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teacher's efficacy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8초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Creative Personality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 이유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교사효능감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보육실습과 교육실습의 경험이 있는 경기지역에 소재한 S대학, Y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165명이었다. 측정도구로는 하주현의 창의적 인성검사와 김순남에 의해 수정된 TEBI(Teaching Eefficacy Belief Instrument)교사효능감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 schaffer 사후검증, 적률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배경변인(성적, 연령, 임원활동)에 따른 창의적 인성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에서 '연령'은 교사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개인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창의적 인성 점수가 높은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사효능감도 대체로 높았으며 특히 개인 교사효능감에서 더욱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예언해주는 창의적 인성 요인은 자기 확신, 상상, 개방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일반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인식하고 이를 촉진하는 교육과정 운영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Belief of Teaching Efficacy)

  • 강이슬;김민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25-352
    • /
    • 2011
  •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내적 교육신념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해서 알아보고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및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국공립, 민간, 가정 보육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36개월 미만의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처리를 위하여 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개인적 교수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영아보육교사 자신의 교수효능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통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보면 업무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아들과의 활동 스트레스, 개인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수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에서 일반적 교수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교육수준, 월 급여, 근무시간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월 급여가 적을수록, 근무시간이 많을수록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보육교사의 과학 교수 개인효능감에 관한 연구 -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 (Study on Day-care Teacher'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 한유미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687-697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ecedents of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in day-care setting. Also,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day-care teacher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ir perspectives o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e subjects were 176 day-care teachers in rural area of ChoongCheongNam-Do. The survey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the day-care teacher. The instrument were Rigg & Enochs(1990)'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Kim(l998)'s scales for the Goa1s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Day-care teacher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personal variables such as teachers' education, in-service science workshops, science book reading, science-related hobby but not with teachers' age, pre-service science credits and total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2. Among the environmental variables, science activity area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ay-care teacher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However, location of day-care center, age of children, number of children, teacher-child ratio, facilities for science education and scheduled time for science education did not affect it. 3. Day-care teachers of high content- and process-oriented goals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were highly efficacious teacher, while the teachers of low content- and process-oriented perspectives gained the lowest score. However, the content-oriented teachers and the process-oriented teachers did not differ in terms of day-care teacher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 PDF

교사 소진에 대한 보호요인으로서의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자기존중감의 영향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and Collectivistic Self-Esteem as Protective Factor on Teacher Burnout)

  • 최태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510-52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and collectivistic self-esteem on alleviation of teacher burnout.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161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using teacher efficacy scale, collectivistic self-esteem scale and psychological burnout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ly background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urnout and therefore, background variables were controlled in the analysis of teacher efficacy and collectivistic self-esteem. Second, teacher efficacy influenced on the total burnout(38%) and sub-factors which were emotional exhaustion(27.3%), depersonalization(20.7%) and diminished personal accomplishment(36.1%), and collectivistic self-esteem influenced on the total burnout(38.8%) and sub-factors which were emotional exhaustion(27.1%), depersonalization(29.6%) and diminished personal accomplishment(25.1%). Third, the analysis of additional influence of collectivistic self-esteem in addition to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on teacher burnout revealed additional influence in the alleviation of total burnout(18.2%), emotional exhaustion(13.9%), depersonalization(16.6%) and diminished personal accomplishment(10.3%). Thes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collectivistic self-esteem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alleviation of psychological burnout with teacher efficacy which was well known as a protective factor for psychological burnout. Based upon the above result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영유아 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교사효능감이 어린이집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Influence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e of Efficac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hild Care Centers)

  • 백성아;송승민;이유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47-46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mmunication ability,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hild care cen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7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child care centers were detected according to teachers' age, career, type of child care center where they were affiliated, and marriage status. Second, the relative effects of the teachers' communication ability and teacher efficacy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early-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each sub-factor; teachers' communication ability's sub-factors - response, analysis, and evaluation - and teacher efficacy's sub-factors - general efficacy and personal efficacy - had partial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hild care centers. Of these, personal efficacy had the greatest effects on all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since it identifies the variables that could affec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hild care centers.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효능감,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보육과정 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rsing Teacher's Efficacy and Professionalism on Childhood Curriculum Performance)

