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sticide distribution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8초

WTO/SPS 통보문 분석 연구 - 식품안전조치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Notifications of WTO/SPS - Focused on Food Safety Measures -)

  • 신성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52-260
    • /
    • 2009
  • According to Article 7 and Annex B of the World Trade Organization(WTO) Agreement on the Application of Sanitary and Phytosanitary(SPS) Measures, WTO members are required to notify their newly established or amended SPS measures that might affect international trade. This study analyzed SPS notifications from 1995 to 2008 to identify international trends for food safety measures. The notifications were collected from the SP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the official document distribution system of WTO. The 153 WTO members represented 37 developed countries, 84 developing countries and 32 least developed countries. The number of overall notifications was 9,820. The annual notifications increased from 198 in 1995 to 1,264 in 2008. The monthly average notifications were from 44.8 in December to 69.5 in June;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hem. The six leading Members in terms of notification submissions were United States(U.S.), Brazil, New Zealand, Canada, European Community and Korea. Among the regular and emergency notifications, 62.7% notifications were concerned with food safety, followed by animal and plant protections. Among animal protection notifications, 54.8% were emergency situations. Of the 4,821 food safety notifications, 60.4% were from developed countries, and 39.3% were from developing countries. Measures concerning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s were mainly from developed countries. In contrast, 77.5% of the measures concerning zoonoses were from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considering the numbers of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the average number of measures for each country was similar. Food safety measures were mainly involved pesticide residues followed by food additives, zoonoses, new regulations, labeling. As the overall notifications, zoonosis measures were mainly emergency notifications. Measures concerning pesticide residues, food additives, zoonoses, new regulations, veterinary drugs, and labeling were submitted most often by the U.S., Korea, Albania, U.S., Australia, and U.S., respectively. Identifying the exact trends of food safety measures was complicated by a number of factors. However, WTO notifications might be useful tool in providing a general view of international trends.

Impact of Chemical Pesticides Use in a Social Accounting Matrix Framework: A Case Study of Thailand

  • PUTTACHAI, Wachirawit;SINGHAPREECHA, Charuk;SIRISRISAKULCHAI, Jirakom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297-307
    • /
    • 2021
  • Although there are several studies on the impact of pesticides use, there is no consistent conclusion about such evidence on capturing the socioeconomic independence. The pro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conomy-wide impact of pesticide use in Thailand. The research data and methodology in this paper are depended on a social accounting matrix framework incorporating the pesticide-related illness as an additional sector, following Resosudarmo and Thorbecke (1998), to explain the impact of the pesticides on the related agricultural sector, food sector, and the social welfare of different households. Thu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Thai economy can be comprehensively described by providing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framework. In this respect, the several data sets are constructed to include the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 interdependencies, which are necessary to analyze the policy implications, especially industrial policy.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eral equilibrium theory and the Leontief multiplier matrix. It reveals that the food industry and the economy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pesticide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findings of this paper suggest that the food sector needs to determine its output to avoid bottleneck situations and create equality across the food production system.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Pesticides in Zeolites

  • Chang-Han Lee;Kil-Seong Kim;Sang-Kyu Kam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103-1115
    • /
    • 2022
  •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four pesticides (phosphamidon, fenitrothion, triadimefon, and diniconazole) on natural clinoptilolite (CLIN) and three synthetic zeolites were investigated. The synthetic zeolites included faujasite (FAUF) synthesized from coal fly ash; the mixture of FAU and Na-P1 (FAU + Na-P1)SF synthesized using Jeju scoria and coal fly ash at the ratio of 1.5 by weight; and waste fluid catalytic cracking catalyst (FCCW). The distribution coefficient, KD and the Freundlich constant, KF decreased in the following sequence: FCCW > FAUF > (FAU + Na-P1)SF > CLIN among the zeolites and diniconazole>fenitrothion> triadimefon> phosphamidon among the pesticides. The pesticide adsorp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for FAUF, (FAU+Na-P1)SF and FCCW, however, it decreased for CLIN, regardless of the type of pesticide. The adsorptivity of pesticides was independent of pH for phosphamidon, fenitrothion and triadimefon, whereas it decreased with increasing pH for diniconazole, regardless of zeolite type.

