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oxidase isozyme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9초

완두 발아시 Polyamine 함량 변화 및 Peroxidase Isozyme 양상 (Peroxidase Isozyme Pattern and Polyamine Contnts in Germinating Peas (Pisum staivum))

  • 표병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4호
    • /
    • pp.307-312
    • /
    • 1993
  • In germinating pea, contents of enodgenous polyamine in the leaf and stem were determined, and protein content, peroxidase activity and pattern of isozymes were examined in the leaf treated with polyamines. During growth of the pea for 14 days in light condition, the polyamines in leaf and stem showed the highest level at the 5th day, and were decreased rapidly at the 7th day, kept almost constant level since then. The putrescine level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spermidine and spermine, and cadaverine was also detected. On the other hand, in the leaf treated with spermine (0.01 mM) protein content increased about 250%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peroxidase activity increased ore than 100% in spermine of 0.01 mM and 0.1 mM. In treating with putrescine of 0.1 mM the pattern of peroxidase isozyme appeared 4 new cathodic bands (pI 4.8, 5.6, 5.9 and 6.8)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 clear cathodic bands (pI 5.6, 5.9, 6.4 and 6.6) were also observed in spermine of 0.1 mM.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yamines were important factor in the differentiation of pea at the early stage of germination.

  • PDF

Enzymatic Properties of Fast-migrating Cationic Peroxidase Isozyme from Rice Callus

  • Yoo, Kyung-A;Lee, Mi-You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39-44
    • /
    • 2002
  • The fast-migrating cationic peroxidase isozyme, named RC3, was purified from rice (Oryza sativa cv. Nak-Dong) callus. Purification of the enzyme was accomplished by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CM-cellulose ionexchange chromatography, and Sephacryl S-100 gel filtration. The molecular mass of the enzyme was about 34 KDa as determined by SDS-PACE and 38 KDa by Sephacryl-100 gel filtration. The pI value of the enzyme was 8.9. Antiserum against RC3 was raised in rabbits, and anti RC3 antiserum reacted with RC3 isozyme by Ouchterlony double immunodiffusion. The optimum pHs and Km values of the enzyme for various substrates were determined. Kinetic studies with various substrates showed that RC3 had very low Km value of 0.01 mM for ferulic acid and ascorbic acid. However, the enzyme did not use esculetin as a substrate.

한국산 느타리버섯(Pleurotus spp.)의 전기영동 Isozyme Band Pattern 비교 -I. Homogeneous Gel- (Comparison of Electrophoretic Isozyme Band Pattern of Pleurotus spp. in Korea -I. Homogeneous Gel-)

  • 박용환;변명옥;등정부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7-94
    • /
    • 1988
  • 한국산 느타리버섯 균주의 균사, Primordia, 갓, 줄기의 전피영동 isozyme 패턴을 비교한 결과 자실체중 Primordia, 갓, 줄기의 패턴은 모두 아주 유사하였으나 균사의 패턴은 자실체의 것과 많은 차이가 있었다. 자생지역이 다른 한국산 Pleurotus ostreatus의 전기영동 isozyme 패턴중 Malate Dehydrogenase, Acid phosphatase는 유사하였으나 Esterase, Peroxidase, Leucine amino peptidase, Superoxide Dismutase의 패턴은 차이가 있었다. Pleurotus osteatus, P. cornucopiac, P. florida의 종간 Esterase 밴드 패턴은 많은 차이가 있어 전기영동에 의한 느타리버섯 종의 가능하였다.

  • PDF

Gibberellic acid가 수도의 Isozyme pattern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bberellic acid on Isozyme Pattern of Rice Plant)

