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ological measure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21초

13-18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Dental Fear Survey 척도를 이용한 치과공포도 및 그 관련요인 분석 (ANALYSIS OF DENTAL FEAR AND ITS RELATED FACTORS USING DENTAL FEAR SURVEY AMONG 13 TO 18 YEAR OLDS)

  • 최준선;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8-126
    • /
    • 2008
  • 치과공포는 치과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방해요인 중 하나로, 정기구강검진이나 반드시 받아야 하는 치료를 피하게 만들어 구강건강상태를 악화시키며, 많은 치과의료인력에서 환자의 행동을 조절하는데 실패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치과공포는 구강건강증진과 진료 효율성 측면에서 중요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이에 저자는 만13세 이상 18세 이하인 청소년 총 313명을 대상으로 Dental Fear Survey 척도를 이용하여 치과공포도를 측정하였고, 치과공포와의 관련된 요인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응답자의 치과공포도는 구강건강상태가 좋은 선진국과 비교할 때 높은 수준이었다. 2. 진료동안 가장 강하게 경험한 생리적 반응은 '근육긴장'이었고, 치과공포를 유발하는 주된 자극요인은 '마취주사기'와 '치아삭제용 드릴'로 나타났다. 3. 치과공포도가 높을수록 치과의료서비스 이용 횟수가 적었고, 정기구강검진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자가 인지한 구강병 증상도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치과공포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접통증경험과 치과의사에 대한 신뢰도로 나타났다.

  • PDF

비자(Torreya nucifera) 추출물의 생리활성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orreya nucifera Seed Extracts)

  • 전호성;이양숙;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8
    • /
    • 2009
  • 식용 및 한방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비자나무(T. nucifera) 종자인 비자(榧子)를 천연 항산화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물 추출물(WE)과 에탄올 추출물(EE) 그리고 열수 추출물(HWE)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과 tyrosinase 저해, 아질산염 소거, 전자공여,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등 항산화적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방법과 용매를 달리한 비자의 수율은 $100^{\circ}C$ 이상의 고온과 압력이 가해진 HWE가 7.08 g/100 g으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비자의 HWE는 35.47mg/g의 플라보노이드와 112.95 mg/g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였다. 비자의 각 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 저해율은 2.0 mg/mL의 농도에서 $5.62{\sim}28.71%$로 WE에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의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pH 1.2의 2.0 mg/mL의 조건에서 HWE가 94.30 %로 가장 높은 소거효과를 보였으며, pH 1.2와 3.0에서 비자의 세 가지 추출물 모두 약 9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능은 HWE에서 33.58%로 WE (17.70%)와 EE(24.16%)보다 약 $1.4{\sim}2$배 높은 활성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0.1 mg/mL의 농도에서 $66.46{\sim}89.72%$로 WE에서 높았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전자공여능이 감소하였다(p<0.05). Xanthine oxidase 저해는 HWE에서 89.29%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0.5 mg/mL의 농도에서도 WE와 HWE는 75% 이상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 비자는 물을 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다량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 추출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우수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이용하여 기능성식품이나 제품의 첨가물 또는 의약품 재료로 개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한방생약자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임피던스 분석을 활용한 사상인의 신체계측 연구 (Analysis on Physical Traits of Sasang Types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 이수진;박수현;고유선;박수진;엄일규;김병철;김영인;백진웅;김명근;권영규;채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33-43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circumference of four body parts of each Sasang groups with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and evaluate its usefulness for Sasang type diagnostic test. We obtained the circumference measures of neck (CN), chest (CC), waist (CW), and hip (CH) of 91 college students using BIA and standardized by sex and age. The validity of Sasang group prediction with CC was evaluated. The Tae-Eum group (104.87${\pm}$5.19, 108.47${\pm}$4.96, 116.00${\pm}$9.39, 110.4${\pm}$5.29. neck, chest, waist and hip, respectively) has significantly (p<0.001) bigger circumferences than So-Yang (97.79${\pm}$3.82, 100.02${\pm}$4.21, 101.02${\pm}$7.88, 101.95${\pm}$4.06) and So-Eum (95.63${\pm}$4.67, 96.93${\pm}$4.80, 97.63${\pm}$7.72, 99.86${\pm}$4.40) groups at very four measures. Discriminant functions with CC can be used for Tae-Eum Sasang type diagnostic test with 91.2% of overall Percentage Correctly Predicted (PCP). Tae-Eum type-specific sensitivity was 73.3% and Tae-Eum type-specific specificity was 94.7%.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measurement and standardization methods for Sasang type diagnostic test, and the methods for the standardization of physical traits with sex and age were discussed. Our study showed distinctive physical features of Tae-Eum type and the usefulness of BIA for the Sasang type diagnosis.

