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ol toxicity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2초

목초액의 안정성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 (Evaluation of Stability in the Purified Wood Vinegar and Its Hair Growth Effect)

  • 조영호;이주연;이종화;조재수;이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389-1395
    • /
    • 2009
  • 천연물 신약으로 응용 가능성이 있는 목초액을 산화응집반응과 활성탄 등을 첨가하여 증류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장기보존과 가속 저장 조건에서 목초액의 이화학적 변화(pH, 비중, 굴절률 및 용해 타르), 유해물질(카르보닐기, 벤조피렌 및 잔류용매) 그리고 유기산(개미산, 초산 및 프로피온산)의 변화를 검토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발모 모델로서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여 모발 성장 효과를 살펴보았다. 보관 기간 중에 어떤 화학 결합이 일어나거나 또는 분해반응이 반복적으로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유해성분이나 주성분이 일정하게 유지되었고 특히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은 검출되지 않았다. 정제된 목초액 또는 미녹시딜을 2주 동안 등에 도포한 후, 어떤 임상 증상 없이 음성 대조군인 생리식염수보다 모발 성장을 촉진하였다. 따라서 화장품이나 천연물 신약으로 응용가능성이 높은 목초액을 함유한 제품 개발 시 일정한 양으로 유지되는 주성분을 함유하면서 페놀과 같은 유해물질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있어 탈모환자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함유 음료의 in vitro 항산화 관련 생리활성효능 및 안전성 검증 (Antioxidant Activity and Safety Evaluation of Juice Containing Protaetia brevitarsis)

  • 박재희;김소윤;강민구;윤민수;이양일;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1-4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흰점박이꽃무지 함유 음료의 총폴리페놀함량과 항산화활성(DPPH 라디칼 소거능, TRAP, ORAC assay, comet assay) 및 사용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ICR mouse를 사용하여 흰점박이꽃무지 무첨가군과 첨가군 단회 투여(2 g/kg) 시 나타나는 치사율, 체중, 생리적 증상, 장기무게, 생화학적 분석(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spartate transaminase, alanine transaminase)을 통해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를 함유한 호박, 알로에, 돼지감자음료 1 pack의 총 페놀함량은 66.35~100.98 mg/pack, DPPH 라디칼 소거능은 67.1~90.0%/1 pack, TRAP 값은 $1.46\sim1.54{\mu}M$/trolox equivalent(TE)를 보였으며, 모든 음료의 ORAC 값은 1500보다 높았다. 모든 음료는 인체 임파구에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H_2O_2$에 대한 DNA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는 유의적이었다. 흰점박이꽃무지 첨가/무첨가 음료의 ICR mouse 암수 각각에 경구투여(2 g/kg) 후 14일까지 치사된 실험동물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체중, 생리적, 병리적 및 생화학적 분석에서 대조군과 비교 시 그룹들 간의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2 g/kg의 흰점박이꽃무지 첨가/무첨가 음료를 ICR mouse에 단일 경구투여시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흰점박이꽃무지 함유 음료의 항산화활성과 안전성은 산업적측면에서 약용 및 식용 자원으로 적극적인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lpiniae Oxyphyllae Fructus Hot Aqueous Extract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Macrophages

  • Jo, Na Young;Lee, Pyeong Jae;Roh, Jeong Du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83-91
    • /
    • 2017
  • Objectives : Alpiniae oxyphyllae Fructus (AOF) is an herbal medicine, which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fatigue, chills, and poor physical condi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OF hot aqueous extract. Methods : The cytotoxicity of AOF extract was evaluated using the MTT assay. Nitric oxide (NO) production was measured by the Griess reaction. Prostaglandin $E_2$ ($PGE_2$) production was measured by a commercial competitive enzyme immunoassay. Cytokine production (IL-1tion co6, and TNF- F- was measured by ELISA. The anti-oxidative effect of AOF extracts was measured by the DPPH method.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measured by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and aluminum chloride, respectively. Results : AOF hot aqueous extract did not show toxicity at doses of 25, 50, 100, and $200{\mu}g/mL$. AOF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NO production at doses of 100 and $200{\mu}g/mL.PGE_2$ production was inhibited by AOF extract treatment at doses of 100 and $200{\mu}g/mL$. AOF extracts reduced IL-6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L-1ent maTNF- F- 1ent mannerd IL-6 production in uction at doses of 100 and ${\mu}g/mL$.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capability was above 50% at $200{\mu}g/mL$.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AOF hot aqueous extract may exert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for validating the safety and efficacy of AOF.

