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catalysts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4초

근적외선 업컨버전 나노입자를 이용한 광촉매 성능 향상 (Improvement of Photocatalytic Performance using Near-Infrared Upconversion Nanoparticles)

  • 박용일
    • 공업화학
    • /
    • 제32권2호
    • /
    • pp.125-131
    • /
    • 2021
  • 일반적인 반도체 기반의 광촉매는 물질 고유의 밴드갭 때문에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에 의해서만 활성화될 수 있고, 태양광 에너지의 약 50%를 차지하는 근적외선 영역의 에너지는 활용할 수 없다. 따라서 기존의 반도체 광촉매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외선에서 근적외선에 이르는 넓은 영역에서 더 많은 태양광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태양광의 근적외선 영역을 활용하기 위해 기존 반도체 광촉매를 업컨버전 나노입자와 결합하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업컨버전 나노입자는 근적외선 광자를 여러 개 흡수하여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으로 변환하여 광촉매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반도체 광촉매와 업컨버전 나노입자에 플라즈모닉 금속 나노입자를 함께 결합시키면 태양광에 의한 광촉매 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총설은 업컨버전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근적외선 영역의 태양광 에너지가 광촉매의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최근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서술하였다.

다양한 조건에서 제조된 $TiO_2$ 광촉매 특성 및 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H the Character and Activity of $TiO_2$ Photocatalysts Prepared With Various Condition)

  • 김승민;윤태관;홍대일;김성국;박상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32-938
    • /
    • 2005
  • [ $400^{\circ}C$ ]에서 소성한 $TiO_2$ 나노입자의 congo red 분해속도상수가 $0.0319\;min^{-1}$로써 최적의 광촉매 활성을 나타내었다. $TiO_2$ 광촉매의 congo red 분해 속도상수는 $400^{\circ}C$ 이하의 소성온도에서는 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400^{\circ}C$ 이상의 소성온도에서는 온도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TiO_2$ 광촉매는 사용빈도가 촉매 활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유사한 반응조건에서 $TiO_2$의 광촉매 활성은 $TiCl_4$로 합성한 촉매가 $Ti(OC_3H_7)_4$로 합성한 촉매와 비교 했을 때 8.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조건에서 $Ti(OC_3H_7)_4$로 합성한 $TiO_2$ 광촉매의 활성을 논의하였다.

가시광선하에서 CdS와 CdZnS/ZnO 광촉매를 이용한 로다민 B, 메틸 오렌지 및 메틸렌 블루의 광분해 반응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Rhodamine B, Methyl Orange and Methylene Blue with CdS and CdZnS/ZnO Catalysts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 전현웅;정민교;안병윤;홍민성;성상혁;이근대
    • 청정기술
    • /
    • 제26권4호
    • /
    • pp.311-32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단순 침전법으로 제조한 CdS 및 CdZnS/ZnO 광촉매를 이용하여 가시광선하에서 로다민 B, 메틸 오렌지 및 메틸렌 블루 등에 대한 광분해 반응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염료와 광촉매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전체 광촉매 반응의 반응 경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중점을 두고 검토하였다. X선 회절분석법, UV-vis 확산반사 분광법 그리고 X선 광전자 분광분석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촉매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CdS 및 CdZnS/ZnO 광촉매 모두 자외선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영역에 있어서도 우수한 광흡수 특성을 나타내었다. 메틸 오렌지의 경우에는 CdS 및 CdZnS/ZnO 각각의 광촉매 상에서 동일한 반응기구를 통해 반응이 진행되는 반면, 로다민 B 및 메틸렌 블루는 각각의 광촉매 상에서 서로 다른 반응 경로를 통해 광분해 반응이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메틸렌 블루의 광분해 반응을 보면, CdZnS/ZnO 광촉매 상에서는 주로 단일분자 형태로 전체 반응이 진행되지만, CdS 상에서는 반응 초기부터 이량체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CdS 및 CdZnS/ZnO 각각의 반도체 광촉매들의 전도대의 띠끝 전위 차이와 염료들의 흡착 특성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Characterization of Methylene Blue Decomposition on Fe-ACF/TiO2 Photocatalysts Under UV Irradiation with or Without H2O2

  • Zhang, Kan;Oh, Won-Chun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481-487
    • /
    • 2009
  • The photocatalysts of Fe-ACF/$TiO_2$ compositeswere prepared by the sol-gel method and characterized by BET, XRD, SEM, and EDX. It showed that the BET surface area was related to adsorption capacity for each composite. The SEM results showed that ferric compound and titanium dioxide were distributed on the surfaces of ACF. The XRD results showed that Fe-ACF/$TiO_2$ composite only contained an anatase structure with a Fe mediated compound. EDX results showed the presence of C, O, and Ti with Fe peaks in Fe-ACF/$TiO_2$ composites. From the photocataytic degradation effect, $TiO_2$ on activated carbon fiber surface modified with Fe (Fe-ACF/$TiO_2$) could work in the photo-Fenton process. It was revealed that the photo-Fenton reaction gives considerable photocatalytic ability for the decomposition of methylene blue (MB) compared to non-treated ACF/$TiO_2$, and the photo-Fenton reaction was improved by the addition of $H_2O_2$. It was proved that the decomposition of MB under UV (365 nm) irradiation in the presence of $H_2O_2$ predominantly accelerated the oxidation of $Fe^{2+}$ to $Fe^{3+}$ and produced a high concentration of OH radicals.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Methyl tert-Butyl Ether (MTBE): A review

  • Seddigi, Zaki S.;Ahmed, Saleh A.;Ansari, Shahid P.;Yarkandi, Naeema H.;Danish, Ekram;Oteef, Mohammed D.Y.;Cohelan, M.;Ahmed, Shakeel;Abulkibash, Abdallah M.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11-28
    • /
    • 2014
  •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using UV and catalysts like $TiO_2$ and ZnO have been recently applied for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MTBE in water.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place the UV radiation by the solar spectrum. This review intends to shed more light on the work that has been done so far in this area of research. The information provided will help in crystallizing the ideas required to shift the trend from UV photocatalysis to sunlight photocatalysis. The careful optimization of the reaction parameters and the type of the dopant employed are greatly responsible for any enhancement in the degradation process. The advantage of shifting from UV photocatalysts to visible light photocatalysts can be observed when catalysts like $TiO_2$ and ZnO are doped with suitable metal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n the near future, the visible light photocatalysis will be the main technique applied for the remediation of water contaminated with MT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