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sterols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8초

선택된 식물자원에서 추출조건에 따른 Phytosterol과 Tocopherol의 함량분석 및 추출유로부터 재구성지질의 합성 (Analysis of Phytosterols and Tocopherols, and Production of Structured Lipids from the Extracted Plant Oils)

  • 조은진;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70-375
    • /
    • 2003
  • 식물유자원 중 참깨, 호두, 통밀, 미강을 원료로 하여 35$^{\circ}C$ 조건에서는 100rpm의 항온교반수조에서 1, 3, 6시간 단위로 추출하고, 8$0^{\circ}C$조건에서는 soxhlet extractor에서 1, 3, 6시간 단위로 각각 추출하여 추출방법 및 시간에 따른 최적 추출조건을 비교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온도에서의 추출시간에 따른 추출율과 추출온도에 따른 추출방법의 변화는 추출율에 다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원료별로는 호두가 최고 63.07%로 가장 높은 유지추출율을 나타냈으며, 그 뒤로 참깨, 미강 등이 각각 최고 39.28, 15.62% 등의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GC에 의한 지방산 조성분석 결과, 추출된 식물유지 모두 linoleic acid, oleic acid 등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Phytosterol 분석 결과, 식물성 유지 4종 중 통밀의 전체 sterol 함량이 최고 2.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강, 호두, 참깨 등이 각각 최고 2.03, 1.57, 0.44% 등의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HPLC에 의한 tocopherol 함량 분석 결과 전체 tocopherol의 함량은 참깨, 통밀 등이 각각 최고 3.42, 2.92% 등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뒤로 호두, 미강 등이 각각 최고 0.16, 0.07% 등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식물성 유지와 CLA를 각각 1:3 mol의 비율로 혼합한 후 IM 60을 이용, 합성하여 재구성지질을 생성하고 GC에 의해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반응시간이 길수록 재구성지질 중의 CLA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종 24시간 동안 반응시 총 CLA의 함량이 가장 많은 것은 통밀로써, 23.75 mol%를 나타내었고, 그 뒤로 미강, 참깨, 호두 등이 각각 19.15, 16.46, 16.28 mol% 등을 나타내었다.

미강유, 팜스테아린 및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를 이용한 저트랜스 유지의 효소적 합성 (Enzymatic Synthesis of Low Trans Fats Using Rice Bran Oil, Palm Stearin and High Oleic Sunflower Seed Oil)

  • 김지영;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70-478
    • /
    • 2009
  • 미강유, 팜스테아린 및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의 효소적 interesterification을 통하여 저트랜스 유지를 합성하였고, 합성 시 Thermomyces lanuginose로부터 획득된 TLIM 효소를 이용하였다. 반응 기질의 비율에 따라 합성된 저트랜스 유지의 solid fat content(SFC)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고올레인산 해바라기씨유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각 온도에 해당하는 SFC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팜스테아린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SFC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SC를 통한 흡열 및 발열 곡선 분석결과, 팜스테아린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피크가 높은 온도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트랜스 유지의 지방산 조성을 살펴본 결과, palmitic acid(C16:0), oleic acid(C18:1), linoleic acid(C18:2)가 주요 지방산들로써 전체 지방산 조성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총 트랜스지방산은 비율별로 0.5 area%의 수치를 보이며, 1% 미만의 낮은 함량을 보였다. Triacylglycerol (TAG) 조성을 reverse-phase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주요 TAG 조성은 OOL, PLO, PLP, OOO, POO, POP, POS 등으로 측정되었으며, 그 중 PLO와 POO 및 POP가 전체 조성의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한편, 여러 비율별로 합성된 저트랜스 유지의 총 tocopherol은 $6.94{\sim}11.83$ mg/100 g의 함량을 보였고, oryzanol은 $0.18{\sim}0.49$ mg/100 g의 함량을 보였으며, phytosterol 함량은 전체적으로 $182.48{\sim}269.07$ mg/100 g 사이의 다양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품종별 포도씨의 식물성 스테롤 및 지방산 조성 분석 (Analysis of Phytosterol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Grape Seeds Produced in Korea)

