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7초

지적장애 아동의 롬바드 효과에 따른 말산출 특성 (The Lombard effect on the speech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이현주;이지윤;김유경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8권4호
    • /
    • pp.115-122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oustic-phonetic features and speech intelligibility of Lombard speech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y examining the effect of Lombard speech at 3 levels of non-noise, 55dB, and 65dB. Eigh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read sentences and played speaking games, and their speech were analyzed in terms of intensity, pitch, vowel space of /a/, /i/, and /u/, VAI(3), articulation rate and speech intelligibility. Results showed, first, that intensity and pitch increased as noise level increased; second, that VAI(3) increased as the noise level increased; third, that articulation rate decreased as noise intensity increased; finally, that speech intelligibility increased as noise intensity increased. The Lombard speech changed the VAI(3), vowel space, articulation rate, speech intelligibility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s wel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ombard speech will be clinically useful for the persons who have intellectual disability and difficulties in self-control.

지적장애인 대상 성범죄 재판 시 형의 감경사유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Public perceptions of the reasons underlying sentence reduction for sex crimes against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이미선
    • 한국심리학회지:법
    • /
    • 제12권3호
    • /
    • pp.323-341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 522명을 대상으로 지적장애인 성범죄 하급심 판결문에서 인용된 감경 사유에 대한 동의 여부 및 법정 형량의 적절성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응답자의 약 80%은 현행 지적장애인 성범죄 법정 형량을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동의하지 않는 경우 현재보다 더 엄벌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거의 대부분의 응답자는 피고인의 '연령', '건강 상태', '사회경제적 수준', '성장배경 및 가정환경'과 같은 일신상의 이유 또는 범행이 '음주', '성적 충동', '우발적'으로 발생했다는 점을 감경 사유로 사용하는데 있어 동의하지 않았다. 반대로 '자수', '미수', '피고인의 지적장애', '진지한 반성' 등을 감경 사유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동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여전히 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학력에 따른 감경사유 인식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반면 응답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감경에 대해 더 엄격한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국민들의 의견이 반영된 양형기준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건강한 성인과 경미한 지적장애를 가진 성인의 보행 중 운동학적 데이터 비교 (Comparison of Kinematic Data during Walking between Healthy People and Person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 진다현;황영인
    • PNF and Movement
    • /
    • 제20권1호
    • /
    • pp.19-29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ait pattern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healthy adults based on collected kinematic data on the lower extremities and to investigate the gait patterns of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in one group of healthy adults (n = 9) and one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n = 9). 3D motion analysis (Myomotion) was used to collect kinematic data from each group while the participants walked 3 times over 10 m. As a statistical method, each group's kinematic data during walking was analyzed and compar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Comparing the kinematic data of the lower extremities during walking between the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 healthy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hip and ankle joints in the stance and swing phases. Conclusion: The analysis suggests that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kinematic differences compared with healthy peop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research on rehabilitation programs for joint stabilization, exercise for increasing joint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and proprioception training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insufficient physical function.

성인 지적장애인에 대한 비장애형제의 부양 책임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Factors influencing the Caregiving Responsibility of Siblings without Disability on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김미혜;오수경;장숙
    • 사회복지연구
    • /
    • 제37호
    • /
    • pp.63-89
    • /
    • 2008
  • 본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의 비장애 형제들이 장애형제의 미래부양에 대해 갖는 책임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8개 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만18세 이상의 성인 지적장애인을 형제로 두고 있는 비장애 형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132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고, 다중회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지적장애인의 특성 요인 모형, 비장애형제의 특성 요인 모형, 관계적 요인 모형, 종합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인의 특성 요인에서는 장애정도가, 관계적 요인에서는 형제 간 친밀도와 사회적 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종합모형에서는 장애 정도, 비장애형제의 성, 형제 간 친밀도와 사회적 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형제 간 친밀도와 사회적 지지를 포함한 관계적 요인이 부양 책임감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결과를 통해 지적장애인과 비장애 형제가 서로 간에 믿음과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형제프로그램의 개발 및 확산이 요구되는 한편, 비장애형제가 가족이나 친구, 그 밖의 주변 사람들로부터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대인관계망을 넓혀가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장애의 의존도에 따라 부양의 어려움을 경감시키기 위해 상이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전신 마취 하 장애인 치과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AN OVERVIEW OF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PECIAL NEEDS PATIENTS)

  • 장주혜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1-67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cognitive and behavioral impairments receiving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GA-dental treatment). From August 2007 to April 2014,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475 patients who received GA-dental treatment at the Clinic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The demographic factors (gender, age, disability, medication, GA history, residency type, caregiver, meal type, oral hygiene maintenance, and cooperation level) and dental status (operating duration, DMFT, malocclusion, periodontal disease, tooth defect, and treatment protocol) of the patients were evaluated. DMFT and malocclusion levels were compared among the patients with ANOVA and Sheffe's post-hoc test, and chi-square test,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ntal status of the patients were analyzed with the Pearson's correction test.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27.1 (7 - 83) years and they had intellectual disabilities (55.4%), developmental disorders (17.9%), brain disorders (16.6%), neurocognitive disorders (4.6%), or others (5.5%). The mean DMFT (DT) was 8.6 (5.2)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isability types (p<0.05). The incidence of malocclusion was higher in pati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brain disorders than in the other types (p<0.05). The operation time ($191.4{\pm}91.2min$) was correlated with decayed or endodontically-treated teeth (p<0.05). Special needs patients requiring GA-dental treatment showed unfavorable oral conditions. Dental practitioners experience time restrictions and additional costs under a GA setting. Treatment planning and decision-making can be efficiently facilitated by evaluating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장애인의 언어장애 유무에 따른 사회인구학적 특성, 수단적 일상생활, 필요한 보건의료서비스의 차이 (Differences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care Needs in Disabled Persons with and without Language)

