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ylacetic acid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5초

작약의 약 및 소포자 배양에서 Phenylacetic Acid [PAA]가 배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enylacetic Acid (PAA) on Embryo Formation in Anther and Microspore Culture of Paeonia lactiflora)

  • 권용삼;신영애;손재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3호
    • /
    • pp.193-198
    • /
    • 2002
  • 작약의 약 및 소포자 배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지 내에 첨가되는 PAA의 농도별 배형성 정도와 배의 형태적 변이 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과 같다. 작약의 약배양에서 배지 내에 첨가되는 PAA의 농도에 따라 소포자 유래의 배형성률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2 mg/L의 PAA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형성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AA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배형성를은 낮아진 반면 캘러스 형성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소포자에서 유래된 배의 형태는 PAA의 농도에 따라 큰 변이를 나타내었는데 2개의 자엽을 가진 정상배의 출현빈도는 2 mg/L의 PAA가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AA의 농도가 그 이상으로 증가하면 오히려 비정상배의 출현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작약의 소포자 배양에서도 2 mg/L의 PAA 첨가 배지에서 10일간 전배양된 약을 PAA (2 mg/L)를 함유한 MS액체 배지에 배양했을 때 누출된 소포자 (shed microspore)의 수도 많았고 분열률도 높았으며, 이들 소포자로부터 형성된 배의 수도 가장 많았다.

Brukholderia sp. MP-1 에서의 페놀화합물의 분리와 항균활성의 측정 (Isolation and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Low Molecular Phenolic Compounds from Burkholderia sp. MP-1)

  • 마오 쏘피에;김영덕;이승제;김용웅;김인선;심재한;박노동;김길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95-203
    • /
    • 2006
  • 길항미생물 MP-1은 여러 종의 곰팡이와 효모 및 음식물을 부패시키는 세균 (그람양성 및 음성) 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였다. MP-1의 16S rRNA gene 염기서열은 기존에 밝혀진 Brukholderia sp.의 염기서열과 99-100% 유사하였다. 배양액으로부터의 항균물질은 에틸아세테이트 (EtOAc)를 사용하여 분리하였으며 EtOAc에 용해된 산성 분획은 silica gel, Sephadex LH-20, ODS 컬럼크로마토 그래피 및 HPLC를 사용하여서 정제를 실시 하였다. 최종적으로 Gas chromatographic-mass 스펙트럼을 통한 분석을 통하여 4 종의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phenylacetic acid, hydrocinnamic acid, 4-hydroxyphenylacetic acid 및 4-hydroxyphenylacetate methyl ester로 확인 되었다. 각각의 항균 활성물질들의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C)는 $250{\sim}2500ug\;ml^{-1}$ 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 mm paper disc 에서의 1mg (건물중) 산성 분획의 항균활성은 같은 비율로 혼합한 표준혼합용액 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 Green Fluorescent Protein-based Whole-Cell Bioreporter for the Detection of Phenylacetic Acid

  • Kim, Ju-Hyun;Jeon, Che-Ok;Park, Woo-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0호
    • /
    • pp.1727-1732
    • /
    • 2007
  • Phenylacetic acid (PAA) is produced by many bacteria as an antifungal agent and also appears to be an environmentally toxic chemical.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detect PAA using Pseudomonas putida harboring a reporter plasmid that has a PAA-inducible promoter fused to a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gene. Pseudomonas putida KT2440 was used to construct a green fluorescent protein-based reporter fusion using the paaA promoter region to detect the presence of PAA. The reporter strain exhibited a high level of gfp expression in minimal medium containing PAA; however, the level of GFP expression diminished when glucose was added to the medium, whereas other carbon sources, such as succinate and pyruvate, showed no catabolic repression. Interestingly, overexpression of a paaF gene encoding PAA-CoA ligase minimized catabolic repression. The reporter strain could also successfully detect PAA produced by other PAA-producing bacteria. This GFP-based bioreporter provides a useful tool for detecting bacteria producing PAA.

