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9초

BaFBr:Eu2+ 형광체의 열발광 및 광자극발광 특성 (Thermoluminescence and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of BaFBr:BaFBr:Eu2+ Phosphor)

  • 도시홍;서효진;강갑중;김영국;김도성;김성환;김찬중;이병화;김완;강희동
    • 센서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01-308
    • /
    • 2002
  • BaFBr:$Eu^{2+}$ 형광체를 제조하고, 이 형광체의 열발광 특성과 광자극발광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형광체의 열발광 glow 피이크 온도는 35 K와 448 K였으며, 주 피이크(352 K)에 관여하는 트랩의 활성화에너지는 약 0.96 eV이었다. 또한 이 형광체의 광자극발광 스펙트럼의 파장범위는 $350{\sim}450\;nm$ 사이였으며, 광자극발광에 기여하는 트랩의 활성화에너지는 약 0.98 eV이었다. 열발광트랩과 광자극발광 트랩의 활성화에너지는 실험오차 내에서 일치하였다.

Trial to Identify Irradiated Corn Powder by Viscometric and Pulsed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PSL) Methods

  • Yi, Sang-Duk;Chang, Kyu-Seob;Yang, Jae-Seun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2-87
    • /
    • 2001
  • 본 연구는 점도 측정법과 광여기발광법을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된 옥수수분말의 검지를 시도하였으며, 이전의 연구에서 수행되지 않은 다양한 rpm에서의 검지 가능성과 저장기간에 따른 광여기발광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옥수수분말은 polyethylene bag으로 포장하였고, Co-60 감마선 조사시설을 이용하여 1, 2, 3, 5, 7, 10 및 15kGy로 조사하였다. 점도측정 시료는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하고 알카리화 한 후에 RV 3 spindle이 장착된 Brookfield DV-III rotation viscometer를 이용하여 3$0^{\circ}C$에서 30초 동안 30, 60, 90, 120, 150, 180 및 210 rpm 에서 점도를 측정하였다. 광여기발광 측정은 시료(5 g)의 전처리 없이 직접 광여기발광기에 넣은 후에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의 점도는 조사선량과 stirring speeds (rpm)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사선량과 점도간의 높은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방사선 조사된 옥수수 분말의 광여기발광은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1개월후에도 암실조건에서의 광여기발광은 조사직후의 시험구에 비하여 감소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점도 측정법과 광여기발광법은 방사선 조사된 옥수수분말의 조사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검지법으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Properties of Pulsed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and Thermoluminescence for Detection of Gamma-Irradiated Teas during Storage

  • Kausar, Tusneem;Kim, Byeong-Keun;Yang, Jae-Seung;Byun, Myung-Woo;Kwon, Joong-H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3호
    • /
    • pp.227-231
    • /
    • 2004
  • Green, black and oolong teas were irradiated by $^{60}$ Co-gamma rays (0~10 kGy) and were investigated for detection of irradiation treatment using pulsed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PSL) and thermoluminescence (TL) during storage. Teas irradiated at 2.5 kGy or more showed a photon count of greater than 5000 counts/60 sec while the non-irradiated yielded only 650~1000 count/60 sec.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irradiation dose and photon counts/60 sec were 0.8951, 0.7934 and 0.9007 for green, black and oolong teas, respectively. The TL glow curves for minerals isolated from the non-irradiated teas were situated at about 30$0^{\circ}C$ with a low intensity, but for irradiated samples were approximately 15$0^{\circ}C$ with a high intensity. The TL ratios (TL$_1$/TL$_2$), calculated from values after initial radiation and then after re-irradiation of the teas, were below 0.1 for the non-irradiated samples and higher than 1.44 for all irradiated samples, enhanced the reliability of the identification results for TL. The signal intensity of PPSL and TL for irradiated teas decreased with the lapse of post-irradiation storage time at room temperature but was still distinguishable from that of the non-irradiated samples even after one year.