  • 강소라;문종훈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7-45
    • /
    • 2019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and healthcare needs among disabled persons with and without language disorder. Methods : Using raw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 (2017), this study compared 6,320 disabled persons without language disorder and 229 disabled person with language disorder among 6,549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ADL, and healthcare needs. Results : People with language disorder were younger (p<.001), illiterate (p<.001), and had higher family income (p=.003) than people without language disorder. In addition, people with language disorder had a higher disability grade than people without language disorder (p<.001), and the percentages of brain injury, hearing impairment, and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higher among type of disability (p<.001). People with language disorde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pendence on all items of IADL than people without language disorder (p<.001). As the first-ranked healthcare need, people without language disorder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chronic illness management," and people with language disorder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disability management" (p<.001).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e current investigation suggest that health care services are needed to improve IADL in people with language disorder and that the development of a disability management program for people with language disorder is required.

기능성 게임을 이용한 바리스타 직무훈련이 지적장애인의 직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rista Job Training Game on Occupational Self Efficacy of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권정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3-70
    • /
    • 2017
  • 지적장애인의 직무관련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은 지적장애인의 성공적 직업재활을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이 낮은 지적장애인이 기능성 게임을 이용한 훈련을 받았을 때, 자기효능감의 하나인 직무효능감이 향상되는지, 어떤 하위 직무효능감에서 향상되는지를 알아보았다. 5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한 결과, 기능성 게임을 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직무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효능감의 하위범주 4개 중, 직무관련 문제해결에 대한 효능감과 직무 스트레스 상황 대처능력에 관한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지적장애 부모를 둔 비장애 청소년의 삶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Qualitative Case Study on Life of non-disabled Adolescent of Par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강승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3호
    • /
    • pp.73-103
    • /
    • 2016
  • 본 연구는 지적장애 부모를 둔 비장애 청소년들의 삶의 모습과 그들의 삶 속에서 드러난 어려움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4년 1월부터 5월까지 청소년 5명을 중심으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하였으며,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매 단계마다 엄격성을 확보하였다. 분석결과는 크게 '비장애 청소년의 성장이야기', '비장애 청소년의 세상살이 이야기'로 분석하였으며, '공부를 하라는 가족이 전혀 없음', '학업 성취감을 알아가며 앞으로 나아감', '나만의 공간으로 숨어버림', '일찍 어른이 되어버림', '다른 부모, 같은 사랑', '가족의 가족이 나를 키움', '나를 그대로 받아들여주는 친구가 있음', '가난한 생활에 짓눌려 살아옴', '힘듦과 힘냄의 양날에 서있음'으로 범주화 하였다. 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지평을 넓히고, 가족의 장애이해, 부모역할훈련프로그램과 사례관리 등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실태조사와 경제적 지원을 위한 수당제도 등 정책적 방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 PDF

지적 장애인을 자녀로 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자기효능감(Caregiving Self-Efficacy)에 주는 영향: 장애인 생애주기의 조절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giving self-efficacy among mothers of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cross the life span)

  • 김교연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23호
    • /
    • pp.43-70
    • /
    • 2008
  • 본 연구는 지적 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자기효능감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 영향이 장애인 자녀가 속한 생애주기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탐색하였다. 530명의 사례에 대한 분석 결과, 전체집단에서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많을수록 돌봄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자녀 생애주기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어머니 집단에 비교해 청소년의 어머니 집단과 성인의 어머니 집단에서 효과의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달랐다. 각 집단에 대한 분석 결과, 아동의 어머니 집단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돌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지 않은 반면, 청소년의 어머니 집단과 성인의 어머니 집단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돌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인 가족 연구에서 생애발달적 관점이 지지되었으며, 실천적으로는 청소년기와 성인기의 자녀를 둔 장애인 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Effects of Therapeutic Horseback Riding on Equilibriu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ang, Ok-Deuk;Kang, Anna;Ryu, Youn-Chul;Lee, Wang-Shik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2호
    • /
    • pp.141-146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on 26 disabled adolescent participants (16 male, 10 female) with the objective of testing changes in equilibrium after engagement in horseback riding. Participants of total 26 perso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s follows: 6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14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D) and 6 children with Autism (AT). Participants engaged in therapeutic horseback riding (TR) two times per week for 30 minutes per session. The 26 participants demonstrated a considerable increase in equilibrium ability, with an average increase in equilibrium time of $44.22{\pm}50.70$ sec after TR. Equilibrium also increased according to disability group: CP (P < 0.05), ID (P < 0.001), and AT (P < 0.05). TR should be considered as a possible method for improving functionality in the physically disabled. This data may also be usefully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 horseback rid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equilibrium in the disab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