  • 위민정;장성호;정미리;윤재민;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25-528
    • /
    • 2009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포도씨 14종에 대한 식물성 스테롤의 함량과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포도씨의 식물성 스테롤의 함량은 그 품종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14품종의 포도씨 모두 $\beta$-sitosterol(64.9$\sim$119.3 mg/100 g)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의 비율은 palmitic(16:0, 6.8$\sim$16.8%), palmitoleic(16:1, 0.1$\sim$0.2%), stearic(18:0, 4.7$\sim$5.2%), oleic(18:1, 16.6$\sim$26.1%), linoleic(18:2, 16.6$\sim$20.1%), linolenic acid(18:3, 0.3$\sim$0.5%) 및 arachidic acid(20:0, 0.3$\sim$0.5%)로 분석되었다.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포도씨 14종의 식물성 스테롤과 지방산의 조성은 유사하였으나 그 함량에는 차이가 있었다. 14품종의 포도씨 중 국내에서 가장 많이 경작되고 있는 Campbell early는 식물성 스테롤의 함량과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 비교적 우수한 함량을 보였다. 따라서 Campbell early를 가공함으로써 포도씨유 등과 같은 우수한 품질의 가공품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Comparison of Soyasapogenol A, B Concentrations in Soybean Seeds and Sprouts

  • Kang, Eun-Young;Kim, Seung-Hyun;Kim, Sun-Lim;Seo, Su-Hyun;Kim, Eun-Hye;Song, Hong-Keun;Ahn, Joung-Kuk;Chung, Ill-M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65-176
    • /
    • 2010
  • Soybean seeds contain many biologically active secondary metabolites, such as proteins, saponins, isoflavones, phytic acids, trypsin inhibitors and phytosterols. Among them, saponins in soybeans have attracted considerable interest because of their health benefits. Soyasaponin A and B are the most abundant types of saponins found in soybeans along with soyasapogenol (aglycone), which is a precursor of soyasaponin. The main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soyasapogenol in soybean seeds and sprouts as a function of seed size, usage, seed coat color and seed cotyledon color. The 79 Korean soybean varieties were cultivated at Yesan of Chungnam in 2006 for the analysis of soyasapogenol using HPLC with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ion (ELSD). The total average concentration of soyasapogenol was $1313.52{\mu}g\;g^{-1}$ in soybean seeds and $1377.22{\mu}g\;g^{-1}$ in soybean sprouts. Soybean sprouts were about 5% higher than soybean seeds in average total soyasapogenol concentration. In the process of sprouting, the average soyasapogenol A content decreased by approximately 1.6%, but soyasapogenol B and total soyasapogenol increased by 8.31% and 4.88%, based on the content of soybean seeds.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ize of seeds, the total soyasapogenol concentration of soybean see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On average, small soybean seeds were increased by as much as $103.14{\mu}g\;g^{-1}$ in sprouting process. As a function of the use of the seeds, The total soyasapogenol in soybean see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While, the soybean sprout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p<0.05). Altogether, sprout soybean seeds show the greatest change in content during the germination process. When seeds with different coat colors were compared, the total soyasapogenol concentration of soybean with yellow seed coats ($1357.30\mu g\;g^{1}$)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soybean with black ($1260.30{\mu}g\;g^{-1}$) or brown ($1263.62{\mu}g\;g^{-1}$) seed coats. For the color of the cotyledon, the total soyasapogen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een cotyledon during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oybean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soyasapogenol.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soyasapogenol exhibited a change during the germination process, which was evaluated by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soybean sprouts.

현미유를 이용한 기능성 유지의 효소적 합성 및 고 콜레스레롤, 고 지방 식이가 생쥐의 간 ACAT활성에 미치는 영향 (Enzymatic Synthesis of Functional Oil from Rice Bran Oil and Dietary Effects on Hepatic ACAT Activities of High Cholesterol and High Fat Fed Mice)

  • 김성현;부우펑란;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803-809
    • /
    • 2004
  • 본 실험에서는 DG, MG를 함유한 기능성 유지를 합성하기 위해 lipase(IM 60)를 이용하여 현미유와 글라이세롤을 회분식 교반기에서 glycerolysis화 반응을 하였다. 합성한 기능성 유지와 현미유의 이화학적, 영양학적 특성 을 비교하기 위해 지방산 조성, 기능성 물질 함량 및 동물 식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기능성 유지는 DG(46.19%), MG(11.15%)와 7G(41.71%) 그러고 미량의 자유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지방산 조성은 현미유와 흡사하였다. 비검화 물질함량 또한 현미유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주요물질로써 Phytosterol(2.04$\pm$0.17 mg/g), ${\gamma}$-oryzano1(1.06$\pm$0.04 mg/g), $\alpha$ -tocopherol(0.13$\pm$0.04 mg/g)이 검출되었다. 동물 식이실험 에서는 기능성 유지와 현미유 식이군이 ACAT activity를 저해하였으며, HCHF 식이군과 옥수수유 식이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낮다(p<0.05). 간과 지방 조직의 지방산 조성은 기능성 유지를 비롯한 모든 식이군에서 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Comparative transcriptome and metabolome analyses of four Panax species explore the dynamics of metabolite biosynthesis

