트 뷰에서 GVG의 최적은 정출 몇 장애물 회피이다. 로봇의 경우에는, GVG는 가장 안전적인 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이 링크 로봇의 GVG가장거리에 대한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 기존 연구에서 점(point) 로봇을 위한 GVG(point-GVG)와 로드 로봇을 위한 GVG(rod-GVG)가 발표되었다. 이 논문은 더 고차원의 로봇인 두 개의 동일 링크가 관절로 연결된(tow-identical-link; L2) 로봇을 위한 GVG(L2-GVG)에 대한 연구이다. L2-GVG는 미지의 평면 작업공간에서 움직이는 L2 로봇의 짜임새 공간 $R^2{\times}T^2$상에서 로드맵을 생성하되, 이전 연구와 마찬가지로 지역적 센서 정보만을 이용해 로봇이 스스로 주행하면서 맵을 만들어 낸다. 이 논문에서는 이전 point-GVG와 rod-GVG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관절이 존재하여 생기는 복잡한 특성에 대해서 분석한다. 이는 다관절 로봇으로의 확장에 중요한 초석이 될 것이다.

그래프의 s-t 절단을 이용한 경로 배정 문제 풀이 (Solving a Path Assignment Problem using s-t Cuts)

  • 김태정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1-147
    • /
    • 2009
  • We introduce a noble method to find a variation of the optimal path problem. The problem is to find the optimal decomposition of an original planar region such that the number of paths in the region is minimized. The paths are required to uniformly cover each subregion and the directions of the paths in each sub-region are required to be either entirely vertical or entirely horizontal. We show how we can transform the path problem into a graph s-t cut problem. We solve the transformed s-t cut problem using the Ford-Fulkerson method and show its performance. The approach can be used in zig-zag milling and layerd manufacturing.

복셀화를 통한 디자인 데이타로부터의 조립순서 결정 (Assembly Sequence Determination from Design Data Using Voxelization)

  • 이창호;조현보;정무영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90-101
    • /
    • 1996
  • Determination of assembly sequence of components is a key issue in assembly operation. Although a number of articles dealing with assembly sequence determination have appeared, an efficient and general methodology for complex products has yet to appear.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problems and models used to generate assembly sequence from design data. An essential idea of this research is to acquire a finite number of voxels from any complex geometric entity, such as 3D planar polygons, hollow spheres, cylinders. cones, tori, etc. In order to find a feasible assembly sequence, the following four steps are needed: (1) The components composing of an assembly product are identified and then the geometric entities of each component are extracted. (2) The geometric entities extracted in the first step are translated into a number of voxels. (3) All the mating or coupling relations between components are found by considering relations between voxels. (4) The components to be disassembled are determined using CCGs (Component Coupling Graph).

  • PDF

평면 그래프의 기하학적 대칭성 탐지 알고리즘 (An Algorithm for Detecting Gemetric Symmetry in a Plannar Graph)

  • 홍석희;이상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6권1호
    • /
    • pp.107-116
    • /
    • 1999
  • 대칭성(symmetry)은 그래프의 구조와 특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때 중요한 미적 기준 중의 하나이다. 또한 대칭성을 보여주는 드로잉은 전체 그래프가 크기가 작은 부그래트들로부터 반복적으로 구성됨을 보여줌으로써 전체 그래프에 대한 이해를 쉽게 푸는 해주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그래프에서 기하하적 대칭성(geometric symmetry)을 탐지하는 문제는 이미 NP-complete 임이 증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평면 그래프(planar graph)의 극히 제한적인 부분집합인 트리, 외부 평면 그래프, 임베딩된 (embedded) 평면 그래프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평면 그래프에서의 기하학적 대칭성 문제를 연구하였다. 평면 그래프를 이중 연결 성분들로 분할한 다음 이를 각각 다시 삼중 연결 성분들로 분할하여 트리를 구성하고 축소(reduction)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기하학적 대칭성을 탐지하는 O(n2)시간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n은 그래프의 정점의 개수이다. 이 알고리즘은 평면 그래프를 최대한 대칭적으로 드로잉하는 알고리즘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ON PATHOS BLOCK LINE CUT-VERTEX GRAPH OF A TREE