  • 박원목;이용세;손응룡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9-45
    • /
    • 1984
  • 본 실험은 수도의 유전연구에 전기영동법을 도입함에 있어 기초조사를 하기 위하여 수도 조직내의 몇가지 산소가 부위별로 차이가 있는지 또한 생장 조절제인 GA를 처이함으로 같은 산소의 동위효소 pattern이 변하는지 '아끼바레'와 '유신' 두 품종을 사용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Isoelectrofocusing에 의한 종자, Shoot, Root의 Esterase, Phosphatase, Amylase 동위효소 pattern은 두 품종 모두 조직부위별로 다른 pattern을 보였다. 2. 7% polyacrglamide slab gel electrophoresis에 의한 Peroxidase 동위효소 pattern도 두 품종 모두 조직부위별로 다른 Pattern을 보였다. 3. GA(10/sup -5/)을 처리했을 경우 Esterase 동위효소 pattern은 '아끼바레'의 root와 '유신'의 shoot, root에서 대조구와 차이가 있었으며 Phosphatase의 동위효소 pattern은 '아끼바레'의 root에서 차이가 있었다. Amylase와 Peroxidase의 동위효소 pattern은 대조구와 GA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리기다소나무의 수용추출액이 무 종자의 발아과정에서 단백질과 동위효소 패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queous Extracts of Pinus rigida on Protein and Isozyme patterns during Radish Germination)

  • 김용옥;이호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6호
    • /
    • pp.771-777
    • /
    • 1998
  • Aqueous extracts of Pinus rigida changed the electrophoretic patterns of total proteins and of hydrolytic enzymes such as peroxidase, esterase and amylase during the germination of radish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When the extract treatment was finished, at the late stage of radish germination, aqueous extracts of P. rigida had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24 KD and 60 KD proteins. the extract induced new isozyme bands, indicating concomitant activity of peroxidases, esterase activities were stimulated in the cathodic region. The activity of amylase was enhanced by the extract.

  • PDF

사과 Peroxidase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uji Apple Peroxidase)

  • 지완정;조남숙;김인철;박관화;최언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42-446
    • /
    • 1991
  • Fuji 사과로부터 acetone 처리 및 CM-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3개의 peroxidase isozyme(peak I, II, III)을 분리하고 isoelectric focusing에 의하여 pI값이 각각 3.80, 8.82, 8.35임을 확인하였다. Peroxidase isozyme의 최적 pH는 guaiacol과 $H_{2}O_{2}$를 기질로 하였을 때 peak I이 pH5.0, peak II, III은 pH5.5 이었으며 최적온도는 peak I, II, III 모두 $40^{\circ}C$이었다. $70^{\circ}C$에서 각 isozyme의 D값은 660초, 1,320초, 600초로서 peak II isozyme이 가장 열에 안정하였다. 당(0.032 M)의 존재하에서는 sucrose와 lactose는 효소의 열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fructose와 glucose는 열안정성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이는 환원당과 효소단백질의 상호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벼의 관수시 Peroxidase 활성도 및 Banding Pattern의 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s of Peroxidase Activites and Banding Pattern of Rice Plants under Flooding)

  • 강양순;남민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70-273
    • /
    • 1989
  • 벼 품종의 관수저항성 관련 특성을 검토코자 24일묘를 3일간 관수처리하여 뿌리와 엽신의 POD 비활성도 및 POD 동위효소들을 PAGIF법으로 전기영동하여 본 결과 관수저항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일본형품종들은 통일형이나 인도형품종들보다 POD 비활성도가 높았으며 또한 관수처리로 일본형품종들의 엽신부에서는 무관수시 어느 부위에서도 나타나지 않았던 POD 동위효소의 특이 band가 등전점 9부근에서 출현하였다.

  • PDF

녹두(綠豆)에서 Peroxidase 동위(同位) 효소(酵素)들의 분리(分離)와 효소적(酵素的) 특성(特性)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Isoperoxidases from Mung Bean Seedling)

