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le row spacing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6초

Physical test study on double-row long-short composite anti-sliding piles

  • Shen, Yongjiang;Wu, Zhijun;Xiang, Zhengliang;Yang, Mi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3권4호
    • /
    • pp.621-640
    • /
    • 2017
  • The double-row long-short composite anti-sliding piles system is an effective way to control the landslides with high thrust. In this study, The double-row long-short composite anti-sliding piles with different load segment length (cantilever length) and different pile row spacing were studied by a series of physical tests, by which the influences of load segment length of rear-row piles as well as pile row spacing on the mechanical response of double-row long-short composite anti-sliding pile system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earth pressures in front of and behind the piles obtained during tests, then the maximum bending moments of the fore-row and the rear-row piles were calculated. By ensuring a equal maximum moments in the fore-row and the rear-row piles, the optimum lengths of the rear-row piles of double-row long-short composite system under different piles spacing were propos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reduced scale tests, the full-scale numerical models of the landside were finally conducted. By the comparisons between the numerical and the physical test results, it could be seen that the reduced scale tests conducted in this study are reliab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ouble-row long-short composite anti-sliding piles system is effective in the distribution of the landslide thrust to the rear-row and the fore-row piles.

수평모래지반에서 측방변형을 받는 사각형 수동 열말뚝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f Rectangular-shaped Passive Row Piles in Horizontal Sand-ground under Lateral Soil Movement by Model Test)

  • 배종순;권민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23-36
    • /
    • 2008
  • 본 연구는 측방변형을 일으키는 수평모래지반에 매설된 사각형 수동열말뚝의 모형실험에 대한 것이다. 말뚝의 형상, 열말뚝의 위치, 말뚝의 간격과 지반변형에 따른 열말뚝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평응력의 분포양상은 말뚝의 형상과 위치에 따라 삼각형, 사다리꼴, 사각형의 형태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휨모멘트는 B-type의 경우 outer pile이 inner pile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H-type의 경우는 inner pile이 outer pile 보다 크게 나타났다. 수평저항력비$(R_f)$는 말뚝의 형상에 관계없이 열말뚝의 수평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수평저항력의 작용점위치(Y/L)는 지반변위와 수평간격에 따라 큰 변화를 보이지 않으며, H-type이 B-type보다 조금 크게 나타났다.

수평력을 받는 무리말뚝의 하중분담특성 (The Loa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ile Group under Lateral Loading)

  • 안병철;오세욱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7-2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풍화토 지반에 설치된 수평하중을 받는 H-pile 무리말뚝의 하중분담특성 및 상호작용계수(p-multiplier)를 분석하였다. 말뚝의 배열($2{\times}3$, $3{\times}3$), 말뚝의 간격(2D, 4D, 6D), 그리고 지반밀도(상대밀도:40%, 80%)를 고려한 수평재하 실험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무리말뚝내 각각의 말뚝에 작용된 평균수평하중은 말뚝의 수가 감소할수록 평균수평저항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뚝간격과 지반밀도에 따라 단말뚝과 무리말뚝의 p-y곡선을 분석한 결과 말뚝간격이 2D에서 6D로 증가함에 따라 무리말뚝의 상호작용계수값이 느슨한 지반의 경우 0.85~0.94(앞열말뚝), 0.57~0.79(중간말뚝), 0.60~0.71(후열말뚝), 조밀한 지반의 경우 0.76~0.82(앞열말뚝), 0.58~0.73(중간말뚝), 0.53~0.70(후열말뚝)의 값을 각각 나타냈다. 이와같이 단말뚝과 무리말뚝간 상호작용계수는 말뚝간격이 증가할수록 그 값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앞열의 무리말뚝이 중간 및 후열말뚝들보다 보다 큰 상호작용계수 값을 나타냈다.