감마선 조사된 무기질 함유 쿠키의 제조 방법 및 초음파 처리 시간에 따른 Luminescence 분석 특성 (Luminescence Analysis of Cookie Mixed with Gamma-irradiated Mineral Depending on Its Processing Methods and Sonication Time)

  • 김병근;김청태;이진원;이광현;김재경;송범석;김재훈;이주운;권중호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
    • /
    • 2013
  •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and thermoluminescence (TL) analyses were applied to identify the cookie molds mixed with 2 mg of 10 kGy-irradiated minerals according to cookie processing methods and sonication time (0~60 min) for mineral separation. PSL analysis showed that photon counts of cookies, dried or baked, ranged intermediate levels between the lower and upper threshold (700~5,000 counts/60 s), thereby showing its unsuitablility for screening of irradiated cookie. The TL glow curve intensities, measured according to mineral separation time (5, 10, 20, 40 and 60 mins) from the cookies using a sonicator, were high enough to identify irradiation statu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time in dried cookies. Those of baked cookies, however, were relatively low and not linearly increased with the time, but still possible to identify them (p<0.05).

물리적 방법(PSL, TL)을 이용한 선종별 조사처리 식품의 검지 특성 (Detection of irradiated food using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and thermoluminescence)

  • 정유경;이지연;강태선;조천호;이재황;최장덕;권기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399-404
    • /
    • 2016
  • 국내 조사처리 허용품목을 대상으로 다소비, 다빈도, 다수입 품목 12종(감자, 양파, 마늘, 건호박, 목이버섯, 검은콩, 청국장가루, 미역, 고춧가루, 라면수프, 옥수수차, 분말 녹차)을 선정하여 조사처리 선원에 따른 물리적 확인시험법(PSL 및 TL)을 적용하여 조사처리 여부를 확인하였다. PSL 적용 결과 모든 비조사 시료에서는 700 count/60초($T_1$) 이하의 값을 나타내어 음성 또는 비조사판정이 가능하였다. 감마선, 전자선과 X선을 처리한 시료에서는 879-2,414 (intermediate)와 19,951-65,919,035 (positive) 범위로 수치가 확인되었으며 조사 선원에 따른 수치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TL 적용 결과 비조사 시료에서는 $300^{\circ}C$ 이상에서 자연방사선에 의한 peak를 나타내는 비특이적인 글로우 곡선을 보였으며 3개의 선종별 TL 분석 결과에서는 $150-25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최대 peak를 나타내었다. 한편, 선종별 TL 강도 차이는 청국장 분말의 경우 감마선(${\gamma}$)>전자선(E)>X선(X), 고춧가루와 분말 녹차는 ${\gamma}$>X>E, 미역, 목이버섯, 마늘은 E>${\gamma}$>X, 양파, 감자, 검은콩는 E>X>${\gamma}$, 라면수프와 옥수수차는 X>E>${\gamma}$, 건호박은 X>${\gamma}$>E의 순서로 TL 강도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함께, TL ratio($TL_1/TL_2$) 값은 조사처리구에서 0.1143-2.9318 범위를 나타내어 국내 단일시료 조사판정 범위인 TL ratio 0.1 이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조사처리선원에 따른 조사여부 판정은 현행 물리적 확인시험법으로 가능하였으며 광물질의 함량과 조사처리 선량 등 식품 중 조사처리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SrCl2:Eu2+ 형광체의 광발광 및 광자극발광 특성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and Photoluminescence of SrCl2:Eu2+ Phosphors)

  • 도시홍;서효진;김영국;김도성;김성환;김찬중;이병화;김완;강희동
    • 센서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319-326
    • /
    • 2002
  • 고상반응법으로 $SrCl_2:Eu^{2+}$ 형광체를 제작하고, 제작한 형광체의 광자극발광과 광발광 특성을 조사하였다. $SrCl_2:Eu^{2+}$ 형광체의 광발광 및 광자극발광은 $Eu^{2+}$$5d{\rightarrow}4f$ 천이에 기인되었으며, 355 nm의 광으로 여기시켰을 때 광자극발광과 광발광 스펙트럼의 파장범위는 모두 $380{\sim}440\;nm$이었고, 피이크 파장은 407 nm이었다. $SrCl_2:Eu^{2+}$ 형광체의 선량의존성은 $2.5\;mGy{\sim}200\;mGy$ 영역에서 우수한 선형성을 나타내었으며, 상온에서 광자극발광의 fading은 20분에 60%이었다.

