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synthesis rate

검색결과 462건 처리시간 0.029초

세균성 점무늬병에 감염된 콩의 광합성 관련 특성 변화 (Changes of Characteristics Related to Photosynthesis in Soybean Leaves Infected with Pseudomonas syringae pv. glycinea)

  • 류경열;허훈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1-65
    • /
    • 1995
  •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soybean leaves infected with Pseudomonas syringae pv. glycinea were investigated for 8 days. The difference in photosynthesis rate between healthy and diseased soybean leaves decreased for 2 to 4 days after inoculation and then increased. In respiration rate, healthy and diseased leaves showed the same tendency as photosynthetic rate. The stomatal resistance increased following Pseudomonas syringae pv. glycinea infection. The total chlorophyll content of the infected leaf was less than that of the uninfected. Pseudomonas syringae pv. glycinea infection induced the malformation of stacked grana in chloroplast. Dry matter production declined after infection.

  • PDF

단색광이 인삼속 식물의 광합성과 잎표백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onochromatic Light on Photosynthesis and Leaf Bleaching in Panax species)

  • 이성식;;최광태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1-7
    • /
    • 1999
  • 인삼속 식물의 광질별 광합성과 잎표백화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공시재료로 고려인삼 및 미국삼을 사용하여, 각종 단색 광원하에서 개엽의 동화량 및 잎표백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려인삼의 광질별 광합성은 측정한 전온도 및 광도에서 공히 적색광 > 황색광 > 청색광 > 백색광 > 녹색광 순으로 높았으며 미국삼도 같은 경향이었다. 광질별 잎표백화 정도는 미국삼의 잎에서 근적외광 > 적색광 > 백색광 > 청색광 > 황색광 > 녹색광 순으로 근적외광에서 표백화가 가장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보아 인삼포의 해가림 자재는 청색광 및 황색광 자재의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고려인삼의 광합성 최적온도는 $25^{\circ}C$ 부근 이었으며 미국삼도 같은 경향 이었다. 인삼잎의 호흡량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 하였으며, 특히 $30^{\circ}C$ 이상의 고온에서는 $25^{\circ}C$에 비해 잎호흡량이 고려인삼이 $80\%$이상, 미국삼이 $73\%$이상 급격히 증가 되었다. 광합성능은 미국삼이 $3.54\~4.04\;mg\;(CO_2{\cdot}dm^{-2}{\cdot}hr^{-1})$로 고려 인삼 $2.08\~2.59\;mg\;(CO_2{\cdot}dm^{-2}{\cdot}hr^{-1})$보다 높았다.

  • PDF

자작나무류 잎의 오존흡입량이 광합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te of Ozone Uptake Rate on Photosynthesi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the Leaves of Betula Species)

  • 이재천;한심희;장석성;조경진;김용율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2-79
    • /
    • 2002
  • 자작나무류 4개 수종의 오존에 대한 생리 생화학적인 반응 특성을 비교하고, 수종별 오존 홉입량과 광합성 능력 및 항산화효소 활성간의 연관성을 찾기 위하여 거제수나무, 물박달나무, 자작나무, 사스래나무 묘목에 5주 동안 100 ppb 오존을 노출시킨 후 오존 흡입량, 광합성, SOD, GR 활성을 측정하였다. 5주 동안의 누적 오존 흡입량은 거제수나무가 53.8 mmol m$^{-2}$ 로 가장 많았으며, 물박달나무가 35.5 mmol m$^{-2}$ 로 가장 적었다. 오존에 노출된 4개 수종의 광합성 능력은 감소하였으나 기공전도도에 따른 광합성 반응은 수종간 달랐다. 4개 수종의 SOD 활성은 누적 오존 홉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 GR 활성은 거제수나무의 경우 SOD 활성과 마찬가지로 점차 증가하다가 감소하였으나, 다른 세 수종은 누적 오존 흡입량이 증가하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거제수나무는 누적 오존 흡입량의 증가로 SOD와 GR 활성을 잃어버리는 민감성 수종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세 수종은 GR 활성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저항성을 보였다. 또한 오존 흡입량에 따른 SOD와 GR 활성 반응은 반드시 일치하지 않으며, 수종별 반응 차이는 오존 흡입량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차광재료에 따른 생육시기별 인삼의 광합성작용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sis with Growing Stages by different Shading Materials in Panax Ginseng C. A. Meyer)

  • 이충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76-284
    • /
    • 2007
  • 인삼의 차광재료가 생육시기별 광합성, 증산작용 및 기공전도도의 일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삼집내 자연광과 인공광선을 이용하여 광합성, 증산, 기공전도도 및 엽록소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생육시기별 광합성속도의 일변화는 오전에 증가하다가 오후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차광망에 비하여 차광판에서 높았다. 증산작용은 광합성작용과 반대로 오후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기공전도도는 오후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광합성속도와 기공전도도와의 관계는 오전에서 l차직선회귀식으로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나, 오후에서의 양자간의 관계는 인정되지 않았다. 일복재료별 엽록소의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SPAD값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차광망에 비하여 차광판의 SPAD값이 전 생육기간에 높은 경향이었다.

