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toxicity symptom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7초

HPPD 저해 제초제에 대한 벼 품종별 약해 반응 (Response of Phytotoxicity on Rice Varieties to HPPD-inhibiting Herbicides in Paddy Rice Fields)

  • 권오도;신서호;안규남;이인;민현경;박흥규;신해룡;정하일;국용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0-25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잡초종 방제에 효과적인 HPPD(4-hydroxy phenylpyruvate dioxygenase) 저해 제초제, mestrione, benzobicyclone 및 tefuryltrion에 대한 벼 품종 간의 약해정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총 26 벼 품종(통일형 8품종 그리고 일본형 18품종)은 육묘상자에서 25일 동안 생육시킨 후 이앙하였고, 이앙 후 5, 10, 그리고 15일에 각각의 제초제를 표준량 그리고 배량을 처리하였다. 비록 mestrione, benzobicyclone 및 tefuryltrion 제초제가 동일한 HPPD 저해 제초제들이지만 이들 제초제의 처리 시기나 약량에 따라 벼 품종별 약해정도와 증상은 서로 상이하였다. 시험약제 모두에서 통일형 품종이 일본형 품종보다 약해가 심하게 발생하였다. Mesotrione은 약량이 증가할수록, benzobicyclon은 처리시기가 빠르고 약량이 증가할수록 약해가 심하였다. 반면에 tefuryltrion은 처리시기와 약량에 따라 품종간의 약해변이는 크지 않았다. Mesotrione과 benzobicyclon에 대한 통일형 품종인 한강찰벼 1호와 향미벼 1호, 초다수성 품종인 남천벼, 다산벼, 아름벼, 그리고 한아름벼 품종들의 약해는 처리시기 및 약량에 관계없이 백화, 잎과 줄기의 갈변, 잎 꺾임, 괴사를 동반한 5~8 정도의 약해 증상을 보인 반면에 tefuryltrion은 단지 1~3 정도의 황화 및 백화, 갈변 증상만을 보였다. 일본형 품종에 대한 약해는 제초제의 처리시 기와 약량에 따라 1~2 정도의 가벼운 약해 증상을 보였지만 제초제 종류에 따라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13개의 일본형 품종들은 benzobicyclone에 대해 민감하였으며, 일본형 4품종과 7품종들은 각각의 mestrione과 tefuryltrion에 대해 황화 및 백화를 동반한 증상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mestrione과 benzobicyclone, 그리고 tefuryltrion 성분이 함유된 혼합제는 처리시기 및 처리약량에 관계없이 벼 생태형 간에 심각한 약해 증상을 나타내므로 식용(기능성용 및 가공용 벼) 또는 사료용을 위한 벼 재배 포장에서의 사용을 지양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데실알콜유제의 담배 곁순억제호과 (Effect of Decyl Alcohol EC on Tobacco Sucker Control)

  • 김기황;정훈채;김용연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12
    • /
    • 2004
  • Effect of Decyl Alcohol Emulsifiable Concentrate on sucker control and phytotoxicity to tobacco plants were tested on flue-cured tobacco and burley tobacc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ucker inhibition effect between Decyl Alcohol EC and Choline Salt of Maleic Hydrazide Soluble Concentrate(control chemical). Tobacco plants applied with Decyl Alcohol EC showed no visible symptoms of phytotoxicity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number of leaves, leaf length, leaf width, and stalkt height. Yields increased considerably with no difference from ones of plants treated with control chemical.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의 약해유발농도(藥害誘發濃度)와 그 증상(症狀) (The Minimum Concentrations of Surfactants Inducing Phytotoxicity and Their Symptoms)

