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le diameter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34초

사질토지반에서 인발하중을 받는 석션말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havior of Pull-out Loaded Suction Pile in Sands)

  • 김진복;박종운;진홍민;권오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944-955
    • /
    • 2009
  • In this thesis the model tests were performed to the pull-out characteristics of a suction pile subjected to a pull-out in sands. For this model tests, three different soil conditions ($D_r$=45, 65, 82%), three pile diameters (D=100, 150, 200mm) and three pile lengths (L=100, 150, 200mm), were changed.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also compared with those by the theoretical methods. The results by the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nalysis are as follows. The ultimate pull-out resistances increased as the relative density of sands, pile diameter, length and the ratio of pile length to diameter increased. The ultimate pull-out resistance by Meyerhof method(1973) overestimated that by the model test, but the results using the soil-pile friction angle suggested by Aas(1966) in the Meyerhof(1973) method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 PDF

해상 LNG 인수시설 대구경 강관말뚝 시공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large diameter steel pipe pile Foundation for Offshore LNG Facility)

  • 류대영;김형욱;장우영;최기병;조성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70-77
    • /
    • 2010
  • In this paper, a case study of drivability and bearing capacity of large diameter steel pipe piles at PTT LNG site in Thailand is introduced. The LNG facilities were designed to be founded on steel pipe pile foundations driven into the weathered rock formation overlaid by sand layers. The drivability analyses of open ended pipe piles were carried out using GRL WEAP program and the bearing capacities of the piles were estimated. Dynamic load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end bearing resistance, and it is shown that the measured end bearing resistance is smaller than the calculated end bearing because the plugging does not develop sufficiently in case of large diameter pipe piles.

  • PDF

다주식 기초 해상교량에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과 파일캡의 강결합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the Rigid Connections between the Large Diameter Drilled Shaft and the Pile Cap for the Sea-Crossing Bridges with Multiple Pile Foundations)

  • 조성민;박상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343-358
    • /
    • 2008
  • Piles of a bridge pier are connected with a column through a pile cap(footing). Behavior of the pile foundation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nection method between piles and the pile cap. This difference causes a change of the design method. Connection methods between pile heads and the pile cap are divided into two groups ; rigid connections and hinge connections. KHBDC(Korea Highway Bridge Design Code) has specified to use rigid connection method for the highway bridge. In the rigid connection method, maximum bending moment of a pile occurs at the pile head and this helps the pile to prevent the excessive displacement. Rigid methods are also good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However some specifications prescribe that conservative results through investigations for both the fixed-head condition and the free-head condition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sign. This statement may induce an over-estimated design for the bridge which have very good quality structures with casing covered drilled shafts and the PC-house contained pile cap. Because the assumption of free-head conditions (hinge connections) are unreal for the elevated pile cap system with multiple piles of the long span sea-crossing bridges. On the other hand, elastic displacement method to evaluate the pile reactions under the pile cap is not suitable for this type of bridges due to impractical assumptions. So, full modeling techniques which analyze the superstructure and the substructure simultaneously should be performed. Loads and stress state of the very large diameter drilled shaft and the pile cap for Incheon Bridge which will the longest bridge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full modeling for rigid connection conditions.

  • PDF

양방향 선단재하시험을 이용한 단층파쇄대에 시공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선단지지력 측정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End Bearing Capacity for Large Diameter Drilled Shaft Constructed in Fault Zone Using the Static Bi-directional End Leading Test)

  • 정창규;정성민;황근배;최용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135-143
    • /
    • 2004
  • 해상교량건설 현장의 육상구간에서 예기치 않게 발견된 단층파쇄대에 시공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선단지지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양방향 선단재하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층파쇄대에 시공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에 재하시험을 실시하여 단층파쇄대에서의 선단지지력을 확인하고, 그 후 말뚝 선단 하부지반에 보강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선단보강에 의한 선단지지력 증가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선단보강 그라우팅 후 선단지지력은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보강전 보다 선단의 침하량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구경 소켓경사반력말뚝의 인발거동에 관한 연구

  • 최용규;김상옥;정창규;정성기;김상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77-284
    • /
    • 2000
  • Using the large diameter (D = 2,500mm, L = 40m) batter steel pipe piles, designed as compression piles but used as reaction piles during the static compression load test of socketed test piles (D = 1,000mm, L = 40m), static pile load tests for large diameter instrumented rock-socketed piles were performed. The reaction steel pipe piles were driven 20m into the marine deposit and weathered rock layer and then l0m socketed with reinforced concrete through the weathered rock layer and into hard rock layer. Steel pipe and concrete in the steel pile part, and concrete and rebars in the socketed parts were instrumented to measure strains in each part. The pullout amounts of reaction pile heads were also measured with LVDT. During the static pile load test, total compressional load of about 20MN was loaded on the head of test piles, but load above 20MN was not loaded due to lack of loading capacity of loading system. Over the course of the study, maximum pullout amount up to 7mm was measured in the heads of reaction piles when loaded op to 10MN and 1mm of pullout amount was measured. More than 85% of pullout load was transfered in the residual weathered rock layer and about 10% in the soft rock layer, which was somewhat different transfer mechanism in the static compressional load tests.

