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o-chemistry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6초

배추의 생장 및 배추 중의 ${\gamma}-aminobutyric$ acid 함량에 미치는 키토산비료의 시비효과 (Application Effects of Chitosan Fertilizer on the Growth of Cabbage and GABA Contents in the Cabbage)

  • 서경원;최동성;한광수;최원규;오석흥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1호
    • /
    • pp.34-38
    • /
    • 2000
  • 과채류에 대한 키토산 유기농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배추의 생장 및 배추 중의 ${\gamma}-aminobutyric$ acid(GABA) 함량에 미치는 키토산비료의 시비효과를 조사하였다. 육묘상태에서 대조구에는 물을, 실험구에는 3% 키토산액을 500배 희석하여 2일에 1회 처리하였고, 본 밭에 정식후 대조구에는 물을, 실험구에는 동일한 키토산 희석액을 7일 1회 간격으로 엽면시비 하였다. 키토산비료의 시비는 물 처리구에 비하여 육묘상태에서 배추묘의 잎 길이를 증가시켰고, 어린묘 중의 GABA함량도 증진시켰다. 키토산비료의 시비는 본밭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크게 변화 시키지 않으면서 본밭에서의 배추의 평균 둘레 및 무게를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시켰으며, GABA 함량도 증진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결과들은 키토산비료의 시비가 배추의 생산량과 품질을 일부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안해 주는 것이다.

  • PDF

식용 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 -능소화(Campsis grandiflora K. Schum.)로부터 지질화합물의 분리 및 FPTase 저해 효과 측정-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X. -Isolation of Lipids from the Flower of Campsis grandiflora K. Schum. and their Inhibitory Effect on FPTase-)

  • 김동현;송명종;한경민;방면호;권병목;김성훈;김대근;정인식;박미현;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3호
    • /
    • pp.357-360
    • /
    • 2004
  • 능소화를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을 silica gel 및 octadecylsilica gel(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linoleic acid의 methyl ester, linolenic acid의 methyl ester, ${\beta}-sitosterol$ 및 daucosterol로 동정하였다. Daucosterol은 $14{\pm}0.04\;{\mu}M$$IC_{50}$ 값으로 FPTase의 활성을 저해하였다.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의한 국내외산 녹차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Various Green Tea by the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 오상룡;이상효;신동화;정동효;손태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3호
    • /
    • pp.284-291
    • /
    • 1988
  • 국내외산 녹차 15종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과 기호도를 조사하고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구명하여 녹차의 품질영향인자를 검토하였다. 녹차의 이화학적 특성치중 탄닌, 카페인, 유리아미노함량산은 국산녹차가 외국산 녹차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나 클로로필함량은 일본산 녹차가 가장 높았다. 침출액의 색깔에 대한 기호도는 일본산 녹차가 가장 우수하였고 맛에 대한 기호도는 국산 볶은차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화학적 분석치와 관능평점과의 관계를 중회귀분석한 결과, 녹차의 종합적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녹차중의 카페인, 클로로필 b, 총유리아미노산함량 및 침출액의 L값 이었으며 이들 특성치에 의하여 산출한 회귀방정식은 녹차의 기호도를 89%의 신뢰도를 가지고 설명할 수 있었다.

  • PDF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점토함량 분석의 정확성 및 정밀성 평가 (Accuracy and Precision of Spectrophotometric Measurement of Clay Content in Soils)

  • 박순남;김계훈;강지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2호
    • /
    • pp.153-157
    • /
    • 2006
  • 본 연구는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토양중 점토함량을 분석하는 방법의 정확성과 정밀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분광광도계를 이용하는 방법과 피펫법을 이용하여 동일한 시료의 점토함량을 측정하고 두 방법간의 정확성과 정밀성을 비교하였다. 두 방법으로 동일 시료의 점토함량을 분석한 결과 상관관계는 $y=x-0.0002(r=0.98^{**})$로 매우 높았고 기울기는 1에 가까웠으며 절편은 0에 가까워 정확성에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점토함량에 대한 두 방법간 정밀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표준편차와 변이계수를 조사한 결과 분광광도법의 표준편차와 변이계수가 피펫법보다 더 낮게 조사되었다. 따라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면 시간과 공간을 절약하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토양 중 점토함량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꽃으로부터 Triterpenoid 및 Sterol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riterpenoids and Sterols from the Flowers of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 정재우;서경화;오은지;이대영;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3호
    • /
    • pp.237-240
    • /
    • 2015
  •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꽃은 실온에서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EtOAC 분획, n-BuOH 분획,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EtOAc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및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하였다. nuclear magnetic resonance, infrared, 및 Electronic ionization mass spectrometer 등을 해석하여, ursolic acid (1), corosolic acid (2), ${\beta}$-sitosterol (3), 그리고 daucosterol (4)로 구조동정 하였다. 분리한 4종의 화합물은 이팝나무 꽃으로부터 이번 실험에서 처음 분리 되었다.

홍화(Carthamus tinctorius L.)로부터 활성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the Flower Petals of Carthamus tinctorius L.)

  • 김융희;안은미;방면호;남지연;권병목;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2호
    • /
    • pp.197-200
    • /
    • 1998
  • 홍화 MeOH 추출물의 n-BuOH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2종의 flavonoid 배당체를 분리, 정제하였다. 화합문의 화학구조를 HMBC를 포함한 NMR, MS, IR과 같은 기기분석 결과와 산가수분해반응을 이용하여 결정, 각각 $3-O-[{\beta}-D-glucopyranosyl(1{\rightarrow}2)\;{\beta}-D-glucopyranosyl]\;kaempferol$$3-O-[{\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yl]\;kaempferol$로 동정하였다. 각 화합물은 Grb2-Shc 결합저해활성$(IC_{50}:43,\;47\;{\mu}g/ml)$을 나타내었다.