  • 유주현;구석진;조광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9-127
    • /
    • 1989
  • 1) 모든 처리에서 공히 가장 낮은 농도에서 약해를 유발한 계면활성제는 LE, NP, LN, SDSS, PAAS 및 DBC였으며, Tween, Span, SP, SC, STPP 및 CLIS 등은 고농도에서 약해유발이 가장 적었다. 2) 논담수상태에서는 음이온계면활성제가 비이온 계면활성제보다 낮은 농도에서 약해를 유발하였으나 그 밖의 처리에서는 거의 유사한 경향이었다. 3) 벼와 피는 약해에 있어서 거의 동일한 반응을 보였으며 각 초종간에 반응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4) 밭상태와 건답상태의 발아전 처리에서는 10%이상의 고농도 시료에서도 약해유발이 매우 적었으나 논담수상태의 발아전 처리에서는 모든 처리 중 가장 낮은 농도에서 약해가 유발되었다.

  • PDF

유기용매(有機溶媒)의 약해유발(藥害誘發) 농도(濃度)와 그 증상(症狀) (The Minimum Concentration of Organic Solvents Inducing Phytotoxicity and Their Symptoms)

  • 유주현;김진석;조광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3호
    • /
    • pp.255-264
    • /
    • 1989
  • 1) 밭상태 경엽처리에서 비등점이 높은 용매일수록 더 낮은 농도에서 약해를 유발하였으며, 방향족 용매의 약해유발 최저농도가 가장 낮았다. 용매에 의한 약해에 가장 민감한 식물은 콩, 둔감한 식물은 상치였다. 2) 밭상태 발아전 토양처리에서는 비등점이 높은 용매만이 고농도에서 약해를 유발하였다. 3) 건답상례 경엽처리는 밭상태의 결과와 유사하였으나 용매의 비등점과 약해 유발최저농도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발아전 처리에서는 밭상태보다 약해유발이 심하였다. 4) 논담수상태 시험에서는 발아전처리에서 약해 유발이 심하였으며 가장 약해가 심한 것은 알콜류로 ethanol은 0.001%에서도 약해를 유발하였다.

  • PDF

캐놀라 식물체내에서 클로르설푸론의 약해 유발 요인 (Chlorsulfuron-induced Phytotoxicity in Canola(Brassica napus L.) Seedlings)

  • 김성문;허장현;한대성;윌리암 반덴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9-206
    • /
    • 1997
  • Acetolactate synthase를 저해하는 sulfonylurea계 제초제 chlorsulfuron은 감수성 식물 체내에서 많은 생리, 생화학적 변화를 유도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chlorsulfuron이 유발하는 독성이 감수성 식물체내에서 branched-chain 아미노산 생합성경로의 최종산물인 leucine, valine과 isoleucine의 결핍에 의한 것인지 혹은 branchedchain 아미노산 생합성 경로중 독성 대사산물의 축적에 의한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Chlorsulfuron에 처리된 캐놀라의 성장은 저해되었으며, 처리된 식물은 백화 현상, 잎말이 현상 그리고 안토시아닌 축적과 같은 약해증상을 보였다. Branched-chain 아미노산이 첨가된 영양배양액에서 생장하는 캐놀라에 chlorsulfuron을 처리하였을 경우 생장저해와 약해는 단지 부분적으로 완화되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chlorsulfuron에 처리된 캐놀라의 약해는 branched-chain 아미노산의 결핍 이외에 또 다른 요인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독성 대사산물로 알려진 2-ketobutyrate에 처리된 캐놀라 식물체내에서의 대사산물 변화와 chlorsulfuron에 처리된 캐놀라 식물체내에서의 대사산물 변화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은 chlorsulfuron에 처리된 감수성 식물이 나타내는 독성은 부분적으로 branched-chain 아미노산의 결핍에 의한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 PDF

Effect of Alternaria solani Exudates on Resistant and Susceptible Potato Cultivars from Two Different pathogen isolates

