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loratory study of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giving self-efficacy among mothers of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cross the life span

지적 장애인을 자녀로 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자기효능감(Caregiving Self-Efficacy)에 주는 영향: 장애인 생애주기의 조절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 Kim, Kyo-Yeon (Sunmoon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 김교연 (선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08.06.09
  • Accepted : 2008.07.08
  • Published : 2008.08.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giving self-efficacy among 530 mothers of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ir childhood(age 3-12), adolescence(age 13-18), and adulthood(age 19-35),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ife span affiliation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greater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predicted higher level of caregiving self-efficacy for all the mothers.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was detected indicating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caregiving self-efficacy across groups. Although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some positive effects on caregiving self-efficacy for each group of mothers of both adolescents and adults, no effects for a group of mothers of childre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greater emphasis be placed on the expanded provision of social support for families of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ir developmental stages following the childhood.

본 연구는 지적 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자기효능감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 영향이 장애인 자녀가 속한 생애주기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탐색하였다. 530명의 사례에 대한 분석 결과, 전체집단에서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많을수록 돌봄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자녀 생애주기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어머니 집단에 비교해 청소년의 어머니 집단과 성인의 어머니 집단에서 효과의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달랐다. 각 집단에 대한 분석 결과, 아동의 어머니 집단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돌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지 않은 반면, 청소년의 어머니 집단과 성인의 어머니 집단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돌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인 가족 연구에서 생애발달적 관점이 지지되었으며, 실천적으로는 청소년기와 성인기의 자녀를 둔 장애인 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