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seed and oil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8초

성숙이 빠르고 기름함량이 높은 종실용 들깨 신품종 '안유' (A New Perilla Cultivar for Edible Seed 'Anyu' with Early Maturity and High Oil Content)

  • 이명희;하태정;정찬식;배석복;황정동;한상익;박장환;박금룡;이석기;박충범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8-221
    • /
    • 2010
  • '안유'는 종실수확을 목적으로 하는 품종육성을 위하여 YCPL1824를 모본으로 하고, SF9225-3-1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한 SF98024-2B-4-1-2-2 계통으로 계통명은 밀양46호이며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안유'는 잎모양은 피침형이며, 엽뒷면색이 자색이고, 화색은 자색, 종자는 진갈색의 구형이다. 2. 노지재배시 경장이 120 cm로 경장이 낮아 도복에 유리하며 화방군수가 많고 화방군장이 길다. 3. 기름함량이 44.7%로 표준품종인 새엽실들깨에 비하여 높고 리놀렌산은 61.2% 함량을 가지고 있다. 4. '안유'는 '00~'01년 2개년간 하계에 생산력검정시험을 실시한 결과 평균 수량 1.21 MT/ha로 표준품종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5개 지역에서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에서는 0.99 MT/ha로 표준품종의 82% 수준이었다.

Delta 15 desaturase 유전자 억제에 의해 알파리놀렌산 함량이 낮은 들깨 육성 (Development of Perilla frutescens with Low Levels of Alpha-Linolenic Acid by Inhibition of a delta 15 desaturase Gene)

  • 김경환;이경렬;김정봉;이명희;이은경;김년희;이홍석;김송림;백정호;최인찬;지현소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63-471
    • /
    • 2018
  • 들깨는 우리나라에서 재배되어온 대표적인 유지작물로 지질의 함량 중 알파리놀렌산의 함량이 60% 전후로 불포화도가 높아서 산패가 쉽게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알파리놀렌산은 소포체 유래의 ${\Delta}15$ desaturase (FAD3)와 엽록체 유래의 ${\Delta}15$ desaturase (FAD7)에 의해서 합성된다. 엽록체 유래의 FAD7 유전자 발현의 손상없이 종자의 알파리놀렌산 함량을 낮추기 위해 소포체 유래 FAD3 유전자를 RNAi기법을 이용하여 발현을 억제하였다. 재배종인 엽실들깨의 배축을 이용하여 아그로박테리움 매개 형질전환법으로 제초제(바스타) 저항성을 가진 형질전환체 17개체를 획득하였다. 형질전환체는 0.3% (v/v) 바스타제초제를 이용하여 선발하였으며 Northern blot으로 FAD3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온실에서 수확한 12개체 종자 지방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알파리놀렌산 함량이 10-20% 2개체, 30-40% 7개체, 대조구와 비슷한 60%대 3개체를 획득하였다. 형질전환체의 $T_2$ 종자의 분리비와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동형접합체 계통에서 6-10% 알파리놀렌산 함량을 보였으며 이형접합계통은 20-26% 알파리놀렌산 함량을 나타내어 동형으로 고정시 FAD3 유전자 발현이 상당히 강력히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들기름의 지방산 중 알파리놀렌산 함량의 감소는 들깨의 산패를 방지하고 감마리놀렌산 등의 고가의 건강기능성 지방산 생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들께와 땅콩의 혼합 채유가 들기름의 이화학적 특성 및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Mixing Extraction of Perilla Seed and Peanut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Oxidative Stability of Perilla Oil)