Pasteurella multocida type A의 lipopolysaccharide-protein 복합체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 lipopolysaccharide-protein complex of type A Pasteurella multocida)

  • 류효익;김철중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3-71
    • /
    • 2000
  • An immunogenic, high molecular weight lipopolysaccharide (LPS)-protein complex isolated from a potassium thioncyanate extract of a Pasteurella multocida (P multocida ; strain P-2383, capsular type A and somatic type 3) was characterized. Chemical analysis of the complex by gas chromatography on a capillary column demonstrated that this complex contained most of the chemical constituents characteristic of LPS extracted by the phenol-water methed from the whole bacterium. However, there was proportionately more carbohydrate than fatty acid in the complex in contrast to LPS in which fatty acid seemed to be in excess. When toxicity of the complex was evaluated in 10-day-old chicken embryos, the complex was less toxic ($LD_{50}=12.72{\mu}g$) than the purified LPS ($LD_{50}=0.44{\mu}g$). The $LD_{50}$, of the LPS moiety extracted from the complex was $5.24{\mu}g$. Composition of the complex was analyzed by SDS-PAGE with silver staining and Western immunoblotting. The complex did not migrate through the polyacrylamide gel unless dissociated with SDS. The complex dissociated with SDS contained at least 32 different protein and polysaccharide components: 18 components reacted with an antiserum against the complex. There was no significant compositional variation between the complexes from different strains, but quantitative differences in individual components were noted. When cross-protectivity of the complex was evaluated in mice, this complex provided substantial protection not only against the homologous bacteriun but also against different P multocida strains of the same serotype. LPS-protein complexes isolated by the same method from other strains also induced protection against an challenge with P-2383.

  • PDF

동석물질에 대한 Photobacterium phosphoreum의 bioluminescence 특성 (The Character of Bioluminescence of Photobacterium phosphoreum with Toxic Substances)

  • 이홍주;이은수;박철진;이정건;전억한
    • KSBB Journal
    • /
    • 제13권6호
    • /
    • pp.693-699
    • /
    • 1998
  • 고정화한 P. phosphoreum의 biolummescence악 독생물질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수계의 독성물질 momtonng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P. phosphoreum을 이용한 수계의 독성물질 momtonng을 위한 적정 세포 농도는 최대 biolummescence intensnty를 보인 $O.D_{660}$ 1.0~1.2였으며 이 농도외 세포를 2.5% NaCl 용액에 희석하여 5.0%의 alginateo에 고정화 했을 때 biolummescence 유지도까 가장 좋았다. 이러한 방법으로 monitoring이 가능한 수계의 pH는 6.0~8.0이었다. Free cell과 고정화 세포로 $CdCl_2.H_20, PbCl_2, phenol $그리고 mtrophenol에 대한 bioluminescence를 조사하였을 때 고정화 방법에 의해 독성물질에 대한 민감성0] 증가되었다. 고정화 세포외 경우 각 독성 물질에 따라 20분 이내에 0.01~1.50ppm이하까지 mornitoring이 가능하였다. 뿐만 아니라 speciflC blolurninescence reclucLion rate, biolummescence mtenslLy의 ratio 그리고 Gamma value로 분석함으로서 독성물질의 농도와 biolummescence의 변화를 직선의 관계로 나타낼 수 있어 독성 물질의 농도 예측이 가능하다.

  • PDF

35종의 특정 화학성분들의 in vitro 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in vitro biological activity of selected 35 chemicals)

  • 신한재;손형옥;박철훈;이형석;민영근;현학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0-40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of various smoke constituents to the toxicological activity of total particulate matter(TPM) or the gas/vapor phase(GVP). These components included phenol compounds, aromatic amine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heterocyclic amines, and carbonyl compounds. The mutagenic and cytotoxic potencies were assessed using the Salmonella mutagenicity assay with S. typimurium TA98 strain and the neutral red uptake cytotoxicity assay(NRU) with BALB/c 3T3 fibroblast cells, respectively.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showed that heterocyclic amine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toxicity compared to other smoke constituents. Among them, 2-amino-3,4-dimethylimidazo[4,5-f]quinoline(MeIQ) was shown the most mutagenic compound with a specific mutagenicity of $7.9{\times}10^5\;revertants/{\mu}g$. An analysis of the possible contribution revealed that MeIQ account for only 0.85% of the 2R4F-TPM mutagenicity in TA98. NRU data demonstrated that high cytotoxic activity was obtained for hydroquinone, formaldehyde, and acrolei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the contribution of acrolein to the cytotoxicity of the GVP fraction was calculated as 61%. Thus, a large proportion of the cytotoxic activity of this complex mixture, cigarette smoke gas phase, can be attributed to the acrolein.

흰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추출물의 항노화 및 항산화 활성 (Antiaging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ypsizygus marmoreus extracts)

  • 권혜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081-1087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자생 흰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을 시료로 선정하여 80% EtOH 추출 및 EtOAc, BuOH, D.W. 분획믈로 항노화 및 항산화 분석을 통해 복합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동물세포주인 HaCaT cell을 이용하여 시료의 세포 독성을 분석한 결과 시료의 독성은 세포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료농도 10%에서 30.41%의 elastase 저해율을 보였고 collagenase 저해활성은 시료농도 1%에서 11.65%의 저해율을 보여 유사 버섯류보다 우수한 항노화 활성을 보였다. 분획물의 총 페놀 함량은 778.4 mg, 흰만가닥버섯 1 g당 2.59 mg으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흰만가닥버섯 추출물은 항노화 및 항산화 기능의 천연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Cinnamomum loureiroi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The Activity of Anti-oxidation of Cinnamomum loureiroi Extract)

