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sphatase activity

검색결과 1,316건 처리시간 0.032초

Phosphatase 의 활성이 E. coli P90C의 $\beta$-galactosidase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osphatase Activity on Product of $\beta$-galactosidase by E. coli P90C)

  • 최동원;심창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5
    • /
    • 1995
  • ATPase was the most available phosphatase in culture broth of 5. coli P90C. To measure the stable phosphatase activity it was necessary to react nth reaction reagent over 30 min and then we can get stable optical density at 410 m. Transfer time from preculture to main culture for the production of $\beta$-glactosidase was good after 3 hrs cultivation. Phosphatase activity was highest at log phase in main culture and as the cell begins to make $\beta$-galactosidase phosphatase activity begins to decrease.

  • PDF

지속적 및 간혈적 가압력이 MC3T3-E1 세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tinuous and intermittent compressive pressure o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MC3T3-E1 cells)

  • 송혜섭;경희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9-454
    • /
    • 1996
  • 교정력에 의한 치아이동은 세포반응의 결과로 나타난다. 이에 힘의 양상에 따른 세포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MC3T3-E1 세포를 24well 배양접시에 배양한 후 밀생상태가 되었을 때, incubator 속의 특수 제작된 사각상자에 배양 접시를 넣고 타이머에 연결된 Diaphram pump를 이용하여 $300gm/cm^2$의 압력을 10분간 가압후 10분간 가압이 중지되도록 한 간헐적 가압군과 지속적으로 가한 가압군으로 하여 각각 실험 24시간, 48시간, 72시간후의 alkaline phosphatase활성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압 24시간 후에서는 각 군간에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가압 48시간 후에서는 간헐적 가압군과 지속적 가압군 모두 대조군 보다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가 증가 되었다. 3. 가압 72시간 후에서는 간헐적 가압군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 증가가 대조군에 비하여 더욱 현저하였으나 지속적 가압군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가압 72시간 후에서는 간헐적인 가압군이 지속적인 가압군에 비하여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도가 증가되었다. 5. 가암에 의한 세포의 뚜렷한 형태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호르텐스극구흡충에서 Alkaline Phosphatase 및 Acid Phosphatase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lkaline and Acid Phosphatase in Echinostoma hortense)

  • 양용석;김인식;임지애;강성구;박주연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9-129
    • /
    • 1999
  • 호르텐스극구흡충 성충 (adult worm)을 재료로 하여 acid phosphatase (Acp)와 alkaline phosphatase (Alp)의 조직 세포에 대한 분포 및 동위효소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Gomori lead nitrate 및 Gomori calcium방법 그리고 전기영동법 등을 시행하였다. 조직 내의 Acp및 Alp의 분포는 충체의 소장 (intestine)과 난황선 (vitellaria)그리고 인두 (pharynx)에서 강한 반응을 나타냈다. 동위효소 유형은 Acp에서 179.5 및 209.4 kDa 두 개의 분획이 분리되었고, Alp는 145.9, 207.5 및 220.8 kDa의 세 개의 분획이 분리되었다. 열에 대한 안정도는 Alp가 9$0^{\circ}C$에서 12초경과 후에 완전히 불활성화 되었으며, Alp의 최적 온도 및 pH는 4$0^{\circ}C$와 pH 9이었고 Acp의 치적 pH는 5였다. 그리고 Acp및 Alp의 최대 활성도 (unit)는 Acp가 71 범위였고, Alp는 189의 범위에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호르텐스극구흡충은 phosphatase가 소화관과 난황선에서 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숙주 체내에서 소화관을 중심으로 대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인간유래의 dual-specificity protein phosphatase, DUSP28의 활성분석 (Characterization of a Dual-Specificity Protein Phosphatase, Human DUSP28)