Penicillin G Amidase생산을 위한 재조합 대장균의 유가배양에 관한 연구 (Fed-batch Culture of Recombinant E.coli for the Production of Penicillin G Amidase)

  • 이상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4-319
    • /
    • 2008
  • Penicillin G amidase(PGA, benzylpenicillinamidohydrolase, EC 3.5.1.11)는 penicillin G를 phenylacetic acid(PAA)와 6-aminopenicillanic acid(6-APA)로 분해하는 효소이다. Escherichia coli(E. coli) ATCC 11105의 PGA는 24 kDa의 small subunit과 65 kDa의 large subunit으로 구성되어 있고, precursor polypeptide에서 signal peptide와 spacer peptide가 절단되어 활성을 가진 heterodimer가 형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E. coli ATCC 11105에서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증폭한 pga gene을 expression vector에 넣어 pET-pga plasmid를 제작하였고, 이것을 E. coli BL21 (DE3) 균주에 형질 전환하여 PGA를 발현하고 그 활성을 분석하였다. E. coli BL21(DE3)/pET-pga 균주의 고밀도 배양액을 SDS-PAGE로 분석 했을 때, PGA의 precursor, large subunit, 그리고 small subunit으로 보이는 protein band가 나타났으며, PGA가 soluble form의 precursor로 발현되어 processing을 거쳐서 large subunit과 small subunit으로 절단되기도 하고, 일부는 insoluble form의 precursor로 발현되기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가배양시 온도변화 전략을 사용하여 고농도 배양에서 발현을 유도하였다. 온도변화 전략은 $37^{\circ}C$에서 $28^{\circ}C$를 거쳐 $22^{\circ}C$로 3단계로 변화시켰다. 이러한 전략으로 PGA활성은 19.6 U/mL이며 균체량은 600 nm에서 흡광도가 62까지 도달하였다.

Lysobacter enzymogenes LE429와 Neem oil을 이용한 고추 병해의 생물학적 방제 (Biocontrol of pepper diseases by Lysobacter enzymogenes LE429 and Neem Oil)

  • ;조민영;이용성;박윤석;박노동;남이;김길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90-497
    • /
    • 2010
  • 근권토양으로부터 고추역병균을 포함한 다양한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한 세균을 분리하였다. 이 세균은 16S rRNA gene서열 분석 결과 Lysobacter enzymogens로 동정되었고 LE429로 명명 하였다. LE429는 chitinase, ${\beta}-1$, 3-glucanase, protease, gelatinase, lipase 및 항생물질과 같은 다양한 이차대사산물을 분비하였다. 항생물질은 diaon HP-20 및 sephadex LH-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및 HPLC로 정제하여, GC-EI 및 GC-CI분석을 통하여 phenylacetic acid로 동정되었다. Field 실험에서 LE429의 고추 병해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LE429배양액(CB), Neem oil 용액 (NO), LE429배양액과 Neem oil 용액을 섞은 혼합액(CB+NO), 그리고 대조구로서 물(CON)을 각각 고추에 처리하였다. 고추의 수량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CB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CB+NO, CON 그리고 NO 순서로 나타났다. CB 처리구에서 병원성 곰팡이는 강하게 억제 되었지만, 몇몇 해충이 발견되었다. NO 처리구에서는 해충은 발견 되지 않았지만, 병원성 곰팡이가 발견 되었다. 하지만, CB+NO 처리구에서 병원성 곰팡이 및 해충이 전혀 발견 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2차 대 사산물을 생산하는 LE429와 Neem oil의 혼합액은 고추에 발생하는 병원성 곰팡이와 해충에 대한 좋은 생물학적 방제제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Styrene Oxide에서 2-Phenylethanol(PEA)를 생성하는 Pseudomonas putida Strain 2150-2의 분리 및 동정

  • 양인영;황순옥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5-159
    • /
    • 1996
  • The strain which produces 2-phenylethanol (PEA) from styrene oxide was isolated from soil samples near Ulsan PO/SM plant. The isolated strain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putida through its morphological,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NA G+C contents. Its metabolic pathway from styrene oxide to 2-phenylethanol was studied and it was found that styrene oxide was transformed to phenylacetaldehyde, to 2phenylethanol (PEA), and then to phenylacetic acid by this strain.

  • PDF

페닐글리신의 광화학적 합성 (Photochemical Synthesis of Phenylglycine)

  • 심상철;이정학
    • 대한화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9-235
    • /
    • 1976
  • 페닐아세트산을 이황화탄소와 사염화탄소 용매에서 광염소화시켜 $43{\%}$ 수득률로 ${\alpha}$-클로로페닐아세트산을 얻었다. 여기에 암모니아를 가하여 가열해 주었더니 $16\sim27{\%}$수득률로 페닐글리신이 합성되었다. 또한 글리신유도체에 광페닐화 반응을 아세톤, 벤조페논 증감제와 benzoylperoxide를 써서 시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