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immon leaf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33초

감잎분말을 첨가한 냉면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aengmyon Added with Persimmon (Diospyos kaki L. folium) Leaf Powder)

  • 남성구;이보수;박주석;이원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37-343
    • /
    • 2006
  • 본 연구는 국내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감잎을 냉풍건조시켜 분말화하여 첨가한 냉면의 반죽과 숙면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수분결합능력은 무첨가구와 감잎 분말첨가구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아밀로그래프 상에서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 도달시간은 감잎분말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증가하였고, 최고점도와 최종점도는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감소하였다. 면의 조리적성에서 조리 후의 무게는 무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며 감잎분말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증가하였고, 감잎분말 첨가량에 따른 부피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조리 손실율과 탁도는 무첨가구가 가장 낮았으며, 감잎분말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감소하였다. 숙면의 색도는 무첨가구의 L값과 a, b값이 가장 높고, 감잎분말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낮아졌다. 색차는 감잎분말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증가하였으나 6, 8, 10%에서의 색차는 변화가 없었다. 조리면의 조직감은 측정한 결과 hardness, adhesiveness, cohesiveness, springess, gumminess의 값은 감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갈이 감소하였다. 관능 검사결과는 color, flavor, texture, taste, overall acceptance 모두 무첨가구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4%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 특성을 종합한 결과 산업화를 위한 냉면에 감잎을 첨가한 4%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감잎차와 녹차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비교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ersimmon Leaf Tea and Green Tea)

  • 임정호;김범근;박찬은;박기재;김종찬;정진웅;정승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97-804
    • /
    • 2008
  •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즐겨 마시는 차로 이용되고 있는 감잎을 시료로 택하여 실제 음용 조건으로 추출하여 일반 성분, 클로로필 및 총 페놀 함량을 분석하였고, 전자공여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 ACE 저해도, SOD 유사 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녹차와 비교하였을 때 비슷한 수준의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CE 저해도 역시 50%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SOD유사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오히려 녹차보다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항균 활성의 경우 4가지 균주 모두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Staphylococcus aureus를 제외한 3가지 균주(Listeria monocytogenes, Escherichia coil, Salmonella typhimudum)에 대해서는 녹차 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감잎차를 위한 품종별 감잎생산력과 성분분석 (Analysis of Components and Leaves Yield by Cultivars for Persimmon Leaf Tea)

  • 노영균;박석희;장성호;성전중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9-102
    • /
    • 2000
  • Comparing and analysing the productivity and the main ingredients of persimmon leaves by cultivars were conducted to improve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the per-simmon leaf tea. As a result of the survey, Dungsi was decidedly good in growth co-ndition of survival rate, stem diameter and the number of shoots etc. Also , DUngsi had the highest leaf productivity of 567 leaves and the leaf weight of 1.98 kg per one plant after three years of planting . On accounts of productivity, ingredient analysis and panel test etc. we collectively through that Dungsi was the best cutltivar for the persimmon leaf tea.

  • PDF

뽕잎과 감잎분말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지방산화, 아질산염, 염기태질소화합물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mulsion-type Sausages Containing Mulberry Leaf and Persimmon Leaf Powder on Lipid Oxidation, Nitrite, VBN and Fatty Acid Composition)

  • 이제룡;정재두;이정일;송영민;진상근;김일석;김회윤;이진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8
    • /
    • 2003
  • 본 연구는 유화형 소시지에 뽕잎 및 감잎분말을 각각 0.04와 0.08% 수준으로 첨가하여 지방산화, 잔존 아질산염 함량, 휘발성 염기태질소(VBN)함량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지방산화도를 나타내는 TB-ARS는 저장 45일까지 대조구와 뽕잎 및 감잎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저장 60일에는 뽕잎 및 감잎분 말 0.04% 첨가한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TBARS를 나타내었다. 잔존 아질산염 함량은 뽕잎 및 감잎 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가 낮게 나타났다. 휘발성 염기태질소 ;VBN)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구와 뽕잎 및 감잎분말을 첨가한 소시지 모두 증가하였다. 지방산 조성은 뽕잎 및 감잎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가 PUFA/SFA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에서 뽕잎과 감잎분말을 첨가하여 유화형 소시지를 제조하였을 때 휘발성 염기태질소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소시지의 지방산화를 감소시키면서 잔존 아질산 염을 낮추는 기능성 있는 제품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감잎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이 한국인 위암 세포주에 미치는 항암효과 (Anticancer Effect of Persimmon Leaf Extracts on Korean Gastric Cancer Cell)