  • 정대균;김송이;윤정훈;김재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1-35
    • /
    • 2011
  • Dual-specificity protein phosphatase (DUSP)들은 인산화된 티로신 잔기와 인산화된 세린 또는 트레오닌 잔기를 탈인산화시키는 단백질 탈인산화효소 군을 이루고 있으며, 대부분의 DUSP들은 세포의 생존이나 분화에 관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인간 유래의 dual-specificity protein phosphatase인 DUSP28을 인간신장 cDNA에서 분리하였다. 대장균에서 생산된 재조합단백질은 6,8-difluoro-4-methylumbelliferyl phosphate (DiFMUP)에 대하여 좋은 활성을 보였다. 다양한 저해제와 2가 금속이온들이 DUSP28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다른 DUSP들에서와는 다르게, $Zn^{2+}$은 DUSP28의 탈인산화활성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DUSP28이 Zn과 연관된 신호전달경로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더욱이, DUSP28은 인산화된 티로신잔기를 더욱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세포 내에서도 비슷한 작용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홍모기(Culex pipiens pallens)의 난성숙 과정 중 alkaline phosphase의 활성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from the Mosquito, Culex pipiens pallens)

  • 이영수;이승훈;박영민;성기창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25-432
    • /
    • 1993
  • Culex pipiens pallens에 존재하는 Alkaline phosphatase의 연구를 위한 적정 분석조건과 우화 후, 시간 경과에 따른 Alkaline phosphatase 활성 경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C. pipiens에 존재하는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은 우화 직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흡혈 자극에 의해서 급격하게 증가한다. 흡혈 후 30시간이 경과했을 때, 최대의 활성도를 보이고 감소하나, 흡혈 48시간 이후에는 다시 증가하여 지속적으로 유지됨을 알 수 있다. 기관별 분석에서 첫번째 활성 증가는 중장에서 일어나고, 두번째 활성 증가는 난소에서 일어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흡혈 후 30시간된 성체에서는 5개의 동위효소 밴드가 보이는데, 난소에서 ALP-1와 ALP-2가 나타나고, 가슴에서는 ALP-3, ALP-4와 ALP-5가 보인다. 지방체에서는 ALP-4와 ALP-5가, 중장에서는 ALP-3, ALP-4와 ALP-5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흡혈 후 72시간된 성체에서, ALP-1, ALP-2가 동일하게 존재함을 알 수 있다.

  • PDF

EFFECT OF AGE ON THE LEVEL OF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JAPANESE BLACK STEERS

  • Sekine, J.;Udagawa, K.;Morita, Z.;Oura, 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권2호
    • /
    • pp.99-102
    • /
    • 1989
  • The level of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as determined in 7 Japanese Black steers at different ages. The isoenzyme activity of non-bone origin was estimated using a heat-inactivation technique. The activity of serum alkaline phosphatase (SALP, K-A unit) decreased as age (AGE, mo.) increased: SALP = 14.15 - 0.17 (${\pm}\;0.03$) AGE, r = -0.81, P<0.01, $S.E.\;{\pm}\;0.28$. The variation of the activity was greater in younger age than the older. The temperature of $58^{\circ}C$ for the treatment of heat inactivation of bovine serum appeared to be suitable. The percentage of heat inactivated enzyme activity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positively with the level of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The activity of SALP of non-bone origin was inferred to stay at about constant level irrespective of age and that of bone origin decreased with age.

인삼 사포닌이 개 심실 형질막의 $K^+$-의존성 포스파타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Saponins on $K^+-Dependent$ Phosphatase Activity of Dog Cardiac Sarcolemma)

  • 이신웅;이정수
    • 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9-136
    • /
    • 1992
  • The effects of ginseng saponins, gypsophila saponin, sodium dodecyl sulfate(SDS), and Triton X-100 on membrane $K^+-dependent$ phosphatase activity which is lipid dependent and represents dephosphorylation step of the complete Na+, $K^+-ATPase$ reaction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o elucidate whether the effects of ginseng saponins are due to the detergent action, using sarcolemma enriched preparation isolated from dog ventricle. $Na^+$, $K^+-ATPase$ and $K^+-dependent$ phosphatase activities of cardiac sarcolemma were about $143\;{\mu}mol$ Pi/mg protein/hr and $34\;{\mu}mol$ p-nitrophenol/mg protein/hr, respectively. While ginseng saponins (triol>total>diol) inhibited $K^+-dependent$ phosphatase activity, gypsophila saponin, and low dose of SDS($0.4\;{\mu}g/{\mu}g$ protein), and Triton X-100 ($0.6\;{\mu}g/{\mu}g$ protein) increased the enzyme activity, indicating disruptive effect of detergents on membrane barriers. The activating effect of low doses of Triton X-100 on membrane $K^+-dependent$ phosphatase appeared at concentration decreasing light scattering. However, the inhibitory effect of ginseng saponin appeared before a decrease in light scatter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w concentrations of ginseng saponins inhibit the membrane $K^+-dependent$ phosphatase by interacting directly with enzyme before membrane disruption.