영농지역에서 작물재배 형태에 따른 농약의 잔류성과 유출특성 (Characteristics of Pesticide Runoff and Persistence on Agricultural Watersheds in Korea)

  • 박병준;권오경;김진경;김진배;김진호;윤순강;심재한;홍무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4-201
    • /
    • 2009
  • 영농지역에서 비점오염원인 농약의 살포가 수질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유출량을 평가 하였다. 충북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일대 폐쇄권역에서 소수계내 물 중 잔류농약은 20종의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살균제 4종, 살충제 10종, 제초제 6종이었고, 검출범위는 0.008${\sim}$7.59 ppb 수준으로 배출수 기준보다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대하천 유입전 소수계 물 중 시기별 잔류농약 성분은 살균제가 5${\sim}$8월, 살충제는 7${\sim}$8월 및 제초제는 5${\sim}$7월에 주로 검출되었고, 밭에 사용하는 농약보다 수도용 농약이 검출 빈도가 높았다. 또한 강우강도가 높을 때는 밭토양의 토사 유출로 밭에 사용하는 농약이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작물 재배조건별 검출된 잔류농약성분은 고추밭 토양 6종, 과수원 토양 4종, 참깨밭 토양 3종 및 논토양 5종으로 총 13종이 검출되었으며, 검출 범위는 0.001${\sim}$0.109 ppm 수준이었다. 공주시 정암면 고성리 영농지역의 소수계내 물 중 농약잔류성분은 13종(살균제2, 살충제6, 제초제5)의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범위는 0.01${\sim}$7.21ppb 수준으로 잠정 배출수 기준보다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농약 종류별 검출양상은 살균제는 5${\sim}$8월, 살충제는 7${\sim}$8월, 제초제는 5${\sim}$6월에 주로 검출되었으며 강우시간별 물 중 농약잔류량은 강우시작 3${\sim}$5시간에 최고농도가 검출되었고 수도용 농약의 검출 빈도가 높았다.

수출딸기 선별장에서 잿빛곰팡이병원균 밀도조사와 저장온도에 따른 잿빛곰팡이병 발생 연구 (Studies on Botrytis cinerea Density in Packing Shed and Gray Mold Incidence Following Storage-Temperature in Exported Strawberry)

  • 김다란;전창욱;곽연식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5-300
    • /
    • 2015
  • 국내 딸기는 현재 홍콩, 싱가포르 및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수출량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유통과정에서 환경조건에 따라 품질에 손상이 크게 발생하고 있다. 주로 수출딸기에 품질손상을 일으키는 잿빛곰팡이병은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동안 혹은 수입국에서 소비자에게 판매되기까지의 기간 동안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출딸기 선별장 공기중 부유중인 잿빛곰팡이병원균의 밀도와 저장중 발병률에 관한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기중 병원균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저온 저장중 병 발생율이 최대 16%로 나타났다. 상온저장의 경우 상대적으로 공기중 병원균의 밀도가 낮게 조사된 12월 말부터 발병율 100%가 관찰 되었다. 본 연구결과, 선별장의 잿빛곰팡이 병원균 밀도와 저장중 병발생의 상관관계가 구명되었다.

규소 처리에 의한 오이잎의 규소분포 및 흰가루병균 생장억제 (Ditribution of silicon and growth inhibition of powdery mildew fungus in cucumber leaves in silicon-present hydroponic culture)

  • 이중섭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4-49
    • /
    • 2000
  • 본 시험은 오이 양액재배시 배양액내 규산칼륨($K_{2}SiO_{3}$) 처리에 의한 생육단계별 규소의 흡수특성, 체내분표 병원균의 침입억제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잎에서의 규소 분포는 TEM, SEM 및 EDX-ray를 사용하여 4개(SEM, Ca, Si, K)의 구성원소를 각각 측정하였다. 흡수된 규소는 잎으로 이동하여 모용(毛茸, trichome, hair)을 둘러싸고 있는 기부 세포에 축적되었다. 모용에서의 규소는 고농도의 칼슘 및 칼륨과 혼재하여 분포하였고, 저농도 처리시에는 모용기부를 제외한 표피세포에서는 감지 할 수 없는 수준으로 분포하였다. 잎에서의 규소 축적은 처리 후 24시간에서 48시간 사이에 세포벽 주위에 가장 많이 축적되었고, 그 이후에도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처리된 규소는 발아하고 있는 흰가루병 분생포자의 인접 조직의 세포벽과 병원균 흡기 주변에 다량 축적되어 물리적인 장벽으로 작용하였다. 고농도의 규산 처리된 잎 병반상의 발아관 길이는 낮은 농도의 처리구와 비교하여 현저히 짧았으며, 규산 처리농도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배양액내 처리된 규산 농도는 오이가 생장함에 따라 감소하여 뿌리를 통하여 작물체내로 흡수되었으며, 저농도 처리구(0.85 mM이하)에서는 흡수되는 양이 현저히 적었다.

