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immon peel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1초

감과피 첨가가 큰느타리버섯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upplementation of persimmon peels on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eryngii)

  • 김혜수;김수철;정종천;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71-374
    • /
    • 2014
  • 본 연구는 지역 특산물인 감과피를 이용한 버섯배지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감과피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감과피는 경상남도 진주시에 소재한 진주단감원예조합으로부터 건조된 것을 수집하여 사용하였고 공시균주는 큰느타리 2312를 사용하였다. 대조구는 시판혼합배지를 사용하였고 건조된 감과피 5%, 10%, 15%, 20%, 25%, 30%이 첨가된 시판혼합배지를 시험구로 사용하였다. 대조구인 시판혼합배지에 비해 시험구인 5%, 10%, 15%, 20%, 25%, 30%의 감과피가 첨가된 시판혼합배지의 총질소 함량은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총탄소와 유기물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고 C/N율은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감과피 첨가량에 따른 시험관 내에서의 균사생장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인 시판혼합배지보다 감과피가 첨가된 모든 배지에서 균사생장이 느리게 나타났다. 시험구의 혼합배지 중 5% 감과피가 첨가된 배지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빨라지만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균사 생장속도는 느려지는 경향을 보였다. 감과피 첨가량에 따른 배양일수는 대조구인 시판혼합배지에 비해 감과피를 30%까지 첨가하여도 배양일수와 초발이 소요일수에는 뚜렷한 차이는 없었지만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배양일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시판혼합배지에 비해 감과피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갓의 직경과 두께는 감소하고 대의 길이는 짧아지고 굵기는 굵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감과피를 배지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감과피 첨가량에 따른 혼합배지의 조성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감과피와 대추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의 포도당, 담즙산 , 카드뮴 투과 억제에 관한 in vitro 연구 (Retarding Effect of Dietary Fiber Isolated from Persimmon Peels and Juubes on in vitro Glucose, Bile Acid, and Cadmium Transport)

  • 이혜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4호
    • /
    • pp.809-822
    • /
    • 1998
  • Retarding effects of the dietary fibers from persimmon peels (PTDF ; total dietary fibers, PIDF ; insoluble dietary fibers, PSDF ; soluble dietary fibers) and dried jujubes (JTDF ; total dietary fibers, JIDF ; insoluble dietary fibers, JSDF ; soluble dietary fibers) on glucose, bile acid and cadmium transport were evaluated by in vitro dialysis sack method. These effec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ommerical citrus pectin, CM-cellulose (CMC) and $\alpha$-cellulose. Yields of PTDF, PIDF and PSDF on wet weight basis were 14.04% , 11.61%, 1.76%, respectively, and those from dried jujubes were 14.80%, 9.98% and 2.80%, respectively. The amount of soluble fibers in JTDF was higher than PTDF. Soluble fibers had the retarding effects on glucose transport but insoluble fibers did not have. CM-cellulose showed the greatest retarding effect, which was followed by citrus pectin and JSDF. Among the soluble fibers, PSDF had the lowest retardig effect. Retarding effect of TDF was dependent upon the amount of SDF in TDF. Regarding bile acid dialysis , insoluble dietary fibers as well as soluble dietary fibers showed the retarding effects, among which JSDF had the greatest retarding effects, among which JSDF had the greatest retarding effect, followed by citrus pectin. Among the extracted fibers, dietary fibers from dried jujube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se from persimmon peels, and SDF seemed to show higher retarding effects than IDF and TDF. On cadmium transport retardation , all dietary fibers except $\alpha$-cellulose had the retarding effects and PSDF showed the greatest effect which was followed by PIDF and CMC, The extracted fibers showed higher retarding effect on Cd transport than glucose and bile acid transport, and dietary fibers from persimmon peels showed higher retarding effects than those from dried jujubes.

  • PDF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aebong Persimmon (Diospyros kaki cv. Hachiya) Peel Vinegars

  • Seong, Gi-Un;Hwang, In-Wook;Chung, Shin-Kyo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4호
    • /
    • pp.240-244
    • /
    • 2013
  • To evaluate utilization of persimmon peels as novel bio-materials, the gener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aebong persimmon vinegar (DPV), Daebong persimmon peel vinegar (DPPV) and commercial persimmon vinegar (CPV) were investigated. The pH of DPPV had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vinegars. The titratable acidities of vinegars were 3.24% (DPV), 2.77% (DPPV) and 7.78% (CPV), respectively. The reducing sugar contents showed that DPV had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vinegars. The browning degree of DPV was lower than CPV in contrast to the turbidity. The results of Hunter's color value have showed that overall values of CPV had significantly higher than DPPV and DPV.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DPV and CPV were 19.49 and 17.13 mg/100g GAE, respectively.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of DPPV (8.04 mg/100g CE) were two fold higher than that of DPV (3.85 mg/100g CE). The antioxidant activities, by DPPH and FRAP assays, of DPV showed stronger than those of other vinegars. Free sugars were mainly composed of fructose and glucose. Organic acids were presented in the order acet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citric acid and oxalic ac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aebong persimmon peels could be utilized for vinegar production as a health-benefit material.