  • PDF

發情週期에 EK른 생쥐子宮의 Phosphatase 活性의 變化에 관하여 (Changes in Phosphatase Activity of the Mouse Uterus during the Estrous Cycle)

  • Kim, Moon-Kyoo;Kim, Sung-Rye;Cho, Wan-Kyo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1-68
    • /
    • 1980
  • 발정주기에 EK라서 생쥐자궁의 alkaline phosphatase와 transport ATPases의 활성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발정주기의 각 시기에 있어서 이 효소활성들의 비율은 대체로 그 양상이 서로 비슷하나, 발정기의 $K^+$-dependent와 $Na^+, K^+$-activated ATPases를 제외한 다른 효소들의 활성은 다른 어떤 시기보다도 유의하게 (p<0.025) 높았다. 즉, $K^+$-dependent와 $Na^+, K^+$-activated ATPases의 활성은 발정간기에서 발정기에 이르는 동안 무시할 정도이고, 다만 발정후기에 약간의 활성(0.04$\\sim$0.05 $\\mu$M/mg protein/hr), 총활성의 6$\\sim$7%)이 나타났다. 한편, 발정기에서 $Mg^++$-dependent phosphatase, transport ATPase와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들은 급속히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각각 0.69(35%), 0.42(21%), 1.58(79%)였다. Alkaline phosphatase는 전 발정주기를 통해 0.60$\\sim$1.58(79$\\sim$90%)의 활성을 보여 그 주종을 이루었다.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중에는 $Mg^++$-dependent의 것이 총활성의 12$\\sim$16%로 추정되었다. 그러므로 $K^+$-dependent와 $Na^+$-activated ATPases는 발정기 때에 자궁액의 누적을 조절하는 요인이 아니고 발정후기에는 자궁상피 속으로 내액을 재흡수하는 요인인 것으로 짐작되며, EH한 $Mg^++$-dependent phosphatase, transport ATPase 그리고 alkaline phosphatase는 생쥐의 자궁 상피세포에서부터 내액을 분지하는 데에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사려된다.

  • PDF

한우(韓牛)의 혈청(血淸)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活性度)에 관(關)하여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Korean Cattle)

  • 용만중;남치주;정창국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1-143
    • /
    • 1971
  • The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as determined with 64 Korean cattles in different sexe and age groups, using p-nitrophenylphosphate as the substrat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ean value of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Korean cattle was $1.78{\pm}0.21$ Bessey-Lowry units/ml, and $1.71{\pm}0.21$ units/ml. in female and $1.86{\pm}0.21$ units/ml. in male, respectively. 2. The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decreased with age from 4 years group. 3.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recognized among the sexes, but difference among the age groups was found to be highly significant.

  • PDF

2009년 추계와 동계 가막만 북부해역에서 alkaline phosphatase 활성과 phosphatase 가수 분해성 인의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Phosphatase Hydrolyzable Phosphorus in Northern Gamak Bay in Autumn and Winter, 2009)

  • 권형규;오석진;양한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40-546
    • /
    • 2010
  • We investigated variations in alkaline phosphatase (APase) activity and alkaline phosphatase hydrolyzable phosphorus (APHP) in northern Gamak Bay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09.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and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 decreased gradually, and the DIN/DIP ratio was higher than the Redfield ratio (16) based on molecular concentrations during most of the observation period. The total APase (T-APase) activity increased with decreasing DIP concentration; i.e., the Relationship between T-APase and DIP showed a high negative correlation (r=-0.80, P<0.001), with APase activity being a good indicator of DIP limiting the Redfield ratio. The T-APa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r=0.73, P<0.001). This suggests that a major portion of APase activity in northen Gamak Bay seawater is attributed to phytoplankton. The proportion of APHP among dissolved organic phosphorus (DOP) was low in September and high in November. Thus, APase-producing phytoplankton may be able to grow by utilizing APHP as a phosphorus source in autumn when DIP is limiting. Thus, APase activity and the use of DOP by phytoplankt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of phytoplankton under DIP limiting conditions such as those of northern Gamak 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