  • 이상갑;박우철;홍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3호
    • /
    • pp.279-287
    • /
    • 1986
  • 발아초기(發芽初期) 녹두(綠豆)의 부위별(部位烈) peroxidase 활성(活性)은 뿌리가 타부위(他部位)보다 약 $1.5{\sim}3.5$배 더 높은 효소활성(酵素活性)을 나타내었으며 발아(發芽)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자엽(予葉), 뿌리에서는 효소활성(酵素活性)이 증가(增加)하다가 점차 감소(滅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인 반면에 타부위(他部位)에서는 계속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전기영동상(電氣泳動上) isozyme의 수는 발아(發芽),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모든 부위(部位)에서 계속 증가(增加)하여 활성도(活性度)와는 무관(無關)하게 발아(發芽) 후 6일(日)째에 가장 많이 나타났다. Ammonium sulfate에 의한 단백질(蛋白質)의 분획(分劃), Sephadex G-75 Column, DEAE-cellulose column한 결과(結果) isozyme A는 16배 정제(精製)되었으며, isozyme B는 조금도 순도(純度)가 증가(增加)되지 않았으며 isozyme A와 B의 전기영동상(電氣泳動上) Rm값은 각각(各各) 0.22와 0.62였다. isozyme A와 B 모두 PH5.6에서 최대(最大) 활성(活性)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반응최적온도(反應最適溫度)는 각각(各各) $65^{\circ}C$$70^{\circ}C$였으며, 열(熱)에 대해서도 비교적(比較的) 안정(安定)한 결과(結果)를 얻었다. Lineweaver-Burk Polt를 이용(利用)하며 Km값을 측정(測定)해 본 결과(結果) 0-dianisidine에 대한 isozyme A는 0.071mM, isozyme B는 0.052mM이었으며 $H_2O_2$에 대한 isozyme A는 0.28mM, isozyme B는 0.23mM이었다.

  • PDF

대두종자의 자반병 감염과 Peroxidase 활성도변화 (The Change of Peroxidase Activity in Soybean Seed Followed by Infection with Cercospora kikuchii)

  • 박원목;고영희;유영준;이장용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26
    • /
    • 1982
  • Cercospora kikuchii에 의해서 발병된 대두종자의 부패균에 대한 획득저항성기작을 구명코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 대두의 건전종자, 자연열개종자, 인위적 상처종자 및 자반병 감염종자재의 전단백질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peroxidase활성도는 감염종자에서 월등히 높았다. 2. 대두의 건전종자와 자반병 감염종자의 종피 및 자엽내의 단백질함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peroxidase활성도는 자엽에서는 차이 가 없었으나 종피에서 건전한 종피보다 자반병에 감염된 종자가 2.5배 정도 높은 활성도를 보였다. 3. Polyphenol oxidase는 대두의 건전종자의 자반병 감염종자 모두 활성도가 너무 낮아 측정할 수 없었다. 4. 전기영동에 의한 peroxidase isozyme pattern은 건전종자와 감염종자간에 차이가 없었다. 5. 자반병에 대한 저항성기작은 자반병균에 의하여 대주종피 자체내에서 생화학적 방어기작이 더욱 활성화 하였으며 peroxidase활성도의 증가는 병원균에 대한 반응으로 사료된다.

  • PDF

대두 기내 배양체의 분화에 대한 생화학적 성분의 변화와 특성 : (I) 대두 기내 배양체의 분화에 대한 단백질, 아미노산 및 peroxidase 동위효소의 변화와 특성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iochemical components on the differentiation of soybean cell tissue cultures: (1)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teins, amino acids and peroxidase isozymes on differentiation of soybean cell tissue cultures)

  • 남상해;최상욱;양민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34-141
    • /
    • 1991
  • 대두의 조직배양에서 배양기간중 생화학적 대사산물의 변화와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개화후 15일된 미숙자엽을 채취하여 기내에서 3주간 배양하였다. 이때의 배양체를 embryogenic callus(EC)와 non-embryogenic callus(NEC)로 구분하였다. EC의 일부는 다시 3주간 계 대배양하여 root forming cultures(RFC)와 shoot forming cultures(SFC)로 구분하였으며, EC의 또 다른 일부는 원형질체의 분리에 사용되었으며, 분리된 원형질체는 4주간 배양하였다. 이때 유기된 배양체를 protoplasts로부터 유기된 embryogenic callus(PEC)와 non-embryogenic callus(PNEC)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배양체에 대하여 단백질 및 그 아미노산조성을 조사한 결과, 아미노산의 조성 은 NEC와 PNEC에서보다 EC와 PEC에 서 methionine의 함량이 현저히 낮은 반면, phenylalanine의 함량이 높았다. 단백질의 양상은 EC에서는 18KD, NEC에서는 22KD 정도에서 차이가 났다. 또한 각각의 배양체에 대한 peroxidase 동위 효소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EC와 PEC에서는 peroxidase isozyme A(piA)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RFC와 SFC에서는 peroxidase isozyme B(piB)의 활성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