  • 김호정;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2호
    • /
    • pp.133-146
    • /
    • 200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 vitro and in vivo anticancer effects of persimmon leaf extracts on human gastric cancer cells. In vitro anticancer effects of persimmon leaf extracts (water extract at 8$0^{\circ}C$ for 3 hours, water extract at room temperature for 48 hours, 50% ethanol extract at 8$0^{\circ}C$ for 3 hours, 50% ethanol extract at room temperature for 48 hours, 75% ethanol extract at 8$0^{\circ}C$ for 3 hours and 75% ethanol extract at room temperature for 48 hours) on SNU16 (Korean gastric cancer cell) were investigated by MTT assay. Persimmon leaf extracts exhibited strong in vitro anticancer effects. We found that the higher the ethanol content of the solvent, the stronger the in vitro anticancer effects. Extraction yields, contents of flavonoids, vitamin A, vitamin C and vitamin E were measured. We found that the higher the ethanol content of the solvent, the higher the extraction yields and the contents of flavonoids, vitamin A and vitamin E. Among persimmon leaf extracts, 75% ethanol 8$0^{\circ}C$ extract showed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the highest contents of flavonoids, vitamin A and vitamin E and exhibitied the strongest in vitro anticancer effect on SNU16. Therefore, 75% ethanol 8$0^{\circ}C$ extract was chosen as the material to investigate in vivo anticancer effects. In vivo anticancer effect of persimmon leaf 75% ethanol 8$0^{\circ}C$ extract was investigated in SNU16 transplanted nude mice. Twenty five female nude mice (BALB/c) were block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ht and raised for 4 weeks with diets containing 4% (w/w), 8% (w/w) persimmon leaf 75% ethanol 8$0^{\circ}C$ extract, with IT (intratumoral) injection treatment with 1.65 mg/100 $\mu$1, 3.3 mg/100 $\mu$1 concentration every other day 3 weeks after SNU16 was transplanted. Persimmon 75% ethanol 8$0^{\circ}C$ extract significantly lowered tumor weight and tumor volume in SNU16 transplanted nude mice. Tumor weight and tumor volume in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Helper T cell (CD4) levels of mice injected with 3.3 mg/100 $\mu$1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Cytotoxic T cell (CD8) levels in all experimental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helper/cytotoxic T cell ratios in all experimental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Natural killer cell and MHC class II molecule in all experimental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clusion, persimmon leaf 75% ethanol 8$0^{\circ}C$ extract exhibited strong in vitro and in vivo anticancer effects against SNU16 cells and it increased cytotoxic T cell, natural killer cell and MHC classII molecule in experimental groups in SNU16 transplanted nude mice.