아토피 피부염의 한약 치료에 대한 무작위대조군연구 중심의 연구 동향 - CNKI를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n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Atopic Dermatitis-Focusing on CNKI)

  • 양금진;조은희;강수진;홍지은;심유화;이주현;박민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2-11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n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atopic dermatitis in China for the last 5 years. We searched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ith the intervention of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in the CNKI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8. For the screening of the paper, we used '特应性皮炎' and '异位性皮炎' which mean atopic dermatitis and search was limited to three areas within Medicine & Public Health: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Herbs, Combin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with Western Medicine. Among the 136 searched studies, we selected a total of 34 studies and analyzed a year of publication, subject characteristics, study design and intervention, prescribed herbal medicine and herbs, pattern identification, evaluation criteria, and outcomes. Longmu decoction (龍牡湯) and Polia Sclerotium (茯笭) was the most frequently prescribed medicine and herb. The most commonly used pattern identification was Blood deficiency and Wind-dryness (血虛風燥), and among them, the most frequently prescribed herb is Rehmanniae Radix (生地黃). In most studies using the total effectiveness and SCORAD index as an outcome measure, the herbal medicine treatment group showed statistically better results tha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the safety assessment, the herbal medicine treatment group was reported having significantly fewer side effec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vention including herbal medicin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opic dermatitis. This study would be able to provide the basis of clinical research on atopic dermatitis and applied to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Saccharomyces Cerevisiae 효모 추출물 SCP-20의 스트레스 반응, 불안 및 우울에 대한 효과 : 이중 맹검 위약 통제 연구 (The Effect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Yeast Extract SCP-20 on Stress Response, Anxiety and Depression :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 이하민;정영은;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13
    • /
    • 2009
  • Saccharomyces cerevisiae 효모추출물인 SCP-20은 동물실험에서 항스트레스, 항불안 및 항우울 효과를 보인 바 있다. 본 연구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위약통제 이중맹검 연구를 시행하여 SCP-20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선별과정을 거치고 충분한 순응도를 보인 61명의 자원자의 정보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들은 4주간 SCP-20이 70% 함유된 캡슐, SCP-20 99.5% 함유 캡슐 그리고 위약캡슐 중 한가지를 하루 4회 복용하였다. 4주 뒤 SCP-20 복용군은 위약군에 비해 SRI, BAI 점수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으나,BDI 점수변화는 군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집단별 사후검정에서 SCP99.5군만이 복용 전후 유의미한 BDI 점수감소를 보였다. HRV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SCP-20은 정상인에게 투여하였을 때 위약에 비해 유의하게 항스트레스, 항불안 효과를 보이나 항우울 효과는 명확하지 않았으며, 부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향후 SCP-20의 항우울기능 추가 검증 및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장기적 연구가 필요하다.

  • PDF

동물실험에서 인삼의 항비만 효과: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위한 연구 프로토콜 (Anti-Obesity Effect of Panax Ginseng in Animal Models: Study Protocol fo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조재흥;김고운;박혜성;윤예지;송미연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7-45
    • /
    • 2017
  • 최근 비만이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면서 임상 연구의 해석에 필요한 중요 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는 동물 모델을 이용한 생리학적 기전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삼은 많은 동물 실험에서 항비만 또는 항당뇨 효과가 보고되었으나 인체의 임상에서 비만을 연구한 논문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신체계측치수와 대사지표를 활용한 동물 모델에서의 인삼의 항비만 효과의 근거수준을 평가하고자 한다. 전임상 단계에서 비만에 대한 인삼의 효과를 연구한 대조군 연구, 비교 연구를 포함시키고자 한다. 실험적으로 비만을 유도하는 도중 혹은 이후에 인삼을 투여하고, 일차평가변수는 신체계측치수, 이차평가변수는 지방조직의 무게, 섭취음식의 총량, 대사지표 등을 포함한다. 언어, 출판일 등 특별한 제한 없이 MEDLINE, Embase, PubMed, Web of Science, Scopus를 통해 논문 검색을 시행한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 수집은 개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며,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없으므로 윤리적 승인 대상에서 제외된다. 연구의 전체과정을 수행한 후 연구결과는 연관 저널에 출간하거나 관련 학회에 발표할 예정이다. 본 연구 프로토콜은 the Collaborative Approach to Meta-Analysis and Review of Animal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CAMARADES) website (http://www.camarades.info)에 등록되었다.