  • Hyunjin, Koo;Yun Sun, Lee;Van Binh, Nguyen;Vo Ngoc Linh, Giang;Hyun Jo, Koo;Hyun-Seung, Park;Padmanaban, Mohanan;Young Hun, Song;Byeol, Ryu;Kyo Bin, Kang;Sang Hyun, Sung;Tae-Jin, Ya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1호
    • /
    • pp.44-53
    • /
    • 2023
  • Background: The genus Panax in the Araliaceae family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worldwide and is known to biosynthesize ginsenosides and phytosterols. However, genetic variation between Panax species has influenced their biosynthetic pathways is not fully understood. Methods: Simultaneous analysis of transcriptomes and metabolomes obtained from adventitious roots of two tetraploid species (Panax ginseng and P. quinquefolius) and two diploid species (P. notoginseng and P. vietnamensis) revealed the diversity of their metabolites and related gene expression profiles. Results: The transcriptome analysis showed that 2,3-OXIDOSQUALENE CYCLASEs (OSCs) involved in phytosterol biosynthesis are upregulated in the diploid species, while the expression of OSCs contributing to ginsenoside biosynthesis is higher in the tetraploid species. In agreement with these results, the contents of dammarenediol-type ginsenosides were higher in the tetraploid species relative to the diploid speci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whole-genome duplication event has influenced the triterpene biosynthesis pathway in tetraploid Panax species during their evolution or ecological adaptation.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further efforts to explore the genetic variation of the Panax genus.

이기작에 따른 옥수수의 지방산 조성 및 Phytosterol 함량 변화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and Phytosterol Content in Double Cropping Maize)

  • 김선림;정건호;김미정;손범영;김정태;배환희;고영삼;이기범;이진석;백성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2호
    • /
    • pp.93-103
    • /
    • 2020
  • 옥수수 이기작에 따른 종실의 지방산조성과 phytosterol 함량의 변화를 검토하여 이기작의 조기정착화 및 수확된 농산물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기작(4월 10일 파종) 옥수수 11품종의 평균 출사일수는 89.5일이었고, 후기작(7월 30일 파종) 옥수수의 평균 출사일수는 46.7일로서 후기작의 출사일수가 전기작에 비해 약 43일 빨랐다. 2. 전기작 옥수수 11품종의 평균 백립중은 28.4 g이었으나 후기작은 18.1 g으로 전기작에 비해 약 10.3 g (36.4%) 백립중이 감소되었고, 조지방 함량은 전기작이 3.97%, 후기작은 3.08%로서 전기작에 비해 약 0.89% 함량이 낮았다. 3. 전기작 옥수수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51.66% > oleic 29.52% > palmitic 14.33% > linolenic 2.30% > stearic acid 2.18%이었고, 후기작은 linoleic 53.06% > oleic 27.33% > palmitic 15.43% > linolenic 2.58% > stearic acid 1.61% 였다. 4. Stearic과 oleic acid의 조성비는 전기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palmitic과 linoleic acid는 후기작이 높았으나 linolenic acid는 차이가 없었다. 5. 조지방 함량은 전·후기작 모두 linoleic acid와 부상관(전기작 -0.264ns, 후기작 -0.504**), linolenic acid와 정상관(0.526**)이 있었고, 불포화지방산 비율은 전기작 83.48%, 후기작 82.96%로서 이기작에 따른 유의차가 있었다. 6. 총 phytosterol 함량은 전기작이 598.3 mg/100g, 후기작은 701.9 mg/100g으로 이기작에 따른 유의차가 있었고, β-sitosterol은 이기작간 차이가 없었으나 campesterol 및 stigmasterol은 후기작의 함량이 전기작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불포화지방산은 phytosterol 함량과 전·후기작모두 유의한 부의 상관(전기작 -0.346*, 후기작 -0.468**)을 보였다. 7. Phytosterol 함량이 후기작에서 높았던 것은 등숙 중기부터 기온이 저하되면서 전분축적이 지연되어 종실의 충실도가 낮아진 반면 phytosterol은 전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종실 축적이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향미벼의 발아 전 후 향기 성분 및 기능성 지질성분 함량의 변화 (Germination-Induced Changes in Flavoring Compound Profiles and Phytonutrient Contents in Scented Rice)