  • 권용주;김충기;오현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212-1219
    • /
    • 1999
  • The oils were extracted from the mixture of roasted(for 20 min at 190oC) perilla seeds(RPS) and roasted (commercially) peanuts(RPN) by solvent extraction(SE) and mechanical expression(ME). The effects of mixing ratio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oxidative stability of their oils were investigated. Yields of both SE and ME oils were increased as the RPN ratio in the mixture increased. In all the SE and ME oils, the major fatty acids were ole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 and total saturated fatty acids increased gradually, but total unsaturated fatty acids decreased gradually as the RPN ratio in the mixture was increased. The specific gravity and refractive index of both SE and ME oils decreased as the RPN ratio in the mixture was increased. Acid value, saponification value and iodine value of SE oils decreased as the RPN ratio in the mixture increased, whereas acid value and iodine value of ME oils decreased and saponification value increased. The colors of ME oils were darker brownish than SE oils. The oxidative stability of SE oils was decreased as the RPN ratio in the mixture increased, whereas that of ME oils was increased. Sensory evaluation of all the oils extracted from the mixture with various mixing rati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avor, taste, color and overall acceptance(p<0.01). The oil extracted from the mixture of the mixing ratio of 8:2(RPS:RPN) showed slightly higher preference regardless of extraction method.

  • PDF

들깨 개화후기 질소추비가 수량 및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Top Dressing at Late Flowering Stage on Yield and Chemical Components in Perilla)

  • 배석복;이명희;황정동;심강보;김성업;이춘기;백인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97-400
    • /
    • 2012
  • 유진들깨의 개화기 후 5일에 시용한 질소 추비(4 kg/10a)를 통해 생육특성과 단백질 함량, 지방 함량과 지방산 조성 등을 조사하여 들깨의 수량성과 품질 향상의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등숙기의 추비는 대조구에 비해 경장과 주경 마디수, 가지수, 경직경 등에서는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성숙기가 1일 늦었고, SPAD 값은 48.6으로 대조구보다 85% 더 높고 농녹색을 성숙후기까지 유지하였다. 2. 추비구의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서 화방군길이, 화방 군수, 군당삭수는 근소하게 더 많았으나 1000립중이 3.4 g으로 대조구 보다 0.8 g 더 무거워 종실수량은 123 kg/10a로 60% 더 많았다. 3. 추비구의 단백질함량은 33.3%로서 대조구 보다 11.5%나 많았으며 국내 유전자원 17.9~28.5%(Park, 1996) 범위를 능가하였으며 기름함량은 48.4%로서 6.2%나 더 높아 추비효과가 있었다. 4. 추비에 따른 지방산 조성은 대조구에 비해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이 감소하였고, 불포화지방산에서 linolenic acid와 oleic acids는 감소하였으나 linoleic acid는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5.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들깨의 등숙기는 최적생육량과 연계한 적정질소추비는 수량성과 품질 향상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Variation of Caffeic acid, Rosmarinic acid, Luteolin and Apigenin Contents in Perilla Germplasm

  • Lee, Myoung-Hee;Jung, Chan-Sik;Pae, Suk-Bok;Hwang, Chung-Dong;Park, Chang-Hwan;Shim, Kang-Bo;Park, Keum-Yong;Kim, Hyun-Kyung;Park, Soon-Ki;Ha, Tae-Joung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91-396
    • /
    • 2009
  • Perilla frutescens, which belonging to the Labiatae family, is widely cultivated oil crop and have been used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n East Asia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Especially, the leaves and the seeds of this species are important in Korean traditional cooking, as one of the popular garnish and food colorants. Numer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the beneficial health effects of perilla are due to its several phytochemicals contents, such as rosmarinic acid, caffeic acid, luteolin, and apigenin. For this reason, increasing the content of phytochemicals in perilla hasbecome a major breeding objective. The genetic diversity of the rosmarinic acid, caffeic acid, luteolin, and apigenin content in perilla seed is poorly documented. We analyzed the rosmarinic acid, caffeic acid, luteolin, and apigenin content of 203 accessions of perilla germplasm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rosmarinic acid and luteolin contents ofgermplasms were ranged from $15.7{\mu}g/g$ to $2717.1{\mu}g/g$ and from $1.6{\mu}g/g$ to $582.4{\mu}g/g$ respectively.