그림 자료의 제시여부와 읽기모드에 따른 인지부하와 GSR의 차이 (Impact of Picture and Reading Mode on Cognitive Load and Galvanic Skin Response)

  • 류지헌
    • 감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21-32
    • /
    • 2010
  • 이 연구는 그림 자료의 근접성(고근접 vs. 저근접)에 따른 제시여부와 읽기모드(단순읽기 vs. 요약읽기)에 따른 학습자의 인지부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전기피부반응을 통하여 인지부하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참가자는 34명(통제집단=17명, 실험집단=17명)이었으며 고근접 조건과 저근접 조건에 대한 반복구획요인설계를 적용하였다. 또한 각 실험조건에서 측정된 과제난이도 지각점수를 공변량으로 투입하여 학습자의 사전지식에 의한 영향력을 통제하였다. 그림 자료의 근접성의 정도에 따라서 고근접 그림 자료와 저근접 그림 자료가 순차적으로 제시되었다. 처음에는 단순읽기 모드가 제시되었고 이후에 요약읽기를 수행하였다. 전기피부반응은 단순읽기와 요약읽기에서 모두 측정되었다. 이 연구의 종속변수는 전기피부반응과 지각된 난이도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근접 자료가 제시된 조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저근접 조건에서는 그림 자료의 제시여부 및 읽기모드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저근접 조건에서는 텍스트만 제시하는 것보다는 그림 자료가 제시될 때 전기피부반응이 올라갔다. 또한 단순 읽기 보다 요약읽기에서 더 높은 전기피부반응이 측정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저근접 그림은 인지부하를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읽기모드가 복잡해지면 인지부하가 높아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동일한 자료를 활용한다고 하더라도 인지과정의 복잡성 정도에 따라서 인지부하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습성취과 같은 과제수행 요인과 더 높은 난이도에서의 인지부하 측정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PD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combined extracts from garlic (Allium sativum), brown seaweed (Undaria pinnatifida), and pinecone (Pinus koraiensis) improves milk production in Holstein cows under heat stress conditions

  • Lee, Jae-Sung;Kang, Sukyung;Kim, Min-Jeong;Han, Sung-Gu;Lee, Hong-G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호
    • /
    • pp.111-119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mixture of pinecone oil, garlic, and brown seaweed extracts (PGBE) on milk production traits as well as physiological and ethological parameters in Holstein cows during the summer season (24 May to 03 July 2015, Korea). Methods: Among the extract combinations tested, we found that the level of 2,2'-azino-bis (3-ethylberzothiazoline-6-sulphonic acid)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0.16% PBGE complex at ratio of 1:1:1 (vol/vol) was comparable to that of the control (ascorbic acid; 1 mg/mL). Additionally, the PBGE complex reduced lipopolysaccharide-induced COX-2 expression in bovine mammary epithelial cells. Based on these findings, 40 lactating Holstein cows were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PBGE complex at ratio of 1:1:1 (vol/vol) on milk production, immune response, metabolites, and behavior patterns by dividing the cows into two groups fed diets containing PGBE complex (n = 20; 0.016%/kg feed dry matter basis) or not containing PGBE complex (control, n = 20) for 40 d. Results: Results showed that PGBE complex did not influence milk composition, eating and ear surface temperature patterns, immune response, or metabolic parameters but promoted average milk yiel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Additionally, a tendency of higher total antioxidant capacity and glutathione in the PGBE group was observed compared to the those in the control. When the temperature-humidity index (THI) exceeded 72 (average THI = 73.8), PGBE complex-fed cows experiencing heat stress showed increased milk yield and a tendency of increased rumin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Conclusion: We suggest that incorporation of a combined mixture of 0.016% PGBE (1:1:1 ratio, vol/vol) to diet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milk yield and health status of cows under mild to moderate heat stress, denoting that it might be useful as an alternative anti-stressor in the diet of dairy cows under hot conditions.