감과피 첨가배지가 큰느타리 버섯의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um supplemented with persimmon peels on antioxidant activity of Pleurotus eryngii)

  • 김철환;김혜수;박현영;정종천;이찬중;공원식;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10-21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버섯 생산을 위한 버섯배지 자원으로서 감과피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감과피 무첨가배지(control)와 5%(5% PP), 10%(10% PP), 15%(15% PP), 20%(20% PP) 및 30%(30% PP) 감과피 첨가구 배지에서 배양된 큰느타리버섯 자실체의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환원력 등을 조사하였다. 감과피 무처리구 큰느타리버섯 추출물에 비해 20% 감과피 첨가구(20% PP) 큰느타리버섯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환원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5%(5% PP), 10%(10% PP), 15%(15% PP) 및 20%(20% PP) 감과피 처리구에서는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양이온 소거능, 환원력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감과피는 큰느타리버섯의 항산화 기능성 향상을 위한 버섯배지 자원으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사료에 첨가된 감껍질의 효과 (Effect of Persimmon Peel as an Additional Feeding)

  • 신상수;이준구;공창수;권우성;류재웅;김은경;김현진;하재정;홍도영;윤두학;김성현;김명옥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87-94
    • /
    • 2019
  • 본 연구를 통해 감껍질의 산란계 사료 자원으로써의 가치를 평가하였다. 감껍질은 기본 사료에 비해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비율은 적지만 조섬유의 비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에 감껍질을 2%와 5% 첨가하여 급이한 결과, 모두 산란율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감껍질 급이가 계란의 pH, Haugh unit, 난황색 및 난각두께에도 대체로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아, 계란 품질 변화도 유발하지 않았다. 계란내 영양 성분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감껍질의 급이가 계란 내 아미노산 성분의 변화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지방산의 경우 감껍질에 많은 linolenic acid가 난황에 전이되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상에 감껍질을 최대 5%까지 산란계 사료에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농가 소득 증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초음파와 대두유 용매를 이용한 감 껍질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rotenoid-enriched extract prepared from persimmon peels by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with soybean oil solvent)

  • 정헌식;윤광섭;이수원;문혜경;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2-131
    • /
    • 2023
  • 초음파와 대두유 용매를 병용하여 감 껍질 유래 카로티노이드 함유 대두유를 제조하고 그의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Box-Behnken design과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추출물의 카로티노이드 농도 기준 최적 추출조건(온도 62℃, 시간 32 min, 대두유/감 껍질 비율 3.1)을 결정하였고, 이 조건에서 얻은 추출물(카로티노이드 강화 대두유)과 무처리 대두유(control)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추출물의 총카로티노이드 함량은 강화되었고, 이러한 카로티노이드 강화 대두유의 색도는 대조구보다 명도는 낮았지만 높은 적색도와 황색도값을 보였다. 대두유의 산화 및 가열 안정성에 대한 초음파 처리와 감 껍질 유래 카로티노이드의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로티노이드 강화 대두유의 점도와 활성화 에너지는 대조구보다 약간 높았다. 이로써 감 껍질에 초음파-대두유 용매 추출법을 적용하여 황적색의 카로티노이드 강화 대두유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이는 일반 유지 대체제는 물론 첨가물로서도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감과피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Persimmon Peel Powder)

  • 임현숙;차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20-630
    • /
    • 2014
  • Traditionally, the persimmon Gojongsi (Diospyros kaki Thunb) is peeled to make dried persimmons and the skins are thrown away.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persimmon peel powder were tested for recycling of the persimmon peels. The amounts of persimmon peel powder added to the cookies were about 0, 5, 7, 9 and 11%. The densities of the cookies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persimmon peel powder containing experimental group were 1.25 and 1.25~1.37 respectively. The pH was 6.02 for the control group and 5.95~6.01 for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isture content were observed between groups at 3.34 and 2.16~3.31 for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respectively (p<0.05). The spreadabilities and loss rates of the cookie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persimmon peel powder (p<0.05). In contrast, the loss rates and leavening rate of the cooki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decreasing amounts of persimmon peel powder (p<0.05). The lightness of the cookies showed significant decrease (p<0.05), while the red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persimmon peel powder. The hardness (kg) of the control group was 0.847 while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0.904~1.110. In the QDA, the results of sensory characteristic analysi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earned 11% higher scores for color, flavor, taste, and bitterness, 7% higher for appearance and 9% higher for after taste. The consumer acceptance test revealed the experimental group to have a 7% more positive evaluation for color, favor, taste and texture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grounds of the experiment above, the optimal mixture ratio from the sensory test was found to be 7% persimmon peel powder in the cookies.