  • PDF

식용 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 -XIII. 개망초(Erigeron annuus L.) 꽃으로부터 triterpenoid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XIII. Isolation of Triterpenoids from the Flower of Erigeron annuus L.-)

  • 김동현;정성제;방명호;정인식;김성훈;권병목;김대근;박미현;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4호
    • /
    • pp.422-425
    • /
    • 2004
  • 개망초의 꽃을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을 silica gel, octadecylsilica gel(ODS) column chromatography 및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로 정제하여 3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alpha}-amyrenone(1),\;{\alpha}-amyrin(2)$${\beta}-amyrin(3)$으로 동정하였다. 이들 3종의 triterpenoid는 개망초에서는 처음 분리되었다.

일반계(一般系) 및 다수계(多收系) 현미(玄米)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일반성분(一般成分)-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aponica and J/Indica Brown Rice -Chemical Composition-)

  • 송보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2호
    • /
    • pp.141-146
    • /
    • 1987
  • 일반계(一般系) (천마벼, 서남벼 및 섬진벼) 및 다수계(多收系) (가야벼, 원풍벼, 이리 362호(號)) 현미(玄米)의 성분(成分)을 분석(分析) 비교(比較)하였다. 현미(玄米)의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N{\times}5.95)$은 평균(平均) 9.63%로서 서남벼가 10.50%로 가장 높았고, 섬진벼는 8.90%로 가장 낮았다. 지방질(脂肪質)$(2.11{\sim}2.31%)$과 회분(灰分)$(1.14{\sim}1.34%)$ 함량(含量)은 각(各) 품종간(品種間)에 큰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다. 아미노산(酸)의 함량(含量)은 일반계(一般系)와 다수계(多收系) 현미간(玄米間)에 뚜렷한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며, 품종간(品種間)에도 큰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다. 현미(玄米)의 제(第)1제한(制限) 아미노산은 리진(lysine)이었으며, 제(第)2제한(制限) 아미노산(酸)은 원풍벼의 트레오닌(threonine)을 제외(除外)하고는 모두 이소로이신(isoleucine)이었다. 현미(玄米)의 주(主)된 지방산(脂肪酸)은 팔미트산(酸)(19.3%), 올레산(酸)(40.3%) 및 리놀레산(酸)(36.1%)으로서 전체(全體) 지방산(脂肪酸)의 95.7%를 차지하였다. 일반계(一般系) 현미(玄米)는 다수계(多收系) 현미(玄米)에 비(比)하여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 함량(含量)이 낮았다. 현미(玄米)의 무기질(無機質) 함량(含量)은 품종간(品種間)에 큰 차이(差異)를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差異)는 일반계(一般系) 현미(玄米)가 심하였다. 현미(玄米)의 무기질중(無機質中) 칼슘과 인(燐)의 비(比)는 약 0.052이었다.

  • PDF

우분과 피마자박을 이용한 퇴비화 과정 중 부숙도 평가 (Evaluation of Compost Maturity during the Active Composting of Cow Manure and Castor Meal)

  • 장기운;홍주화;이종진;한기필;김남천
    • 농업과학연구
    • /
    • 제35권1호
    • /
    • pp.25-32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n optimal combination rate of castor meal for the good qualitative compost and to estimate the humification grade by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phyto-toxicity test during composting of the mixture with cow manure and castor meal. The material ratios of the compost which was mixed with cow manure(C), castor meal(C), and saw dust(S) were 5 : 1 : 4(CCS-1), 5 : 2.5 : 2.5(CCS-2) and 5 : 4 : 1(CCS-3) by volume to volume, and they were decomposed for 60 days. In the result, the changes of temperature in all treatments during composting radically increased more than $63.6^{\circ}C$ at the incipient stage, and gradually decreased around $42^{\circ}C$. At the 60 days after the treatment, pH was slowly increased from 7.0 to 8.0, and the C/N ratio was 12.3~13.8 at the final composting stage. The low C/N ratio value was caused by the castor meal with high nitrogen level(T-N 5.7%). G.I.(germination index) showed in the range of 77.5 to 82.6 in all treatments. Among all treatments CCS-1 was appeared to be the best condition for composting. Therefore, the combination rate of castor meal which was used for compost humification improvement could be recommended 10% to manufacture the good qualitative cow manure compost.

  • PDF

유기-무기 충진제를 함유한 Poly(1-trimethylsilyl-1-propyne) 복합막에서의 기체 운송 성질 (Gas Transport Properties in Poly(1-trimethylsilyl-1-propyne) Composite Membranes with Organic and Inorganic Filler)

  • 조덕연;홍세령
    • 멤브레인
    • /
    • 제22권5호
    • /
    • pp.318-325
    • /
    • 2012
  • PTMSP에 20 wt% PMMH dendrimer와 10, 20, 30, 40 wt% NaY zeolite를 가하여 PTMSP-PMMH-NaY zeolite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복합막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FT-IR, TGA, SEM을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H_2$$N_2$ 기체에 대한 투과도와 선택도 성질을 고찰하였다. PTMSP-PMMH-NaY zeolite 복합막의 투과도는 zeolite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수소와 질소의 투과도는 각각 3,950~592,000 barrer와 1,550~143,000 barrer를 보였다. 질소에 대한 수소의 선택도는 0~30 wt%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30~40 wt%에서는 2.2~4.2 범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