  • PDF

말뚝기초의 경제적인 설계절차에 의한 건설비용 절감 사례 연구 (Case Study for Construction Cost Saving by means of Economic Pile Design Procedure)

  • 최용규;임종석;권오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73-8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검증시험결과를 활용한 말뚝기초의 경제적인 설계절차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비경제적인 말뚝기초의 설계관행을 해소하기 위하여 6개 사례를 선정하여 설계를 목적으로 한 말뚝 정재하시험 (즉, 검증시험)을 수행하고, 검증시험 결과를 활용하여 건설비용 절감효과를 분석하였다. 말뚝기초 건설비용 절감효과는, 말뚝의 하중지지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소구경 말뚝에서는 34 - 47 %로 나타났으며, 말뚝의 최대하중지지능력 확인이 곤란한 대구경 말뚝에서는 0 - 55 %로 나타났다.

  • PDF

PRD시공시 H-PILE 대체 자재로 원가절감 할수 있는 공법 사례 (Downward Method of H-PILE Alternative Materials of Percusion Rotary Drill)

  • 이왕희;이일재;임시내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9-202
    • /
    • 2014
  • In recent years the downtown, Top-down method has been applied in a major method to solve the complaints due to noise, vibration, dust and safety issues such as cracking due to settlement when the excavation close to the building. Until it is installed underground permanent foundation, the Pre-founded Column is a pile foundation as well as a column to bear the upper construction load. The Pre-founded Column is constructed by PRD method generally. The EnP(Enlarging Pile) method can be expanded locally boring diameter of the embedment zone as compared to the PRD method existing general. Since the bearing capacity is increased by the boring diameter is expanded, the embedment length is reduced, the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 PDF

중소구경 헬리컬 파일의 축과 원판의 형상이 지지력에 미치는 영향 평가 : I. 시험시공과 현장재하시험 (Effect of Configuration of Shaft and Helix Plate on Bearing Capacity of Moderate-size Helical Pile : I. Test-bed Construction and Field Loading Test)

  • 이종원;이동섭;김형남;최항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31-39
    • /
    • 2014
  • 헬리컬 파일(helical pile)은 한 개 이상의 나선형 원판을 중공형 축에 부착한 후 지반에 회전 관입시켜 지지력을 발현하게 하는 말뚝기초의 하나이다. 헬리컬 파일은 나선형 원판이 부착된 철제 축과 나선형 원판이 모두 지지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기존의 말뚝 지지력 식으로 헬리컬 파일의 지지력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구경 헬리컬 파일의 지지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김포 일대에서 헬리컬 파일의 축의 직경과 원판의 형상, 관입 깊이를 변화시키며 시공한 후 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현장시험은 동일한 조건에서 헬리컬 파일 축의 직경을 73mm, 114mm 두 가지로 시공하여 지지력을 측정, 비교하여 축의 직경이 헬리컬 파일의 지지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원판의 개수가 1개, 3개로 제작된 헬리컬 파일 및 원판의 직경을 400mm에서 250mm으로 변화시키며 시공한 헬리컬 파일의 재하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원판의 형상이 지지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헬리컬 파일의 관입 심도를 3m에서 6m까지 설정하여 관입 심도에 따른 지지력을 비교하였다. 현장 시험 결과 원판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원판과 축의 직경이 증가할수록 헬리컬 파일의 지지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축의 직경은 헬리컬 파일의 지지력에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원판의 형상이 지지력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판단된다.

시멘트풀의 영향을 고려한 축소모형 매입말뚝의 거동분석 (The Analysis of Skin Friction on Small-scale Prebored and Precast Piles Considering Cement Milk Influence)

  • 박종전;정경자;정상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5-15
    • /
    • 2017
  • 주면마찰력은 매입말뚝에서 가장 큰 영향 요소이다. 특히 시멘트풀과 지반 사이의 인터페이스 거동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풀 영향을 고려하여 단독말뚝에 대한 현장축소모형말뚝 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말뚝은 상사비를 고려하여 길이 1.3m 지름 0.067m로 선정하였으며, 굴착공경은 150, 125, 90, 86, 74mm, 시멘트풀 물/시멘트비는 90, 70, 60%로 급속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굴착공경이 증가할수록 지지력 증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물/시멘트비가 부배합일수록 지지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사비를 고려한 축소모형시험결과, 굴착 공경은 말뚝지름(0.508mm 기준)보다 대략 0.1~0.4D(50~200mm) 크게 시공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시멘트풀 물/시멘트비는 본 연구 결과와 품질관리 등을 고려하였을 때, 70% 정도가 적절하다.

정재하시험시 지반종류별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주면하중전이함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imeter Load Transfer Fuctions of the Large Diameter Drilled Shafts Depending on Soil Types During the Static Pile Load Tests)

  • 정호영;황성춘;최용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5C호
    • /
    • pp.163-17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7개 현장에서 수행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정재하시험 결과값을 이용하여 하중전이 함수식을 제안하였다. 하중전이실험이 수행된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정재하시험 결과로 부터 얻어진 축하중 분포도를 이용하여 단위주면 마찰력을 분석하였으며, 단위주면마찰력 자료에 기초하여 지반종류별 하중전이 함수식을 제안할 수 있었다. 단위주면하중전이 함수식에 의해 계산된 축하중분포도와 양방향 말뚝재하시험 시 측정된 축하중분포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하중전이함수에 의해 예측된 축하중분포도는 실험에서 구한 축하중분포도와 비교적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