인제한에 따른 Scenedesmus quadricauda의 광합성 특성 및 질소, 이 함량 변화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Cell Quota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Scenedesmus quadricauda under P Limitation)

  • 안치용;김희식;윤병대;오희목
    • ALGAE
    • /
    • 제17권2호
    • /
    • pp.83-87
    • /
    • 2002
  • Photosynthetic parameters of Scendesmus quadricauda, such as the maximum photosynthetic rate ($P_{max}$), photosynthetic efficiency (α) and the initial saturation intensity of irradiance for photosynthesis ($I_K$) were obtained using photosynthesis-irradiance (P-I) curve in a phosphorus-limited chemostat. S. quadricauda exhibitied no photoinhibition until at 200 μmol·$m^{-2}$ . $P_{max}$ (r=0.963, P=0.002) and $I_K$(r=0.904, P=0.013) showed linear relationships with growth rate. Chlorophyll-α concentration and cell dry weight decreased at higher growth rates, ut chlorophyll-α content per cell dry weight increased. The increase in photosynthetic rates at higher growth rates was due to the increase of $P_{max}$ and $I_K$ which was caused mainly by the increase in the absolute amount of chlorophyll-α rather than the increased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individual chlorphyll-α. The α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growth rate (r=0.714, P=0.111). The cell quota of carbon (r=0.554, P=0.254) was not correlated with growth rate, but cell quota of nitrogen (r=0.818, P=0.047) and phosphorus (r=0.855, P=0.030) exhibited linear correlations with growth rate.

토양 건조 스트레스와 기온상승에 의한 고추의 생리반응 및 생산량 변화 (Influence of Drought and High Temperature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 and Yield in Hot Pepper)

  • 이상규;이희주;김성겸;문보흠;이진형;이희수;도경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51-259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mbination of air temperature and soil water content on the growth, physiological disorder rate, and yield of hot peppers.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a typical plastic house (open on one side and with ventilation fans on the other side), which was maintained with gradient air temperature (maximum difference in air temperature: $6^{\circ}C$). The deficit irrigation (DI) treatment commenced 65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height of plant and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stem increased at high air temperature (ambient + $6^{\circ}C$, extreme high temperature; EHT). Furthermore, the leaf area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DI treat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em diameter, number of branches, and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leaves among all the treatments. The net photosynthesis rate of the full irrigation (FI)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I treatment. The photosynthesis rate at ambient air temperature was $19.7{\mu}mol\;CO_2m^{-2}{\cdot}s^{-1}$, the highest among all the treatments; however, the photosynthesis rate of the EHT treatment decreased by 60% ($12.3{\mu}mol\;CO_2m^{-2}{\cdot}s^{-1}$). Additionally, the formation of guard cells in the leaf was abnormal with the EHT treatment, and there was a decrease in translocation efficiency. The effects of air temperature treatment were more pronounced on the physiological disorder rate and yield. The physiological disorder rate of the EHT treatment was the highest under the DI treatment condition. The yield of the AFI (ambient air temperature with full irrigation) treatment was 3,771 kg/10a, the highest among all the treatments; however, the yield of the EHT treatment with DI and FI was 1,282 and 1,327 kg/10a,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owth and physiological disorder rate improved with the EHT treatment; however, there was a decrease in yield. Furthermore, the formation of guard cells was abnormal and malfunctional.

오존 환경에 대한 잡종 포플러 묘목의 가스 교환과 생장에 관한 연구 (Ozone-environmental Effects on Gas Exchange and Growth of Hybrid Poplar (Populus trichocarpa $\times$ P. deltoides) Seedlings)

  • 우수영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4호
    • /
    • pp.239-244
    • /
    • 1997
  • Hybrid poplar (Populus trichocarpa $\times$ P. deltoides) clones were fumigated with ozone. Fumigation was applied for 6 to 8 hours each day for approximately 3 months at ozone concentrations of 0.090 to 0.115 ppm using by open-top chambers. Growth and biomass of hybrid poplar seedlings were reduced by ozone exposure. Mean percentage of falling leaves in ozone-treated plant was 6 times higher than that of charcoal-filtered plant. Among physiological responses, rate of photosynthesis, stomatal conductance, transpiration and initial Rubisco activit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eedlings grown in ozone environment compared seedlings grown in charcoal-filtered air. All these physiological results supported that biochemical process to be a key feature to understand reduction in photosynthesis.

