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ctorial key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1초

A Pictorial Key to the Freshwater Cyclopoid Copepods from Korea

  • Lee, Ji-Min;Jean, Jin-Mo;Chang, Cheon-Young
    • 환경생물
    • /
    • 제23권4호
    • /
    • pp.343-356
    • /
    • 2005
  • A pictorial key to total 46 species belonging to 15 genera of two subfamilies in the family Cyclopidae is provided as a result of the serial researches on the freshwater cyclopoid copepods in South Korea.

상반신 포즈 추적을 위한 키포즈 기반 예측분포 (Key Pose-based Proposal Distribution for Upper Body Pose Tracking)

  • 오치민;이칠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8B권1호
    • /
    • pp.11-20
    • /
    • 2011
  • Pictorial Structures(PS)는 동적 프로그래밍을 이용하여 인체의 포즈 추적 및 인식 하는 것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 상반신 포즈는 PS와 Particle filter(PF)에 의한 동적 프로그래밍 기법으로 추적된다. PF와 같은 동적프로그래밍에서 마코프 연쇄 (Markov Chain) 기반 동적 움직임 모델은 높은 자유도를 갖는 상반신 포즈를 예측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키포즈 기반 예측분포이며, 이것은 상반신 실루엣과 키포즈(Key Pose)들 사이의 유사도를 참고하여 파티클(Particle)을 적절히 예측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된 방법은 기존 방법 성능을 70.51% 향상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새로운 저장곡물해충 Cynaeus angustus (LeConte) 및 저장산물의 거저리과 해충에 대한 도해검색 (First Report in Korea of the Stored Grain Pest Cynaeus angustus (LeConte) and a Pictorial Identification Key for Tenebrionid Pests in Stored Products)

  • 홍기정;윤태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223-227
    • /
    • 2017
  • 북미지역에서 저장곡물해충으로 잘 알려진 거저리과의 북미쌀거저리[Cynaeus angustus (LeConte)]가 국내 여러 정미소에 발생하고 있음을 새롭게 보고하며, 이 미기록종에 대한 성충과 유충 사진 및 진단형질과 저장산물을 검역하는 과정에서 검출되는 거저리과 해충 17종에 대하여 도해 검색자료를 제공하였다.

사진 이미지의 감성에 대한 언어적 분석 (Linguistic Analysis of Human Sensibility in Various Pictorial Images)

  • 노연숙;하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82-195
    • /
    • 2012
  • 사진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지만 특히 설득의 도구로 큰 역할을 한다. 사진은 실제를 재현하는 매체라는 독특한 특성 때문에 비교적 설득이 용이하다. 본 논문은 의사 결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감성을 사진이라는 매체에 대입하여 설득의 역할을 강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진 이미지의 감성구조를 파악하여 긍정적인 감성을 유발하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사진 이미지의 감성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요인들에 내포적 의미를 부여하고 다양한 요인에 대해 우선순위를 정하여 서열화하는 연구를 수행하여 연구 결과에 대한 실질적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사진의 감성은 다양한 원인에 따라 다르게 인지되는데, 사진을 촬영한 대상과 사진을 구성하고 있는 구체적인 화질 속성의 영향이 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촬영 대상과 화질 속성을 갖는 이미지를 실험 자극으로 활용하여 보다 범용적이고 구체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Congenital Heart Disease: a Pictorial Illustration of Putting Segmental Approach into Practice

  • Yeung, Tse Hang;Park, Eun-Ah;Lee, Ying Cheong;Yoo, Jin Young;Lui, Choi Yu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9권4호
    • /
    • pp.205-211
    • /
    • 2015
  • The human heart is a complex organ in which many complicated congenital defects may happen and some of them require surgical intervention. Due to the vast complexity of varied anatomical presentations, establishing an accurate and consistent nomenclature system is utmost important to facilitate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pediatric cardiologists, cardiothoracic surgeons and radiologists. The Van Praagh segmental approach to the complex congenital heart disease (CHD) was developed in the 1960s and has been used widely as the language for describing complex anatomy of CHD over the decades. It utilizes a systematic and sequential method to describe the cardiac segments and connections which in turn allows accurate, comprehensive and unambiguous description of CHD. It can also be applied to multiple imaging modalities such as echocardiogram, cardiac CT and MRI. The Van Praagh notation demonstrates a group of three letters, with each letter representative for a key embryologic region of cardiac anatomy: the atria, ventricles and great vessels. By using a 3-steps approach, we can evaluate complex CHD precisely and have no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with other medial colleague. This pictorial essay revisits the logical steps of segmental approach, followed by a pictorial illustration of its application.