  • 김명순;신윤승;채은화
    • 아동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43-56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 efficacy and professionalism, which are personal traits, when administering the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Methods: Using snowball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from 266 childcare center teachers in the nation and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alyse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14.0. Results and Conclusion: The findings are as the following: First, teacher efficac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eachers by ag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 and childcare center type. Second, teacher efficac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heir professionalism. Lastly,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 efficacy and professionalism explained significantly the variance in teachers' performance when administering the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이 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세정;임청환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459-46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level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find out the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fter measuring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of 109 teachers from nine elementary schools, three teachers who received the high score and three teachers who received the low score were selected from each 5th and 6th grad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of 331 students who were in the selected 12 teachers' classes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ccording to teacher's gender and career. The men's average score was clearly higher than women's average score on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in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ccording to teacher's gender. There was a obvious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more than six-year less than ten-year and the group of more than fifteen-year less than twenty-year, the group of more than twenty-year on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in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ccording to teacher's career. Second, there was not a evident difference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Third,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openness and the endurance in each scientific attitude. The level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few effects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이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Thinking Styles and Character Development Efficacy of Childhood Educational Teachers on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 김정겸;이주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905-1915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이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이 교직에 대한 헌신을 높이기 위한 내적변인임을 밝혀 유아교사에게 맞는 적절한 사고양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 충남.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직 중인 346명의 유아교사들이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교직헌신도의 관계에서는 사고양식의 사법적, 군주제, 전체적, 내부적, 자유주의적 사고양식과 교직헌신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유아교사의 인성개발 효능감과 교직헌신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인성개발 효능감이 교직헌신도에 긍정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전문의식에는 사법적, 내부적 사고양식과 일반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교육애에는 입법적, 내부적, 보수적, 자유주의적 사고양식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열정에는 입법적, 군주제, 무정부제, 자유주의적 사고양식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사가 특정 사고양식을 발휘하고 인성개발 효능감이 높아질수록 교직에 대한 헌신을 높일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미국 예비 유아교사의 문화다양성 경험과 신념 및 문화반응적 교수효능감간의 관계 : 문화다양성 신념의 매개효과와 교사교육 단계간 다집단 분석 (The Relations among the Experiences and Beliefs of Cultural Diversity, and the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Efficacy of America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 Mediating Effect of the Beliefs and Multi-group Analysis of Teacher Education Stages)

  • 천희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79-107
    • /
    • 2013
  • 본 연구는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문화다양성 경험, 문화다양성 신념 및 문화반응적 교수효능감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문화다양성 신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며, 그러한 관계가 교사교육의 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미국 남서부 5개 대학의 K학년 교사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273명이었다. 문화다양성 경험은 Schroeder(2008), 문화다양성 신념은 Pohan과 Aguilar(2001), 문화반응적 교수효능감은 Siwatu(2007)의 연구에서 사용된 일부 문항들로써 측정되었다.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한 결과, 직접효과로서 문화다양성 경험이 많을수록, 직업 신념 수준이 높을수록 문화반응적 교수효능감이 높아지고, 긍정적인 문화다양성의 경험이 많을수록 개인 신념의 수준이 높아지며, 개인 신념의 수준이 높을수록 직업 신념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다양성 경험은 개인 신념을 매개로 직업 신념에 간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집단분석 결과, 교사교육 단계에 따라서는 직업 신념과 교수효능감간 경로계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에서의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사립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Job Stress)

  • 최은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9-57
    • /
    • 2015
  •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기도의 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16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교사효능감 질문지(신세니, 2001), 의사소통능력 질문지(최일선, 조운주, 2010)와 직무스트레스 질문지(임진형, 2000)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립유치원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 전체뿐만 아니라 그 하위요인 모두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일반적 교수효능감의 경우 개인 관련 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립유치원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은 직무스트레스 전체와 하위변인인 원아들과의 활동, 업무관련, 행정적 지원, 대인관련, 경제적 안정, 그리고 개인과 관련된 스트레스에 모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내에 교사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과 의사소통능력을 발휘하고 직무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동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교과내용을 구성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