  • PDF

생태 지위적 접근을 통한 5학년의 광합성 개념 분석 (An Approach of Ecological Niche to Analysis of Recognition of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for Conception of Photosynthesis)

  • 정재훈;김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13-527
    • /
    • 2011
  • 학습자의 개념 형성 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개념 생태 관련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학습자의 인지 구조를 생태계로 비유한다면, 인지 구조 속에 존재하는 개념은 생태계의 종으로 비유할 수 있다. 따라서 생태계 내 종이 생태 지위를 가지듯이, 학습자의 개념 생태 내 개념도 생태 지위를 가질 수 있다. 이 연구는 개념의 다양성, 개념의 관련성과 빈도율 변화, 개념 간 경쟁관계로 구성된 생태 지위적 접근을 통하여, 광합성 학습 전 후에 5학년들이 인식하는 광합성 개념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광합성 장소, 광합성 생성물질, 광합성 필요물질, 광합성 환경요인 네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영역별로 알고 있는 개념과 그 개념의 관련성 정도를 점수(1~30 점)로 기입하도록 제작되었다. 5개 도시 소재 11개 초등학교의 5학년 11학급 총 3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광합성에 '빛'과 '물'을 공통적으로 많이 인식하면서 다양한 개념들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학습 후에도 학생들은 '뿌리', '바람' 등과 같은 오개념이 여전히 나타나고 있었으며, 광합성 영역별로 오개념과 과학 개념이 공존하고 있었다. 셋째, 학습을 통하여 '빛'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높아지고 있지만, 광합성 영역에 따른 적절한 개념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교사들의 지속적이면서 효율적인 교수 전략이 필요하다. 넷째, 학생들이 인식하는 개념들은 개념 생태내에서 위상을 갖고 복잡하게 얽혀져 있는 것으로 보아 생태 지위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광도, 온도 및 $CO_2$의 농도가 야콘의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Intensity, Temperature and $CO_2$ Concentration on Photosynthesis in Yacon(Polymnia sonchifolia Poepp.& Endl.))

  • 이강수;최선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32-237
    • /
    • 2001
  • 본 연구는 야콘의 광합성 효율증진을 위한 기상환경 조건을 규명하여 재배적지의 선정과 재배관리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광도와 온도, 그리고 $CO_2$의 농도에 대한 광합성과 증산량을 조사하였다. 광 보상점은 ${58\;{\mu}mol\;m^{-2}\;s^{-1}}$이었고, 포화점은 ${1708\;{\mu}mol\;m^{-2}\;s^{-1}}$이었다, 증산량은 광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져 광도 ${2193\;{\mu}mol\;m^{-2}\;s^{-1}}$에서 약 4 mmol ${m^{-2}\;s^{-1}}$간에 이르렀다. 광합성의 최적온도는 ${24^{\circ}C}$였으며, 온도의 변화에 의하여 증산량이 4 mmol ${m^{-2}\;s^{-1}}$에서 8 mmol ${m^{-2}\;s^{-1}}$까지 증가하였을 때 광합성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산화탄소 보상점은 63 mol mol ${m^{-2}\;s^{-1}}$이었고, 포화점은 1155 vpm이었으며, 이산화탄소 농도가 350vpm에서 1300vpm까지 증가함에 따라 광포화점은 높아졌다.

  • PDF

피음처리를 실시한 3개 활엽수종의 광합성과 생장 특성 (Photosynthetic Responses and Growth Performances in the Three Deciduous Hardwood Species Under Different Shade Treatments)

  • 조민석;권기원;최정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4호
    • /
    • pp.462-469
    • /
    • 2007
  • 본 연구는 인위적인 피음처리 수준을 4단계(상대 투광율; 100%, 54~65%, 26~37%, 8~13%)로 조절한 생육환경 하에서 생장시킨 튜울립나무, 거제수나무, 까치박달나무를 대상으로 광합성과 생장 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튜울립나무와 거제수나무의 광합성률은 전광 처리구에서 13.59, $16.29{\mu}mol\;CO_2{\cdot}m^{-2}{\cdot}s^{-1}$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피음처리 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은 광합성 능력, 생장 및 물질생산량을 보였다. 까치박달나무는 보통피음 처리구(26~37%)에서 광합성률이 $9.47{\mu}mol\;CO_2{\cdot}m^{-2}{\cdot}s^{-1}$으로 가장 높았으며, 생장과 물질생산량도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