  • Shahbazi, Hadis;Aminian, Heshmatollah;Sahebani, Navazollah;Halterman, Dennis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14-19
    • /
    • 2011
  • Early blight of potato, caused by Alternaria solani, is a ubiquitous disease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Our previous screening of several Iranian potato cultivars found that significant variation in resistance phenotypes exists between two cultivars: resistant 'Diamond' and susceptible 'Granula'. Our previous analysis of five different pathogen isolates also identified varying degrees of aggressiveness regardless of the host cultivar. Here, a bioassay was used to study the role of liquid culture exudates produced in vitro on pathogenicity and elicitation of disease symptomology in seedlings as well as detached leaves. Responses of host genotypes to the exudates of the two A. solani isola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tached leaves of the resistant cultivar 'Diamond' elicited fewer symptoms to each isolate when compared to the susceptible cultivar 'Granula'. Interestingly, the phytotoxicity effect of the culture filtrate from the more aggressive isolate A was higher than from isolate N suggesting an increased concentration or strength of the toxins produced. Our results are significant because they indicate a correlation between symptoms elicited by A. solani phytotoxins and their aggressiveness on the host.

제주지역에서 귤응애에 대한 Petroleum Spray Oil의 방제효과 및 식물독성 (Efficacy and phytotoxicity of a petroleum spray oil for control of citrus red mite in Jeju island)

  • 김동환;김광식;현재욱;강시용;송정흡;류기중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87-92
    • /
    • 2000
  • 인축독성 및 잔효성이 낮은 환경친화적인 Petroleum spray oil(PSO; DC-Tron $Plus^{(R)}$)의 살포에 따른 귤응애에 대한 방제효과 및 약해발생에 관하여 포장조건하에서 검토하였다. PSO를 0.25%, 0.33%, 0.5% 및 1%를 처리한 결과, 귤응애에 대한 방제효과는 모든 농도에서 대조약제(tebufenpyrad, bifenazate, sun spray oil)와 비교하여 비슷하거나 뛰어났으며, 약효도 40일 이상 장기간 지속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런데 PSO 0.5% 이상 처리시에는 감귤잎에 유침상 증상이 일부 나타났으나 2개월후에 거의 사라졌으며, 낙엽율과 낙과율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PSO 1%를 감출 더뎅이병 및 검은점무늬병의 적용약제와 각각 혼용처리한 결과, 더뎅이병 방제약제인 Fluazinam 수화제와 혼용한 경우 일부 신초가 타거나 일부 신엽에 흑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약효와 약해 결과를 고려해 볼 때 귤응애 방제를 위한 하절기 PSO 적정 살포농도는 0.25% 또는 0.33% 정도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hytotoxicity and Translocation of Residual Diquat Dibromide from Sandy Loam and Loam Soil to Following Crops Cultivating in the Soils

  • Cho, Il Kyu;Kim, Won-Il;Yang, Hae-Ryong;Seol, Jae Ung;Oh, Young Goun;Lee, Dong-gi;Moon, Joon-Kwan;Cho, Woo Young;Kim, Kil Yo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0-269
    • /
    • 2021
  • BACKGROUND: Diquat dibromide is a fast-acting nonselective herbicide and plant growth regulator.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unintentional pesticide contamination in the following crops, the phytotoxicity and transition of diquat dibromide residue in soil into the following crops such as pepper, radish, lettuce and corn have been assessed through phytotoxicity trial and residual evaluation in the unintentional contamination of the higher residual diquat dibromide. METHODS AND RESULTS: The pepper, radish, lettuce and corn were cultivated in the sandy soil and loam soil where the 35 mg/kg and 90 mg/kg diquat dibromide were applied, respectively. Mild growth inhibition symptoms were observed in radish, lettuce and corn crops at the 90 mg/kg- diquat dibromide treatment on the 30 day of cultivation. Diquat dibromide was analyzed using liquid chromatography QTRAP (LC-MS/MS). The recovery rates of diquat dibromide from soil and crop were determined within range from 89.1 to 116.4%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 less than 14.7%. Diquat dibromide residues in soil were found to be 23.90-30.22 and 69.59-82.57 mg/kg from the 35 mg/kg and 90 mg/kg of diquat dibromide-treated soil, respectively after 30 days of crop cultivation. This result implicates that diquat dibromide did not convert to metabolites and remained mostly in the soil, even though it was partially decomposed during crop cultivation. In addition, the diquat dibromide in pepper and radish that were grown for 47 days, and lettuce and corn that were cultivated for 30 days were detected to be 0.01 mg/kg or less in the sandy loam and loam soil where the 90 mg/kg diquat dibromide was applied. CONCLUSION(S): Diquat dibromide did not cause severe phytotoxicity in the following crops as well as it did not uptake and distribute to the following crops, even though it was considered to be residual in the soil.