감나무 둥근무늬낙엽병의 발생과 병원균(Mycosphaerella nawae)의 전염원 동태 (Ecology of Disease Outbreak of Circular Leaf Spot of Persimmon and Inoculum Dynamics of Mycosphaerella nawae)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209-216
    • /
    • 2004
  • The circular leaf spot of persimmon is occurred almost every place where persimmon is cultivated, especially the disease outbreak severely in southern part of Korea. The disease reveals unusually long incubation period after pathogen invade into leaf tissue and no practical control measure is available once the symptom has appeared. Most of the farmers just follow the suggested spray schedules calculated on the basis of weather condition of ordinary years. Therefore the damages due to circular leaf spot greatly differ year after year. In this article, we tried to describe and summarized the investigation on the circular leaf spot pathogen, Mycosphaerella nawae, related to disease outbreak such as overwintering of pathogen, inoculum formation and spread, incubation period after infection, and secondary inoculum. With the summary of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disease cycle of circular leaf spot of persimmon. The pathogen overwinters in diseased leaves as mycelial form or pseudoperithecial premodium. The pseudoperitheria become matured in spring as the temperature raise and forms asci and ascospores. The maturation of pseudoperithecia are closely related to the temperatures during March and early April. The ascospores completely mature in early May and the ascospores released when the pseudoperithecia absorbed enough moisture after rainfall. The release of ascospores are diverse greatly with the variation of maturity of pseudoperithecia. Generally the spore start to release from middle of May to early of July. Duration of ascospore release is depend on the weather condition of particular year, especially amount and number of precipitation. The ascospores produced from pseudoperithecia is known to the only inoculum for circular leaf spot disease. But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our investigations, the conidia formed on the lesions which incited by natural infection. This conidia are infectious to persimmon leaves and formed identical symptom as natural infection. The time of producing secondary inoculum of circular leaf spot of persimmon is considered too late to develop new disease. Generally the importance of secondary inoculum is low but the conidia produced in early September are competent to develop new disease and new infection also significantly affect to harvest of persimmon. The importance of circular leaf spot disease is recognized well to farmers. The approaches to control of the disease should be initiated on the basis of the knowledges of inoculum dynamics and ecology of disease development. The forecasting system for circular leaf spot is need to be developed.

뽕잎과 감잎분말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Emulsified Sausages containing Mulberry and Persimmon Leaf Powder)

  • 이제룡;하영주;이진우;송영민;진상근;김일석;하경희;곽석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0-336
    • /
    • 2002
  • 뽕잎과 감잎분말을 이용하여 유화형 소시지를 제조하여 소시지의 품질특성을 기존의 소시지와 비교함으로써 뽕잎 및 감잎을 이용한 소시지의 품질수준을 검토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소시지의 조지방 함량은 감잎분말 0.08% 첨가 구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소시지의 pH값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조구와 뽕잎 및 감잎분말을 첨가한 소시지 모두 감소하였다. 소시지의 명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뽕잎과 감잎분말 첨가구가 다소 높은 명도를 나타내었다. 적색도는 명도와는 달리 대조구에 비하여 뽕잎과 감잎분말 첨가구가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저장 45일을 제외하고는 뽕잎분말 0.08% 첨가구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황색도는 뽕잎 및 감잎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P<0.05), 뽕잎 및 감잎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간에는 뽕잎분말 0.08%을 첨가한 소시지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경도는 뽕잎과 감잎분말 0.04%첨가한 소시지가 대조구와 뽕잎 및 감잎분말 0.08%첨가한 소시지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관능검사 결과, 저장 60일에 색도, 향미, 연도 및 전체기호도는 대조구와 뽕잎 및 감잎분말을 첨가한 소시지 모두 차이가 없었다. 이상에서 뽕잎 및 감잎분말을 0.04∼0.08%첨가하여 유화형 소시지를 제조하였을 때, 제품의 일반성분, 색도, 경도 및 관능평가에서 대조구와 차이를 보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데 대한 연구가 더욱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처리 조건이 감잎차의 품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s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Persimmon Leaf Tea)

  • 김미자;오상룡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35-441
    • /
    • 1999
  • 찌는 시간을 달리하여 절단한 차는 색과 향이 3분과 5분간을 찐 후 절단하였을 때 우수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 추출 수율이 증가됨에 따라 맛의 기호성은 증진되었고, 탁도와 갈색도, 색도의 증가는 색깔의 기호성을 증진 시켰다. 3분간 찐 후 절단하여 시간별로 볶은차와 5분간 찐 후 절단하여 시간을 다르게 볶은차는 전체적 기호성이 5분간 볶았을 때 우수하였고, 가용성 고형분 함량, 추출수율, 탁도, 갈색도, 전체 색도는 볶는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되는 양상이었다. 전처리 과정의 최적화를 찾기 위하여 최적 볶음 시간 5분을 고정시키고 전처리 과정으로 시간별로 찐 후 절단하여 볶은차의 전체적인 기호성은 3분간 쪘을 때 우수하여 볶은차의 기호성은 전처리 과정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과들을 살펴보면 감잎차는 찐차보다 볶은차의 기호도가 관능검사에서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처리 과정에서 3분간 찐 후 절단하고 볶은시간은 5분동안 볶은 감잎차의 기호성과 품질평가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감잎의 처리방법과 추출조건에 따른 감잎차의 Vitamin C와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의 변화 (Changes of Vitamin C and Superoxide Dismutase(SOD)-like Activity of Persimmon Leaf Tea by Processing Method and Extraction Condition)