  • 이해진;임현지;임미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583-1590
    • /
    • 2020
  • 본 연구는 Cinnamomum loureiroi 추출물(CLE)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전에 세포독성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수행에서 사용할 농도의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ABTS 라디칼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LPS에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ROS의 생성 감소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397.7±8.3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1.9±0.8 mg/g으로 BHA 검량선 기준으로 선행연구들과 비교한 결과 함량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TS 라디칼과 DPPH 라디칼 소거율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농도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OS 생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어 라디칼 소거능과 부합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CLE의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향 후 천연원료로서 기능성화장품 또는 심화 연구를 통한 천연화장품의 응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쥐에서 phenobarbital sodium 및 3-methylcholanthrene이 $^{14}C$-carbofuran의 독성과 in vitro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enobarbital sodium and 3-methylcholanthrene on metabolism in vitro and toxicity of $^{14}C$-carbofuran in rat)

  • 한성수;임요섭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9-38
    • /
    • 1998
  • Phenobarbital sodium(PB) 또는 3-methylcholanthrene(3-MC)이 살충제 carbofuran의 쥐에 대한 독성과 이의 독성경감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이들을 단독 또는 조합으로 경구투여한 후 쥐의 생존율을 조사하였고, 쥐에서 carbofuran 의 in vitro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쥐 간의 추출액에 이들을 단독 또는 조합으로 처리한 후 대사산물을 조사하였다. 쥐에 대한 carbofuran의 $LD_{50}$(96hrs)은 6.9 mg/kg이었고, 주 대사산물의 독성은 3-hydroxycarbofuran > 3-ketocarbofuran > 3-hydroxycarbofuran phenol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모화합물보다는 그 독성이 매우 낮았다. 쥐의 생존율은 carbofuran 8.4 mg/kg만을 투여했을 때 0%이었으나 carbofuran과 PB 또는 3-MC 20 mg/kg을 각각 조합투여시 $60{\sim}80%$로 높아졌고, 60 mg/kg 투여시에는 100% 생존하여 PB 및 3-MC의 carbofuran에 대한 독성경감 효과가 매우 컸다. 간 추출액에서 in vitro 대사의 대부분은 microsomal fraction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Carbofuran 단독처리시 주 대사산물은 3-hydroxycarbofuran이었으나 carbofuran과 PB 또는 3-MC 조합처리시 3-ketocarbofuran이었다. 또한, 기질 및 처리별 대사산물의 생성율을 조사한 결과 microsomal fraction에 carbofuran 단독 및 PB 또는 3-MC와의 조합처리 모두 co-factor로서 NADP+G-6-P+G-6-P-DG 첨가시(phase I system) 가장 높았고, $105,000{\times}g$ 상징액에서는 carbofuran 단독처리의 경우 co-factor로서 NADPH+ GSH 첨가시(phase II system)에 그리고 PB 또는 3-MC와 조합처리의 경우 co-factor 중 NADPH+FAD 첨가시(phase II system)에 가장 높았다. 대사산물 생성율은 carbofuran 단독처리보다 carbofuran과 PB 또는 3-MC 조합처리에서 $2{\sim}3$배 높았다.

  • PDF

혼합추출 및 개별추출 방식의 삼정환의 항산화 및 항비만효과 (Anti-Oxidative and Anti-Obesity Effect of Combined Extract and Individual Extract of Samjunghwan)

  • 한경선;왕경화;임동우;진영원;최영희;최한석;이명종;김호준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7-5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삼정환의 혼합추출물과 개별추출물을 비교하여 항산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총 페놀 함량과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 및 $TNF{\alpha}$의 유전자발현변화를 분석하였고, 항비만과 지질대사개선에 밀접한 요소인 AMPK-${\alpha}1$, HMG-CoA reductase, $PPAR{\gamma}$의 유전자 발현변화와 3T3-L1세포에서 Oil red O 실험을 하여 세포 내 지방구 함량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은 두 군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3T3-L1세포의 세포생존율은 삼정환의 혼합추출물과 개별추출물에서 모두 $200{\mu}g/ml$의 농도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총 페놀함량 역시 개별추출물에서 더욱 많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종합적으로 항산화능력은 혼합추출물과 개별추출물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과 관련성 있는 지질대사와 관련된 지표들을 분석해본 결과, Oil red O staining에서 혼합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대조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개별추출물에서 지방구의 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고, 항비만 효과에 주요한 타깃 유전자로 알려져 있는 AMPK-${\alpha}1$$PPAR{\gamma}$ 모두 혼합추출물에 비해 개별추출물에서 유의성 있는 변화를 확인하였다. 지질대사를 활성화시키는 HMG-CoA reductase 역시 유의성 있는 효과는 확인하지 못했으나 개별추출물에서 더욱 감소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삼정환을 혼합한 상태로 추출을 한 것보다 개별 약재를 추출한 것을 혼합하여 사용한 개별추출군이 항산화 및 항비만 효과에 더 나은 효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기존 환제의 제형으로 사용하던 약재의 실험에서 추출방법 및 제형에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