  • PDF

농작물을 위한 드론 분무 농약 살포의 3차원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Agricultural Plants and Drone-Spray Pesticide)

  • 문인식;권현진;김미현;장세명;나인호;김흥태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9권4호
    • /
    • pp.176-186
    • /
    • 2020
  • 농작물들의 크기와 형태는 매우 다양하며 생육 환경도 각기 다르다. 따라서 드론을 활용하여 농약을 살포할 때에는 각 농작물에 대한 재배 환경과 특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드론의 비행고도, 전진속도 등 비행 조건이 달라져야 한다. 실제로 비행 조건에 따라 농약의 액적 유동이 크게 영향을 받게 되며, 살포 영역에 큰 변화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불균일한 액적 분포가 후류에 형성되어 농약의 전달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산에 대한 위험성이 존재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농업용 드론을 사용하여 특성이 다른 3가지 농작물을 선정하고 드론의 비행 조건을 각각 다르게 하여 농약을 살포했을 때 후류에서의 노즐 유동을 수치해석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전달되는 액체의 비율을 확률 밀도 함수의 평균 제곱근을 나눈 새로운 성능지수를 이용하여 비교함으로써 작물의 특성에 따른 드론의 농약 살포 가이드라인을 구축하고자 한다.

2012, 2014년 한강수계 하천수 중 잔류농약 검출 양상 (Occurrence of Pesticide Residues in Han River Basin in 2012 and 2014)

  • 김찬섭;이희동;손경애;이은영;오진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38-351
    • /
    • 2019
  • 우리나라에서 유역면적이 가장 큰 한강수계를 대상으로 충주댐 상류지역까지 시료채취 지점을 확대하여 지천과 본류 유역별 유입 기여도를 평가하고 일별 수문자료를 입수하여 시기별 잔류농약의 유출량의 계량화를 시도하였다. 채수장소는 남한강수계 19, 북한강수계 3, 경안천 1 및 팔당댐 아래로 모두 24지점이었는데, 남한강수계 채수지점은 본류의 충주댐 상류 3개소, 하류 3개소와 지천으로는 동강과 서강, 달천, 섬강 등 13개소였다. 시료채취는 2012년과 2014년에 4회씩 실시하였고 대상농약은 하천 농약잔류량 조사 시에 국내에서 검출된 바 있는 성분들을 포함하여 174 성분이었다. 밭농사용 농약으로는 diazinon, cadusafos, alachlor, metolachlor 및 dithiopyr 등이 검출되었고, 사용이 금지된 endosulfan sulfate도 검출되었다. Endosulfan sulfate의 검출은 주로 남한강 상류지역의 고랭지 경사지의 유출 때문이었고, diazinon의 경우는 고랭지 채소재배지 토양살충과 하류지역의 다양한 농업활동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되었는데, 강우에 의하여 유출 농도와 양이 영향을 받는다고 사료되었다. 벼 재배용 농약은달천, 섬강을 포함하여 주로 하류지역에서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은 살균제인 iprobenfos와 isoprothiolane, hexaconazole, 살충제 carbofuran, 제초제 oxadiazon이었는데 벼농사용 농약의 수계유출은 강우에 의한 것뿐 아니라 배수와 누수 등에 의해 재배기간 중에는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살포 방법에 의한 살균제 Dithianon의 감귤 잎 부착량 비교 (Deposit Amounts of Dithianone on Citrus leaves by Different Spray Methods)