  • 박윤주;강명희;김종익;박옥진;이미숙;장해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81-285
    • /
    • 1995
  • 감잎차의 효과적인 제조법 및 음용방법을 조사하기 위해 세가지 방법(재래식, 증자법, 발효법)에 의해 감잎으로부터 감잎차를 제조하여 vitamin C와 SOD 유사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Vitamin C는 발효법에 의해 제조된 감잎차에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이 수치는(551.85 mg%) 생감잎에 들어 있는 vitamin C의 (1173.67 mg%) 47%에 해당하는 양이며 재래식 및 증자법에 의한 감잎차에 대해 각각 42배, 8배나 되는 많은 양임이 밝혀졌다. 반면 SOD 유사활성은 재래식(833.33 SOD unit/g)과 발효법(816.33 SOD unit/g)에 의해 제조된 감잎차가 증자법(754.72 SOD unit/g)에 비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절대 수치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추출온도와 시간에 따라 증자법 감잎차의 vitamin C는 온도에 상관없이 추출시간의 증가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였다. 발효법 감잎차는 $60^{\circ}C$$70^{\circ}C$에서는 추출량이 시간의 증가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80^{\circ}C$$90^{\circ}C$에서는 추출시간 5분까지는 증가하고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발효법 감잎차의 vitamin C의 최적 추출조건은 $80^{\circ}C$$90^{\circ}C$에서 3분과 5분이었고 $70^{\circ}C$에서는 5분과 10분 그리고, $60^{\circ}C$에서는 10분이었다. 재래식 감잎차의 vitamin C는 그 양이 적어 실험에 사용된 DNP법에 의해서는 측정할 수 없었다. SOD유사활성을 살펴볼 때 재래식 및 증자법 감잎차는 추출시간에 따라 $80^{\circ}C$$90^{\circ}C$에서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발효법 감잎차는 $80^{\circ}C$$90^{\circ}C$에서 증가${\rightarrow}$감소${\rightarrow}$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재래식 및 증자법에 의한 감잎차보다 $80^{\circ}C$$90^{\circ}C$ 경우 추출시간에 관계없이 모든 조건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SOD 유사활성 물질의 최적 추출조건은 3분과 10분이었다.

  • PDF

감나무 둥근무늬낙엽병균 Mycosphaerella nawae의 불완전 세대 동정 (Identification of the Imperfect Stage of Mycosphaerella nawae Causing Circular Leaf Spot of Persimmon in Korea)

  • 권진혁;강수웅;박창석;김희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397-401
    • /
    • 1998
  • Asexual spores of Mycosphaerella nawae were profusely produced on PDA after a prolonged incubation at $25^{\circ}C$ for 90 days. When persimmon trees were artificially inoculated by the conidial suspension, typical symptoms of circular leaf spot of persimmon appeared on the leaves two month later. The imperfect stag of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Ramularia sp. based on follow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examined under a light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Conidia were mostly ellipsoid, but occasionally cylindrical, elongated oval, taro, peanut or gourd shapes and measured as 12.2~32.6$\times$6.1~10.2 ${\mu}{\textrm}{m}$. erect, hyaline, colorless-light brown. Conidia were formed solitarily or in chains on a medium and infected leaves. Conidiophore was erect, hyaline, colorless-light brown. and the size was 20.4~102.0$\times$3.1~10.2 ${\mu}{\textrm}{m}$, respectively. In this paper, we firstly demonstratrated that asexual spores of M. nawae induced persimmon circular leaf spot in nature as well as sexual spores of the fungus. Therefore, it is hypothesized that the imperfect stage of the fungus plays an important role in nature for epidemics as secondary inocul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