고종시 감껍질의 추출조건에 따른 항산화 활성 (Changes in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Persimmon Peel Extracts Prepared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정명진;진순우;화성용;방희옥;한동문;전지영;화세경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86-193
    • /
    • 2019
  • Background: 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cv. Kojongsi) peels are by-products of dried persimmon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Kojongsi persimmon peel (KPP) extracts prepared by 15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5 heating durations (0.5 - 2.5 h) at 3 heating temperatures (50, 70, and $90^{\circ}C$). Methods and Results: An increase in heat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antioxidant effect of KPP extracts. Those prepared by heating at 1 h ha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regardless of the heating temperature. In addition,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ell-protective effects against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were dependent on the total phenol contents of the extract. However, the KPP-induced increased in catalase expression was dependent on heating temperature and dura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ion by heating at $90^{\circ}C$ for 1 h may enhance KPP's antioxidant effects, which mainly involve non-enzymatic antioxidant systems.

감껍질 열수 및 초임계 유체 추출물의 항아토피 효과 (Anti-atopic Effect of Hot Water an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Fluid Extract of Persimmon (Diospyros kaki) Peels)

  • 조병옥;윤홍화;방숭주;신재영;하혜옥;김상준;정승일;장선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94-40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고종시 감껍질을 열수 추출 및 초임계 유체 추출하여 아토피 피부염 증상 억제 효과를 밝히고, 항염 효능을 나타내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육안 평가를 통해 피부의 홍반(erythema), 가려움과 피부의 건조상태(pruritus and dry skin), 부종과 혈종(edema and excoriation), 짓무름(erosion), 그리고 태선화(lichenification)와 같은 아토피 피부염 같은 증상이 AD 모델에서 증가하였지만, SPPE와 PPWE를 투여하였을 경우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PPE가 PPWE보다 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다. 피부 두께와 염증 세포의 침윤은 AD 모델에서 크게 증가하였지만, SPPE와 PPWE를 투여하였을 경우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PPE가 PPWE보다 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다. 혈청 중의 IgE와 IL-4의 수치를 측정한 결과, AD 모델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나 SPPE와 PPWE를 투여하였을 경우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PPE가 PPWE보다 더 뛰어나게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RAW264.7 세포에 SPPE를 처리하였을 경우 염증 매개 인자인 NO, $PGE_2$, IL-6, IL-$1{\beta}$의 생성량이 유의적의로 감소하였고, PPWE의 경우 NO, $PGE_2$, IL-$1{\beta}$의 생성을 억제한 반면 IL-6 생성 억제에는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염증 매개 인자 억제 효능은 SPPE가 PPWE보다 더 뛰어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감껍질 추출물은 아토피 피부염 증상 개선과 염증관련 질환 치료를 위한 기능성 천연물 소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품종별 감피의 화학적 성분 특성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of Persimmon Peels According to Cultivars)

  • 김숙경;임정현;김영찬;김미연;이병우;정신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70-76
    • /
    • 2005
  • 곶감 원료용 떫은감(상주둥시, 고종시, 월하시, 청도반시, 함안수시, 평핵무, 횡야)의 과피로부터 유용성분 및 카로티노이드, 총페놀 등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감피의 일반성분 조섬유를 제외하고는 품종별로 차이가 없었다. 유리당으로는 glucose, fructose, sucrose가 확인 되었으며, $Myristic\;acid(C_{14:0}),\;palmitic\;acid(C_{16:0}),\;palmitoleic\;acid(C_{16:1})\;oleic\;acid(C_{18:1})$$linolenic\;acid(C_{18:3})$가 주된 지방산으로 확인되었다.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244.84-371.45 mg/100 g이고,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3.69-28.31 mg/100 g이었다. 감피의 식이섬유중 불용성 식이섬유가 34.89-50.76 g/100 g으로 가용성 식이섬유(2.44-7.09 g/100 g)보다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retinol equivalent(R.E.)은 20.02-60.60 mg/100 g이었으며, 비타민 C는 24.69-106.01 mg/100 g으로 품종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다.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상주둥시가 340.6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총페놀 함량에서도 44.07-196.98 mg/100 g으로 품종간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감피는 카로티노이드, 식이섬유, 페놀화합물 등 유용성분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