자동차 시뮬레이터에서의 급출발 및 급제동에 따른 운전자 감성 평가 (Evaluations on Driver's Sensibility Changes by Sudden Start and Sudden Stop Conditions in Driving Simulator)

  • 전효정;민병찬;성은정;김철중
    • 감성과학
    • /
    • 제5권4호
    • /
    • pp.51-57
    • /
    • 2002
  • 자동차 시뮬레이터에서 운전 형태에 따른 감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운전자의 심리생리적 반응을 측정하였다. 운전 형태는 정차, 정속주행(70km/h), 급출발(0km/h$\longrightarrow$70km/h)및 급제동(70km/h$\longrightarrow$0km/h)으로 하였다. 피험자는 운전경력이 1년 이상인 20대 남자 12명을 대상으로 Simulator Sickness 및 주관적 쾌적감과 각성감, 뇌파(Electroencep-halogram), 심전도(Electrocardiogram), 피부온도(Skin temperature), 피부전기저항(Galvanic skin response)을 측정하였다. 주관적, 생리적 평가는 각 주행조건에서 주행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정차 및 정속 주행보다 급출발 및 급제동 조건에서 쾌적감과 각성감은 높아졌다. 생리적으로는 정차 및 정속 주행보다 급출발 및 급제동 조건에서 중추신경 반응은 알파파가 감소하였고, 베타파는 증가하였다. 자율신경 반응은 심박율 및 피부전기저항의 증가, 피부온도의 저하로부터 교감신경이 활성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운전 형태에 따라 심리 .생리적인 변화가 뚜렷하였고,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동적 환경에서의 감성 평가가 가능하였다. 감성에 대한 개인간의 차이를 최소화하고 객관화된 감성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대상자에 대한 측정 자료가 요구된다.

  • PDF

피부건조증 환자에 대한 아로마오일 사용시 스킨 pH.소양증 변화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Skin pH and Pruritis in Patients with Xerosis Cutis)

  • 김은정;유왕근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5-63
    • /
    • 200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aroma oils as the complementary medical goods specially for the effects of aromatheraphy on xerosis cutis. Materials and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23 adult patients and all participants of this study use aroma oils which is known to effect on xerosis cutis. The subjects consist of voluntary patients with xerosis cutis in Seong-So Hospital in Andong Kyoungbuk, Korea. From April 1st to April 30th, 2004 for 4 weeks, the subjects massaged aroma oils on itching parts or the whole body. Aroma oils were Lavender, Losemary, Jasmine and blended drop by drop per 10ml jojoba oil which used a carrier oil. Skin pH was measured with a skin pH meter(Model : HI98110, Se-Chang instruments, made in Portuga. After 4weeks using aroma oils, the participants answered questions about the feeling of satisfaction with aroma oils. Results :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indices. The mean deviation of skin pH was $5.58{\pm}0.47$ points before using aroma oils and $5.53{\pm}0.45$ points after 2 week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p=0.221). MD was $5.36{\pm}0.41$ points after 4 weeks using aroma oil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of 0.22 points(p=0.001) Changes on the Pruritus Score Scale. A modified scale of the Pruritus Score Scale(Duo, 1987) was used to measure the severity, location, frequency, and the inconveniences of daily life due to prurius. The maximum scale of severity was 4 points, the full marks of location was 2 points, the full marks of frequency was 3 points, the full marks of inconveniences of daily life due to pruritus was 3 points. The scores ranged from 0 to 12, with 12 indicating the most severe pruritu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severity and frequency score at 4 weeks later(severity p=0.097, frequency p=0.633).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core of location and the inconveniences of daily life due to pruritus(each p=0.003). Conclusion : Generally speaking, the patient suffering from renal itch is the higher than normal in skin pH levels. that means to show alkaline condition of skin surface. In some case in this study, skin pH levels was rather lower than normal levels when measured actually patients suffering from renal itch by skin pH meter. But in this study post-test skin pH levels decreased, showing the contribution of aromathrapy to acidic condition of skin surface in suffering from renal itch. It seems to be some help to cure a pruritus and also have no ill effects on aroma oi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