ECTPN을 이용한 키복구 시스템의 명세 및 분석 (Specification and Analysis of Key Recovery System using ECTPN)

  • 고정호;강상승;전은아;이강수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874-1885
    • /
    • 2000
  • When a receiver of ciphertext message can not decrypt a message because he has lost his private-key, the private-key of receiver and session-key of the message should be recovered.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 Encapsulation based Key Recovery System (EKRS). EKRS is a new key encapsulation based key recovery system which is characterized by secretly choice of KRA, randomized target keys. n-way recovery type, and useful for commercial key recovery. EKRS is formally specified by a pictorial model, an Extended Cryptographic Timed Petri Net (ECTPN). Secure information flow and reachability of a session-key are verified by using reachability graph of ECTPN. EKRS, executing over a Public Key Infrastructure, can be used as a security solution in Web based applications such as CALS, EC an EDI.

  • PDF

한강 수계 내 서식하는 깔따구류 유충의 속 수준에서의 분류 형질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Chironomids Larvae from the Hangang River at the Genus Level.)

  • 박재원;고봉순;유현수;공동수;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6권2호
    • /
    • pp.140-150
    • /
    • 2023
  • 깔따구류 유충(Chironomidae larvae)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로 수질 및 환경오염 생물 모니터링에 중요한 지표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2022년 7월에서 9월 동안 한강의 다양한 수계에서 서식하는 깔따구류 유충을 채집하여 형태적 동정 및 유전자 계통 분석을 실시하였다. 20개 지점에서 총 3아과 18속 32종의 깔따구류 유충이 출현하였으며, 반지깔따구속에 속하는 1개 종이 6개 지점에서 우점하였다. 깔따구류 유충을 분류하는 데 이용하는 몸통, 두부, 하순기절, 촉각 등을 관찰하여 특징을 Pictorial key로 제시하였고, 유전자 계통분석 결과 3개 아과가 명확하게 구분되었으며, 속 수준에서도 구분이 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깔따구류 유충 동정에 도움이 될 것이고, 수질 조사 및 관리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의 털진드기상 및 검색표 (진드기 목 : 털진드기 과 와 Leeuwenhoekiidae) (Fauna and Key to the Chigger Mites of Korea (Acarina ; Trombiculidae and Leeuwenhoekiidae))

  • 이한일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1호
    • /
    • pp.57-70
    • /
    • 1990
  • 한국산 털진드기 종을 다룬 모든 문헌을 조사 정리한 결과 총 43종이 보고되었는데, 그중 Salchia brennani ventralis 는 오동정한 것으로 W. comataxila 이었고 Shunsennia gracilis 는 S. hertigi 의 동종이명일 가능성이있으나 문헌상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다. Leptotromibidium intermedium 의 경우 문헌상의 근거가 전혀 없어 국내 서식종으로 인정할 수 없었다. 필자가 직접 표본을 조사하여 확인할 수 있었던 종은 모두 17 종이었는데 그 가운데 Leptotromibidium akamushi 는 L.zutum 의 , L.miyajimai 는 L.orientale 의 오동정이었다. 결국 한국산 털진드기류는 모두 2과 , 12속, 39종이 된다. 이 중 2 종은 조류에 , 7종은 박쥐에, 그리고 29종은 설치류에 각각 기생하는 종이고 1종은 조류와 포유류에 공동기생하는 종이다. 현재 한국산 털진드기를 동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검색표로는 29종을 아룬 Southwick (1968) 의것이 있을 뿐이고, 우리나라와 동물상이 유사하나 일본 종에 대한 검색표도 우리나라 토착종 21종이 들어 있지 않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기존 검색표는 다리의 강모식(leg setal formula) 이나 촉수의 강모식( palpal setal formula)등 관찰하기 어려운 형질을 많이 사용하고 있어서 동정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필자는 현재까지 한국 종으로 정리된 총 39종에 대한 검색표를 만들었는데, 관찰이 용이하면서도 변이가 적은 형질을 최대한 사용하였고 특히 종 특징을 잘 나타내는 배판(scutum)의 형질을 주로 사용하였다. 실용성이 보다 큰 도식형 검색표( pictorial key)도 함께 만들었는데 원저자들의 도표에서 배판(scutum)을 그대로 전사하여 종 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였다.

  • PDF

A new free-living marine nematode species of the genus Phanoderma Bastian, 1865(Enoplida: Phanodermatidae) from the East Sea, Korea

  • Lee, Hyo Jin;Rho, Hyun Soo
    • 환경생물
    • /
    • 제37권3호
    • /
    • pp.396-405
    • /
    • 2019
  • A new species of free-living marine nematode is described from intertidal sediments of the East Sea, Korea. Phanoderma koreense sp. nov.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well-developed pharyngeal and cephalic capsule, six inner labial sensilla present as minute papillae around with circular groove, long and slender spicules with 4-5 serrated distal end, located at the base of the precloacal supplement, a series of eight to nine stout and short setae on the ventral cloacal region and conico-cylindrical tail with two pairs of blunt setae. In this study, we provide taxonomic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a new species by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microscope and a pictorial key to the valid species of Phanoderma Bastian, 1865.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e genus Phanoderma in the East Sea,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