  • Nagesh, Hadonahalli Mudalagiraiah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1-12
    • /
    • 2020
  • A pathos block line cut-vertex graph of a tree T, written P BLc(T), is a graph whose vertices are the blocks, cut-vertices, and paths of a pathos of T, with two vertices of P BLc(T) adjacent whenever the corresponding blocks of T have a vertex in common or the edge lies on the corresponding path of the pathos or one corresponds to a block Bi of T and the other corresponds to a cut-vertex cj of T such that cj is in Bi; two distinct pathos vertices Pm and Pn of P BLc(T) are adjacent whenever the corresponding paths of the pathos Pm(vi, vj) and Pn(vk, vl) have a common vertex. We study the properties of P BLc(T) and present the characterization of graphs whose P BLc(T) are planar; outerplanar; maximal outerplanar; minimally nonouterplanar; eulerian; and hamiltonian. We further show that for any tree T, the crossing number of P BLc(T) can never be one.

RNA Pseudoknot구조의 시각화를 위한 새로운 표현 기법과 시각화 알고리즘 (New Representation and Algorithm for Visualizing RNA Pseudoknot Structures)

  • 김우택;이유진;한경숙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A)
    • /
    • pp.685-687
    • /
    • 2002
  • RNA pseudoknot은 RNA 삼차 구조를 형성하는 중요한 구조요소일 뿐만 아니라, RNA 분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RNA pseudoknot 구조를 시각화하는 도구는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pseudoknot 구조의 시각화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RNA pseudoknot을 시각화를 위한 새로운 pseudoknot 표현 기법과 시각화 알고리즘에 대해서 소개한다. 새로운 표현기법은 모든 H-type pseudoknot을 uniform planar graph로 나타내고 RNA sequence의 진행방향을 따라가기가 쉽게 되어있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PseudoViewer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PseudoViewer는 어떠한 시스템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 Java로 구현되었다. 그 결과는 pseudoknot을 명확히 구분되고 보기 쉽도록 시각화됨을 보여준다.

  • PDF

ESTIMATION OF THE BIPLANAR CROSSING NUMBERS

  • Park, Ki Sung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13권2호
    • /
    • pp.123-126
    • /
    • 2005
  • This paper is a sequel to our earlier research on biplanar drawings [4] and biplanar crossing numbers [3]. The biplanar crossing number $cr_2$(G) of a graph G is $min\{cr(G_1+cr(G_2)\}$, where $cr$ is the planar crossing number and $G =G_1{\cup}G_2$. In this paper we show that $cr_2(G){\leq}{\frac{3}{8}}cr(G)$.

  • PDF

간선 색칠 문제의 다항시간 알고리즘 (A Polynomial Time Algorithm for Edge Coloring Problem)

  • 이상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59-165
    • /
    • 2013
  • 본 논문은 NP-완전 문제인 간선 색칠과 그래프 부류 결정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O(E)의 다항시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최대차수-최소차수 정점 쌍 간선을 단순히 선택하는 방법으로 간선 채색수 ${\chi}^{\prime}(G)$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chi}^{\prime}(G)$${\Delta}(G)$ 또는 ${\Delta}(G)+1$을 얻는다. 결국, 알고리즘 수행 결과 얻은 ${\chi}^{\prime}(G)$로부터 ${\chi}^{\prime}(G)={\Delta}(G)$이면 부류 1, ${\chi}^{\prime}(G)={\Delta}(G)+1$이면 부류 2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미해결 문제로 알려진 "최대차수가 6인 단순, 평면 그래프는 부류 1이다."라는 Vizing의 평면 그래프 추정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