방사선 조사된 현미, 대두 및 참깨의 저장기간에 따른 방사선 조사여부의 이화학적 판별 특성 (Physicochemical Identification Characteristics of Irradiated Brown Rice, Soybean and Sesame Seeds during Storage)

  • 이정은;안재준;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7-46
    • /
    • 2012
  • 현미, 대두 및 참깨에 대하여 감마선 조사(1, 4, 7 kGy)에 따른 판별특성을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thermoluminescence (TL) 및 hydrocarbon 분석에 의해 확인하고, 저장기간에 따른 마커안정성을 관찰하였다. PSL 분석결과, 비조사구에서는 시료 모두 700 이하의 photon counts 값을 나타내었고, 조사된 대두 및 참깨는 5,000 PCs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설정된 negative (700) 및 positive (5,000) 기준에 맞게 비조사구와 조사구의 차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PSL 값은 감소하였으나, 대두는 6개월, 참깨는 12개월까지도 조사여부 스크리닝이 가능하였다. TL 분석결과, 0.5 kGy 이상으로 조사된 세 시료 모두 $150^{\circ}C$ 전후에서 TL glow curve ($TL_1$)을 나타내었고, 12개월 저장 후에도 발광강도만 감소하였을뿐 glow curve의 온도범위는 거의 변화가 없이 조사여부 확인이 가능하였다. 이상의 glow curve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TL ratio ($TL_1/TL_2$)를 축정한 결과, 비 조사구는 0.1 이하, 조사구는 0.1 이상을 내타내어 측정값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Hydrocarbon 분석에서는 oleic acid와 linoleic acid로부터 유도된 $C_{16:1}$, $C_{16:2}$,$C_{16:3}$, $C_{17:1}$, $C_{17:2}$ 생성이 확인되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사선량에 따라 생성된 hydrocarbon류는 0.5 kGy 이상 조사된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저장 1년 후에도 조사여부 판별이 가능하였다.

방사선 조사선원에 따른 밀과 옥수수의 물리적 검지 특성 (Physical Detection Properties of Irradiated Wheat and Corn Treated with Different Radiation Sources)

  • 김귀란;이주운;김정숙;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11-216
    • /
    • 2009
  • 곡류 중 수입이 활발한 밀과 옥수수에 대하여 국제적으로 이용이 허가된 감마선과 전자선 에너지를 총 흡수선량 $0{\sim}10\;kGy$를 조사한 다음 photostimulated luminescence(PSL), thermoluminescence(TL) 및 electron spin resonance(ESR)를 분석하여 조사여부 검지 특성을 확인하였다. PSL 분석 결과, 두 시료 모두 조사선원에 관계없이 비조사구에서는 $241{\sim}249$ photon count/sec 값으로 700(negative) 이하의 값을, 1 kGy 이상 조사구에서는 $5528{\sim}40870$ photon count/sec 값으로 5000(positive)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비조사구와 조사구의 스크리닝이 가능하였다. TL 분석에서는 두 시료 모두 조사선원에 무관하게 비조사구는 $300^{\circ}C$ 부근에서 매우 낮은 강도의 glow curve($TL_1$)를 나타낸 반면, 조사구에서는 $180^{\circ}C$ 부근에서 방사선 조사 유래의 glow curve($TL_1$)가 관찰되었다. 한편 $TL_1$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재조사에 의한 TL ratio($TL_1/TL_2$)를 산출한 결과, 비조사구에서는 0.03 이하를, 1 kGy 이상 조사구에서는 0.2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비조사구와 조사구의 threshold value 차이로써 곡류 시료의 방사선 조사여부 판별이 가능하였다. 밀과 옥수수 시료에 대한 ESR 분석 결과, 방사선 조사 유래의 특이한 signal은 확인되지 않았다. 밀과 옥수수의 조사여부 판별에서 동일 선량에서의 PSL 및 TL signal은 감마선에 비해 전자선에서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