  • 전혜원;홍수명;현재욱;황록연;권혜영;김택겸;조남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
    • /
    • 2016
  • 농약의 효율적인 방제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에 원하는 작물체의 부위에 균일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농약 살포기술(application technology)은 노즐의 형태 및 종류와 같은 미세 조절이 가능한 기계적인 인자가 약효 발현과 작물 잔류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귤의 더뎅이병에 사용되는 디티아논 액상수화제를 이용하여 감귤 과원에서 사용중인 약제 살포방식 차이에 따른 감귤 잎의 부착량 분포도를 조사하여 살포 방식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기계식 살포기를 대조구로 하고 노즐 및 살포 방식에 변화를 준 sprinkler 살포시스템 및 speed spray 분사 방법에 대한 감귤잎 부착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시험은 제주도에 위치한 감귤시험장 감귤과원에서 진행하였으며, 감귤잎의 높이 위치별 부착량, 전후면 부착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디티아논 43% 액상수화제 1,000배 희석 액을 살포한 후 filter paper와 나뭇잎을 상, 중, 하로 높이로 채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Speed spray 방식이 engine type spray 방식보다 부착량 및 부착균일성 우수하였고, 모든 살포방식이 잎 뒷면의 부착량을 증가 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선되어야 하며 감귤의 상부 위치의 부착량 평가에서는 마른안개 sprinkler 방식이 가장 우수하였다.

인공강우와 콩재배 포장 라이시메타를 이용한 diazinon과 metolachlor의 유출량 평가 (Runoff of Diazinon and Metolachlor by Rainfall Simulation and from Soybean Field Lysimeter)

  • 김찬섭;이병무;박병준;정필균;최주현;류갑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79-288
    • /
    • 2006
  • 강우에 의한 경사지 토양으로부터의 농약 유출양상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환경적 요인 및 영농방법등의 영향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토양흡착실험과 인공강우유출실험 및 콩 재배 lysimeter 포장에서 유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흡착실험을 수행하여 농약의 이동 가능성과 이동형태를 파악하고, 인공강우시설을 이용한 유출실험으로 강우양상 및 경사도의 영향 정도를 살펴보고, 콩 재배 경사지 포장에 설치된 lysimeter 실험을 수행하여 작물 재배에 따른 농약의 유실 양상 차이를 파악하여 농약의 표면유출에 의한 유실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두 농약의 Freundlich 흡착계수 K는 diazinon은 $4.0{\sim}5.5$이었고 metolachlor는 $1.6{\sim}2.0$이었다. Freundlich 등온흡착식의 직선성을 나타내는 1/n 값은 탈착방법의 경우 $0.96{\sim}1.02$이었고 흡착방법의 경우는 $0.87{\sim}1.02$이었다. 영국 SSLRC의 이동성 분류기준으로 판단하면 diazinon과 metolachlor는 moderately mobile ($75{\leq}Koc$ <500) 등급에 해당하였다. 인공강우 처리구의 유출수 및 유실토양에 의한 농약 유실률은 각각 diazinon $0.1{\sim}0.6%$$0.1{\sim}0.2%$, metolachlor $0.5{\sim}1.0%$$0.1{\sim}0.7%$ 이었고, 경사도 30%의 경우가 10%에 비하여 농약 유실량이 $0.2{\sim}1.9$ 배 많았다. 인공강우실험 후 농약의 토심별 분포를 살펴 본 결과 diazinon은 토심 $5{\sim}10$ cm까지 이동하였고 metolachlor는 토심 $10{\sim}15$ cm까지 이동하였다. Lysimeter 포장유출실험 결과 경사도 및 경사장별 나지구의 유실량은 diazinon $0.23{\sim}0.50%$, metolachlor $1.0{\sim}3.1%$ 수준이었으며, 인공강우실험의 유실률에 비하여 $1/3{\sim}2.5$ 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콩재배구의 유실률은 나지구의 유실률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21{\sim}75%$ 정도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출수 중 농약성분의 최고농도는 콩재배구 및 나지구 각각 diazinon $1{\sim}9{\mu}g\;L^{-1}$$3{\sim}16{\mu}g\;L^{-1}$, metolachlor $7{\sim}31{\mu}g\;L^{-1}$$5{\sim}40{\mu}g\;L^{-1}$ 수준으로 작물 재배 여부에 따른 유출수 중 농도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