들깨 유전자원의 지방산 변이 및 rosmarinic acid와 caffeic acid의 함량에 따른 항산화 활성 비교 (Variation in Fatty Acid Composition, Caffeic and Rosmarinic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erilla Accessions)

  • 김다정;;정이진;전영아;이재은;이명철;이호선;이주희;성정숙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6-107
    • /
    • 2019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content of two major phenolic acids, caffeic and rosmarinic acids, of 45 Perilla accessions collected from Russia. Methods and Results: A total of 45 accessions of the genus Perilla were used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se accessions were analyzed using a spectrophotometer, and their caffeic and rosmarinic acid contents were determined using a reversed-phase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system. The Perilla seed oil was recovered using hexane in a soxhlet extraction method. The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analyzed using a Shimadzu QP2010 gas chromatography-mass spectoroscopy system. The results showed that accessions IT226732 and IT274300 had the highest content of caffeic and rosmarinic acid, respectively. A cluster analysis based on antioxidant assay results and concentration of phenolic acids led to the categorization of Perilla accessions into three major groups. The accessions in Group I were characterized by higher caffeic and rosmarinic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the accessions in the other two groups (p < 0.05). The total oil content ranged between 28.39 and 46.89%. The compositions of ole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 ranged from 11.83 to 19.55%, 11.92 to 16.71%, and 59.19 to 67.28%,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ccessions IT274300, IT226732, IT274293, IT235818, and IT235820 could be used as a source of functional materials.

국내 참깨와 들깨품종의 뿌리혹선충 저항성 검정 (Resistance of Sesame and Perilla Cultivars to Meloidogyne arenaria and M. incognita in Korea)

  • 하지혜;강헌일;은근;이재현;김동근;최인수
    • 식물병연구
    • /
    • 제22권3호
    • /
    • pp.184-189
    • /
    • 2016
  • 고부가가치 작물인 참깨와 들깨를 뿌리혹선충이 감염된 시설재배지에 윤작작물로 추천하기 위하여 참깨 10품종, 들깨 10품종, 총 20품종을 고구마 뿌리혹선충과 땅콩 뿌리혹선충을 대상으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참깨 10품종 모두 M. incognita에는 저항성이나 M. arenaria에는 감수성이었다. 들깨 10품종은 모두 두 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이었다. 참깨와 들깨를 시설재배지에 윤작작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참깨는 시설재배지에 감염되어있는 뿌리혹선충의 종을 먼저 동정하여, M. arenaria가 감염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고, M. incognita가 감염되어 있을 경우에는 윤작작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들깨는 2종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으로 이들 선충이 감염된 시설하우스에서 윤작작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남부지역 재래종 들깨의 작물학적 형질 (Agronomic Characters of Local Perilla Collect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 남상영;김인재;이철희;김태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5-159
    • /
    • 2003
  • 들깨 유전자원 특성평가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남부지역 들깨 196점을 수집 분석한결과 성숙일수는 104∼136일로 넓게 분포하였으며, 111∼130일이 96%로 대부분 이었고, 110일 이하와 131일 이상은 각 2% 이었는데, 111일 미만의 조숙종인 전남 나주$.$보성, 전북 고창 수집종의 3계통을 선발하였다. 경장은 71-157 cm로 수집종 간에 차이가 많았으며, 111∼130 cm가 41%로 가장 많았고,90 cm 미만 7%, 151 cm이상은 4%순 이었으며, 장경종인 전남 담양 수집종 등 7계통을 선발하였다. 5 cm 이상의 화방군수는 52∼291개로 수집종 간에 차이가 컸으며, 100-180개가 57.1%로 가장 많았고, 100개 미만과 221개 이 상은 각 13.3%이었는데, 전북 진안과 남원 수집종이 각각 291과 302개로 가장 많았다. 화방군당 삭수는 23∼56개 이었으며 ,26∼45개가 49.5%로 가장 많았다. 화방군장은 6∼20 cm로 분포하였고, 8∼14 cm가 62.8%로 가장 많았다 1,000립중은 2.4∼5.7 g으로 차이가 컸으며 ,3.1∼4.0g이 66.8%로 가장 많았고, 4.1∼5.0 g은 12.8% 이었다. 2.9 g이 하는 19.4%이었으며 ,5.1 g 이상은 전북 남원과 경남 창녕의 수집 종으로 1.0% 이었다.

