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cross-linking agen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Encapsulation of Nanomaterials within Intermediary Layer Cross-linked Micelles Using a Photo-Cross-linking Agent

  • Kim, Jin-Sook;Youk, Ji-H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7권11호
    • /
    • pp.926-930
    • /
    • 2009
  • A new method for encapsulating nanomaterials within intermediary layer cross-linked (ILCL) polymeric micelles using a bifunctional photo-cross-linking agent was developed. For ILCL polymeric micelles, an amphiphilic triblock copolymer of poly(ethylene glycol)-b-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b-poly(methyl methacrylate) (PEG-PHEMA-PMMA) was synthesized via consecutive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Di(4-hydroxyl benzophenone) dodecanedioate (BPD) was used as a bifunctional photo-cross-linking agent. The PMMA-tethered Au nanoparticles and BPD, or pyrene and BPD were encapsulated in the PEG-PHEMA-PMMA micelles, and their intermediary layers were photo-cross-linked by UV irradiation for 1 h. The HEMA units donated labile hydrogens to the excited-state benzophenone groups in BPD, and they were subsequently cross-linked by BPD through radical-radical combination. The spherical structures of the PEG-PHEMA-PMMA micelles containing the Au nanoparticles or pyrene were unaffected by the photo-cross-linking process.

아크릴계 공중합체에서 친수성가교제 특성에 따른 렌즈의 물리적 성질 변화 (Effects of the Content of Hydrophilic Crosslinking agents in Acrylate Copolymers on Physical Properties of Lens)

  • 김기상;심상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05-311
    • /
    • 2019
  • 높은 함수율을 갖는 소프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설계, 제조하였다. 공중합체용 모노머로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를 사용하였고 가교제로는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GDMA), glycerol dimethacrylate(GD) 혹은 glycerol 1,3-diglycerolate diacrylate(GDD)를 이용하여 렌즈를 제조하였다. 함수율 측정결과, 고함수율 렌즈는 기존의 36%에서 46%로 높게 나타났으며 접촉각도 38.6 에서 34.4 로 낮아져 표면 친수성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인장강도는 가교제의 친수성이 증가함에 따라 0.1MPa 에서 0.08 그리고 0.05 로 감소하였고 전자현미경으로 렌즈의 단면을 확인한 결과 상분리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광중합은 Real-time infrared(RTIR)로 측정하였는데 초기 중합 속도가 가교제에 따라 0.6 에서 0.9 로 나타났다.

음이온교환막 연료전지 응용을 위한 UV 중합법을 이용한 세공 충진 음이온교환막 개발 (Development of Pore Filled Anion Exchange Membrane Using UV Polymerization Method for Ani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Application)

  • 곽가진;김도형;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33권2호
    • /
    • pp.77-8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낮은 막 저항과 높은 수산화 이온 전도성을 가지는 세공 충진 이온교환막 제조법으로 연구하였다. 알칼리 내구성을 향상하기 위해 폴리 테트라 플로오 에틸렌 소재인 다공성 지지체를 사용하였고 세공에는 단량체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DMAEMA), vinylbenzyl chloride (VBC)를 이용하여 copolymer를 제조했다. 가교제는 divinylbenzene (DVB)를 사용하였고 가교제 함량별로 이온교환막을 제조하여 DMAEMA-DVB와 VBC-DMAEMA-DVB copolymer에서 가교제 함량이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PTFE 소재 지지체를 이용하여 화학적 안정성이 향상했고 저압 UV 램프를 사용하여 낮은 온도에서 빠른 광중합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음이온교환 막 연료전지에 요구되는 이온교환막의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인장강도와 내알칼리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가교도가 증가할수록 인장강도 대략 40 MPa가 증가하였고, 최종적으로 이온전도도와 내알칼리성 테스트를 통해 가교제 함량이 증가할수록 알칼리 안정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스핀코팅 하드마스크용 유-무기 하이브리드 소재에 관한 연구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for Spin Coating Hardmask)

  • 유제정;황석호;김상범
    • 공업화학
    • /
    • 제22권2호
    • /
    • pp.230-234
    • /
    • 2011
  • 반도체산업은 고집적화된 회로를 요구하면서 미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계속해서 발전해가고 있다. 이에 반도체 산업에서 미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드마스크를 도입하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드마스크는 화학증기증착법(CVD) 공정을 이용하여 다층구조로 제작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핀공정이 가능하고 단층의 하드마스크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유-무기 하이브리드 중합체를 이용하여 그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Silanol로 처리된 siloxane 화합물과 acetonide 그룹을 가지는 propionic acid를 에스터화 반응을 통하여 얻은 유-무기 하이브리드 중합체에 가교제 및 첨가제들의 첨가로 광학적, 열적, 그리고 표면 특성이 조절된 하드마스크 막을 제조하였다. 또한 하드마스크 막과 감광층의 식각비를 비교하여 유-무기 소재의 하이브리드 중합체에 대해 미세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는 하드마스크 막으로써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