모래지반에서 측방변형을 받는 무리말뚝의 실험적 연구 (The Study of Group Piles under Lateral Soil Movement in Sand by Model test)

  • 배종순;김성호;권민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0호
    • /
    • pp.165-17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합천사에 매설되어 측방변형을 받는 무리말뚝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무리말뚝의 위치, 말뚝의 간격과 말뚝배열이 미치는 무리말뚝의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리말뚝에서는 모멘트 형상은 단독말뚝과 유사하나 최대 휨모멘트의 발생깊이가 깊어지고, 그 크기는 감소하였다. 말뚝의 중심간격이 증가할수록 최대휨모멘트비$(R_M)$와 수평력분담비$(R_F)$는 증가하였다. 지반변형에 따른 $R_M$은 열방향에서는 후열, 전열, 중간열의 순으로 크게 나타났고 줄방향에서는 내측보다 외측이보다 크게 나타났다.

원심모형 실험을 이용한 건조토 지반에서의 군말뚝 효과 분석 (Evaluation of Dynamic Group Pile Effect in Dry Sand by Centrifuge Model Tests)

  • 유민택;차세환;최정인;한진태;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67-7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조밀한 건조 사질토 지반에서 단말뚝 및 $3{\times}3$ 군말뚝에 대해 정현파를 이용하여 동적 원심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군말뚝의 경우 말뚝 중심간격을 지름의 3배, 5배, 7배로 변화시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로 얻은 단말뚝과 군말뚝의 동적 p-y 곡선들을 비교하여, 말뚝 중심 간격 및 군말뚝 말뚝 위치에 따른 말뚝의 동적 군말뚝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 열과 세 번째 열의 말뚝인 측면 말뚝에서 유사한 동적 p-y 거동이 나타났으며, 두 번째 열 말뚝들은 측면 말뚝들에 비해 지반반력 감소 효과가 작게 나타났다. 또한, 두 번째 열 내에서 말뚝 위치에 따른 동적 p-y 거동을 비교한 결과, 두 번째 열의 바깥 말뚝에서 중앙 말뚝보다 지반반력 감소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된 말뚝 중심 간격에 따른 p-승수 값은 측면 말뚝에서 0.28 ~ 0.77, 중앙 말뚝에서 0.55 ~ 1.0, 바깥 말뚝에서 0.39 ~ 0.87로 나타났다.

사질토 지반에서 군말뚝의 수평거동에 관한 연구 (Lateral Behavior of Group Pile in Sand)

  • 김영수;김병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17-129
    • /
    • 2000
  • 본 논문은 균질 및 비균질 지반에서의 군말뚝수평거동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군말뚝수평거동에 대한 말뚝중심간격, 말뚝 배열, 말뚝 중심 간격비, 말뚝 선단 구속조건, 편심하중 그리고 지반조건의 영향들에 관하여 실험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동말뚝에서의 군말뚝 효율과 수평변위는 말뚝중심간격과 말뚝수에 상당히 의존함을 알 수 있다. 말뚝중심간격이 6D이고 $3\times3$배열 말뚝인 경우, 선단고정말뚝의 수평 지지력은 선단자유말뚝의 경우보다 40-100%크게 나타났다. 모형실험의 결과들에 근거하여, 군말뚝의 개개 말뚝이 단일말뚝과 동일하게 거동하는 말뚝 중심간격은 상대밀도 61.8%와 32.8%의 경우 6D 로 나타났으나, 상대밀도 90%의 조밀한 지반에서는 8D 간격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군말뚝 효율에 대하여 말뚝 중심간격, 말뚝 수, 그리고 지반상대밀도의 변수로 표현되는 실험식을 제안하였다. 3$\times$3 배열의 군말뚝에서 앞행(lead row) 말뚝의 하중 분담율은 말뚝 중심간격 3D인 경우에 41.6%-52.4% 정도 그리고 6D인 경우에 34%-40%정도로 나타났다. 군말뚝에서 중첩효과(shadowing effect)는 하중 직각방향보다는 하중 재하방향에서 더 크게 발생하였다.