Vitamin E의 기능규명을 위한 영양생화학적 및 병리학적 연구 - 들깨기름 식이를 섭취한 병아리의 헐청과 간의 Vitamin E 수준 및 간세포의 전자현미경 조사를 중심으로 - (A Nutritional and Pathobiological Inquiry into the Functional Role of Vitamin E -A Study on Levels of Vitamin E in Serum and Liver of the Chick fed Perilla oil diet and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Chick Hepatocyte-)

  • 이양자;조혜영;김정숙;한성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5권4호
    • /
    • pp.277-289
    • /
    • 1982
  • Because of a high degree of unsaturation of perilla seed oil vitamin E deficiency can be produced in chicks by using this particular oil diet. It is therefore convenient to use this oil for elucidating more detailed function (s) of vitamin E.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and pathological aspects both of high PUFA and of low vitamin E in the diet eventually to elucidate the function(s) of vitamin E.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PUFA, vitamin E and Se in the experimental diets by measuring vitamin E levels both in serum and in liver and activities of SGPT and SGOT and by examining electron micrographs of the chick hepatocytes. Vitamin E concentrations in serum and liver responded to dietary treatments. Serum levels of vitamin E were more affected than those in liver, the values of groups IV(15% fat,- Vit.E) and V(15% fat,-Vit E,-S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groups I (5% fat) and 111 (15% fat) with P/S ratio of 1. The activities of SGOT and SGPT were found not to be different significantly among different diet groups.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of the chick hepatocyte revealed degeneration of mitochondria and appearance of vesicles in the cytoplasm of groups fed diets high in PUFA and deficient in vitamin E alone or deficient in both vitamin E and Se. In the same group pyknotic nuclei and deterioration of the sinusoidal border, showing diminution in microvilli were also observed. More detailed studies concerning biochemical aspects should be carried out by using radioisotopes both in the in vitro and in vivo systems and morphological study should have a focus on the changes in nucleus which seems already suggestive in the present observation.

  • PDF

강원지역 재래종 들깨의 생육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Local Perilla Collected in Kangwon province of Korea)

  • 남상영;김인재;김민자;이철희;김태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3-218
    • /
    • 2004
  • 들깨 유전자원 특성평가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강원지역 들깨 42점을 수집 분석하였다. 성숙일수는 109∼140일 이었으며, 116∼130일이 95.2%로 대부분 이었고, 115일 이하와 131일 이상은 각 2.4% 이었는데, 109일로 조숙종인 양구군 수집종 1종을 선발하였다. 경장은 80∼140 cm로 수집품종 간에 차이가 많았으며, 111∼130cm가 54.8%로 가장 많았고, 111 cm 미만 28.6%, 131 cm 이상은 16.7%순 이었다. 5 cm 이상의 화방군수는 23∼120개로 수집품종간에 차이가 컸으며, 40∼70개가 57.2%로 가장 많았고, 40개 미만과 100개 이상은 각각 16.7%, 11.9%이었는데, 영양군 서면과 양양읍 수집종이 각각 118과 120개로 가장 많았다. 화방군당 삭수는 20∼40개 이었으며, 31∼35개가 38.1%로 가장 많았다. 화방군장은 5.1∼9.0 cm로 분포하였고, 6.1∼8.0 cm가 64.3%로 가장 많았다. 1,000립중은 1.7∼3.8g으로 수집품종간 차이가 컸으며, 2.4∼2.6 g이 35.7%로 가장 많았고, 3.0∼3.2 g은 19.1% 이었다. 3.8 g으로 가장 무거운 화천군 수집종 1종을 선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