  • ;;이슬기;김태형;오예진;조유현;이영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242-250
    • /
    • 2016
  • 새로운 식품 소재의 개발을 목적으로 향미벼 신품종을 이용하여 발아현미를 제조하고 발아 전 후 종실에 함유된 향기성분과 생리활성 물질, 그리고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향기성분은 발아 전 52개, 발아 후 51개 등 총 56개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이들은 hydrocarbon(29%)과 alcohol(23%) 및 aldehyde(21%)류로 분류되었으며, 주요 향기성분으로는 nonanal, benzene, 1-octanol, 1-hexanol, furan, decanal 등이 동정되었다. 2. 발아로 인하여 heptane,3,3,5-trimethyl, 1-pentadecene, 2-heptanone 등 13개 성분은 함량이 증가한 반면, 향미벼 특유의 팝콘향을 나타내는 2-acetyl-1-pyrroline을 비롯하여 1-nonanol, 1-heptanol, 1-hexanol 등 39개 성분은 발아로 인하여 함량이 감소하였다. 3. 향기 성분의 함량을 이용한 PLS-DA 분석 시 뚜렷하게 향기 특성에 따라 발아 전과 발아 후의 구별이 가능하였으며, 2-acetyl-1-pyrroline, 2-octanone 등은 발아 전의, 그리고 benzaldehyde, tridecene 등은 발아 후의 특징적인 향기성분으로 나타났다. 4. 발아된 향미벼의 campesterol, stigmasterol, sitosterol 등 phytosterol류와 squalene, 그리고 5종의 tocols 등 생리활성물질 함량은 모두 발아 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 향미벼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oleic 및 palmitic acid였으며 발아로 인하여 linoleic acid와 oleic acid는 각각 1.3%, 2.7%의 증가하고 palmitic acid는 3.7%의 조성 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약에서 분리한 β-sitosterol과 daucosterol의 RAW 264.7 세포와 TK-1 세포에서의 면역 활성 조절 효능 (Immunomodulatory Effects of β-sitosterol and Daucosterol Isolated from Dioscorea batatas on LPS-stimulated RAW 264.7 and TK-1 Cells)

  • 박민경;조세희;안태규;김도현;김소연;이진욱;김지인;서을원;손건호;임재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59-369
    • /
    • 2020
  • 많은 면역 소재 연구에서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결과는 많이 보고되어 있으나 T 세포 유래 TK-1 세포를 활용한 연구결과는 거의 보고되어 있지 않다. 또한 식물 유래 성분인 β-sitosterol의 효능 연구에 비하여 그 유사체인 daucosterol의 면역 활성 조절 기능에 관한 연구도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약, D. batatas, 에서 β-sitosterol과 daucosterol을 추출하여 분리하고 NMR 방법으로 동정하였다. 이후 분리된 phytosterols의 면역 증강 또는 억제 효능을 규명하기 위해 lipopolysaccharide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와 TK-1 세포에 β-sitosterol과 daucosterol을 각각 농도별로 12시간 동안 처리한 후에 염증관련 유전자인 COX-2, TNF-α, IL-6, iNOS의 상대적인 발현양을 RT-PC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대식세포주인 RAW 264.7에 β-sitosterol을 처리하였을 때, LPS만을 처리한 대조군의 발현 증가량과 비교하여 TNF-α와 iNOS의 상대적인 발현양이 3 fold 이상 증가하였다. TK-1 세포의 경우에서는 β-sitosterol의 처리 농도의존적으로 TNF-α의 발현양은 감소하고 iNOS의 발현양은 증가하였다. Daucosterol을 RAW 264.7 세포에 처리한 경우 COX-2, TNF-α, IL-6의 발현양이 0.7~1.2 fold 정도로 변화하였으며 iNOS의 경우는 특이하게 0.8~0.18 fold로 발현양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TK-1 세포에 daucosterol을 처리한 경우에는, 놀랍게도 LPS만 처리된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TNF-α, IL-6, iNOS의 발현량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β-sitosterol의 처리는 RAW 264.7 세포에서 TNF-α, iNOS의 발현증가를 유도하여 면역 상승 효과에 관여하였다. TK-1 세포에서는, iNOS 발현 수준이 증가하였고, 반면에 TNF-α 발현수준은 감소하여, β-sitosterol의 면역 억제 활성을 보여주었다. Daucosterol은 RAW 264.7 세포의 iNOS 발현양을 억제하고 TK-1 세포에서 TNF-α, IL-6, iNOS의 발현을 크게 억제함으로써, 대식세포와 T 세포주에서 모두 면역 억제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