  • PDF

Estimation of lateral pile resistance incorporating soil arching in pile-stabilized slopes

  • Neeraj, C.R.;Thiyyakkandi, Sudheesh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3권5호
    • /
    • pp.481-491
    • /
    • 2020
  • Piles installed in row(s) are used as an effective technique to improve the stability of soil slopes. The analysis of pile-stabilized slopes require a reliable prediction of lateral resistance offered by the piles. In this work, an analytical solution is developed to estimate the lateral resistance offered by the stabilizing piles in sand and c - 𝜙 soil slopes considering soil arching phenomenon. The soil arching in both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neighboring piles) and vertical direction (in the active wedge in front of the pile row) are studied and their effects are incorporated in the proposed model. The shape of soil arch is assumed to be circular and principal stress trajectories are defined separately for both modes of arching.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found in literature were used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 A detailed parametric analysis was performed to study the influence of pile diameter, center-to-center spacing, slope angle and angle of internal friction on the lateral pile resistance.

모형시험을 통한 복열 마이크로파일의 설치조건에 따른 수평 지지력 변화 (Variations of Lateral Bearing Capacity of 2-row Micropile with Installation Conditions by Model Test)

  • 황태현;김무연;이영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11호
    • /
    • pp.35-49
    • /
    • 2020
  • 마이크로파일의 수평 지지력은 파일의 본 수, 설치 각도와 간격 등 설치조건에 좌우된다. 마이크로파일에 관한 기존 연구는 연직 지지특성에 대한 평가와 효과적인 설치방법의 제안 등에 국한되어 있고, 파괴 모드와 같은 파괴 메커니즘 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수평 지지력에 관한 연구도 단열 마이크로파일(1-row micropile)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파일의 설치 길이, 각도, 간격 등 설치조건을 달리한 경우 복열 마이크로 파일(2-row micropile)의 거동 및 지지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형시험을 수행하였다. 모형시험결과, 설치 각도 θ > 0°인 경우(비교차 설치)의 복열 마이크로파일의 수평 지지력은 파일의 간격에 좌우되며, 설치 각도 θ = +30°인 조건이 지지력 증대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설치 각도 θ < 0°인 경우(교차 설치)에는 파일의 간격과 각도에 좌우되며, 설치 각도 θ = -15°인 조건이 지지력 증대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사모래지반의 사각형 수동 열말뚝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the Rectangular-Shaped Passive Row Piles in Inclined Sand-Ground by Model Test)

  • 배종순;김지성;권민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1호
    • /
    • pp.39-51
    • /
    • 2009
  • 본 연구는 지반변형을 일으키는 경사모래지반에 매설된 사각형 수동열말뚝의 모형실험에 대한 것이다. 실험은 지반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지반파괴를 유도 하였고, 말뚝의 형상, 위치, 간격을 달리하여 말뚝 거동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동말뚝에 작용하는 토압과 수평저항력 그리고 지반변형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전면 폭이 넓은 B-type 말뚝이 측면 폭이 넓은 H-type 말뚝보다 지반변형억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사면경사에 따른 수평저항력 그래프를 이용하여 사면의 파괴각, 말뚝과 지반의 분담력을 알 수 있다.

기호보강을 위한 그물식 뿌리말뚝의 효과적인 배치 (Efficient Arrangement of Root Piles in Reinforcing the Strip Footing on a Sand Ground)

  • 이원택;박영호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0권2호
    • /
    • pp.57-68
    • /
    • 1994
  • 뿌리말뚝을 이용하여 기초 지반을 보강할 때 효과적인 배치 방법을 알기 위하여, 사질토 지반에서 R.H. Bassets와 N.C. Last가 제안한 보강패턴에 대하여, 말뚝 길이, 기초 길이 방향의 말뚝 간격과 말뚝 열의 수를 변화시키며 물리 모형 실험을 실시하였다. 모형 실험 결과에 의하면, 뿌리말뚝 길이와 기초 폭의 비($L_p/B_f$)가 5이상일 때 지지력은 거의 증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기초 길이 방향의 말뚝 간격이 작을수록 지반 보강 효과는 크지만, 기초 길이,방향의 말뚝 간격이 말뚝 직경의 약 6배일 때 말뚝 1개당 보강효과가 가장 좋았다. R.H. Bassett와 N.C.Last가 제안한 보강패턴에서 둘째열 말뚝의 보강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가장 바깥 열의 말뚝은 보강 효과가 거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