무인헬기용 Macro granule 제초제의 벼 작형별 살초효과 및 주변작물에 미치는 영향 (Herbicidal Effects on the Differential Rice Cultivation Condition and Damage of No-target Plants of Macro Granule Herbicide for Remote-controlled Aerial Application)

  • 윤철수;배창휴;이성춘;김경현;이계환;조태경;황인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75-383
    • /
    • 2011
  • 무인헬기를 이용한 제초제처리는 제초제의 특성이 항공방제에 적합해야하는 등 선결 요인이 무척이나 많다. 논에 발생하는 잡초를 방제할 목적으로 환경친화적 생력형 macro granule(GG) 제초제를 개발하였다. 무인헬기를 이용한 벼 작형별 잡초방제효과 및 벼에 대한 생육특성을 조사하고, 주변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GG의 무인헬기살포효과는 담수직파시험에서 93.6~96.6%의 방제효과를 보였는데, 손제초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수량은 손제초구와 약제처리구가 각각 $4,700kg\;ha^{-1}$, $4,450\sim4,670kg\;ha^{-1}$로 비슷하였다. 기계 이앙시험에서는 시험약제 모두 92.7~97.3%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무인헬기살포와 손제초구의 수량은 각각 $5,270\sim5,520kg\;ha^{-1}$, $5,730kg\;ha^{-1}$로 큰 차이는 없었다. 또한 GG살포가 주변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액상 제형과 GG가 직접살포되었을 때 배추, 상추, 오이, 고추, 콩, 들깨에 생육억제, 황변, 낙엽 등의 증상이 나타났으며, 일부 개체는 고사하였는데 이것은 무인 헬기를 이용한 약제 살포의 문제점을 시사한 것으로 무인헬기 살포시 주변작물에 약액이 비산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사용 약제의 선택, 시기, 주변 작물의 종류 등을 감안 한 주도면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 무인헬기를 이용한 제초제 살포는 우리나라의 농업이 처해진 여건상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보여지며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더욱 심도 있게 수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Imazosulfuron+fentrazamide 혼합제의 재배양식에 따른 벼의 약해 (Phytotoxicity of imazosulfuron+fentrazamide in different cultivation type of rice)

  • 원옥재;강광식;박수혁;엄민용;황기선;서수정;변종영;박기웅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1호
    • /
    • pp.15-22
    • /
    • 2015
  • 본 실험은 imazosulfuron+fentrazamide 혼합제가 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Imazosulfuron+fentrazamide SC 처리 시 벼의 이앙심도는 3 cm 이상, 사질양토나 식양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수직파 재배의 경우 imazosulfuron+fentrazamide SC의 파종 전처리는 25+100 g ai/ha로 적어도 파종 10일 전에 처리하며, 파종후 처리에서는 약량이 증가하여도 파종 15일 이후에 처리하면 약해를 나타내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계이앙 재배의 경우 imazosulfuron+fentrazamide GR의 약량에 따른 약해는 보이지 않으나 이앙 5일 후 처리하여야 벼 생육에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체계처리의 경우 파종 3일 전 25+100 g ai/ha이나 50+200 g ai/ha으로 처리한 후 이앙 15일 또는 20일에 75+300 g ai/ha로 처리할 경우 잡초방제의 효과를 높이고 벼 생육에는 안전한 방법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