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leaf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29초

Screening of Sclerotinia Rot Resistant Korean Origin Perilla (Perilla frutescens) Germplasm Using a Detached Leaf Method

  • Lee, Ho-Sun;Afroz, Tania;Jeon, Young-Ah;Sung, Jung-Sook;Rhee, Ju-Hee;Aseefa, Awraris Derbie;Noh, Jaejong;Hwang, Aejin;Hur, On-Sook;Ro, Na-Young;Lee, Jae-E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43-751
    • /
    • 2019
  • Sclerotinia rot,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is a devastating disease that poses a serious threat to perilla production in Korea. Identifying effective sources of resistance offers long term prospects for improving management of this disease. Screening disease resistant genetic resources is important for development of disease-resistant, new cultivars and conduct related research. In the present study, perilla germplasm were screened in vitro against S. sclerotiorum using detached leaf method. Among 544 perilla accessions, two were highly resistant (IT226504, IT226533), five were resistant (IT226561, IT226532, IT226526, IT226441, and IT226589), five were moderately resistant (IT226525, IT226640, IT226568, IT220624, and IT178655), 16 were moderately susceptible, 31 were susceptible, and 485 were highly susceptible. The resistant accessions in this study could serve as resistance donor in the breeding of Sclerotinia rot resistance or subjected to selection procedure of varietal development for direct use by breeders, farmers, researchers, and end consumers.

광강도와 야간조명에 따른 들깨의 개화 반응 (Flowering Response to Light Intensity and Night Interruption in Perilla)

  • 오명규;유숙종;김종태;오윤섭;정영근;장영선;박인진;박근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43-547
    • /
    • 1995
  • 들깨잎의 주년생산을 위한 일장이 짧은 겨울동안 개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들깨품종 엽실들깨, 옥동들깨에 대한 광조도별 0.5∼1 Lux, 3∼10 Lux, 30∼100 Lux, 야간조명시간별 10, 30, 60분간 처리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실들깨는 옥동들깨보다 처리에 따라 정식후 개화소요일수는 1∼4일 정도 더 소요되었으며 광조도 0.5∼1Lux/야간조명시간 10분간 처리구 에서 개화소요일수가 가장 짧았으며 광조도 3∼10 Lux/야간조명시간 60분간 처리구와 광조도 30∼100Lux/야간조명시간 10, 30, 60분간 처리구 모두 개화가 되지 않았다. 2. 경장은 광조도 0.5∼1 Lux/야간조명시간 10분 처리구가 53∼56cm로 가장 작았고, 광조도 30∼100 Lux/야간조명시간 10분 처리구가 87∼91cm로 가장 컸다. 3.엽면적은 광조도 0.5∼1 Lux, 3∼10 Lux의 처리구에서는 야간조명시간이 길수록 광조도가 강할수록 엽면적은 증가되었으며 광조도 30∼100 Lux 처리구에서는 야간조명시간에 관계없이 엽면적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건물량은 광조도 30∼100 Lux/야간조명시간 10, 30, 60분간 처리구에서 주당 25∼29g으로 가장 무거웠고, 광조도 0.5∼1 Lux/야간조명시간 10분간 처리구에서 주당 16g으로 가장 낮았다. 5. 따라서 일장이 짧은 겨울동안의 개화억제 정도는 광조도 30∼100 Lux/ 야간조명시간 10분 정도 처리하면 효과가 커 그 이상 광조도와 야간조명시간은 엽생산을 위해 필요 없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잎들깨 멀칭재배 및 파종기에 따른 생육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Polyethlene Film Mulching and Sowing Date in Vegetable Perilla)

  • 김동관;정찬식;천상욱;국용인;김명석;방극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84-187
    • /
    • 2004
  • 잎들깨 반촉성 재배시 흑색유공 polyethylene 멀칭효과와 파종적기 구명 및 입모향상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흑색유공 polyethylene 멀칭재배가 무멀칭재배에 비해 지온이 높고, 출현이 빠른 반면 성숙이 늦고, 경장이 크며, 엽수량뿐만 아니라 종실수량도 많았다. 2. 생육과 저온피해 등을 고려해 볼 때, 잎들깨의 안정적인 파종기는 1월 상순이었다. 3. 입모향상에 도움이 되는 피복재료는 부직포와 투명 polyethylene이나 출현 후 안정성이나 관리의 편의성 등을 고려해 볼 때 부직포가 적당하였다.

소면적 재배 작물 들깻잎 중 살충제 Bifenthrin과 Chlorfenapyr의 잔류양상 (Residual Patterns of Insecticides Bifenthrin and Chlorfenapyr in Perilla Leaf as a Minor Crop)

  • 전상오;황정인;김태화;권찬혁;손영욱;김동술;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3-229
    • /
    • 2015
  • 소면적 재배 작물 중 연속수확작물인 높은 들깻잎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들깻잎 중 bifenthrin 및 chlorfenapyr의 잔류양상을 연구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을 이용하여 회수율시험을 실시한 결과 bifenthrin 및 chlorfenapyr의 회수율은 81.9~104.8% 범위로 만족할만하였다. 들깻잎의 생육 기간 중 bifenthrin과 chlorfenapyr의 잔류량 변화는 first order kinetics model을 적용하여 해석하였으며 이 식으로부터 산출된 감소상수는 bifenthrin에서 $0.0724-0.0535day^{-1}$, chlorfenapyr에서 $0.0948-0.0821day^{-1}$로 나타났다. 두 농약의 들깻잎 중 반감기는 bifenthrin의 경우 9.6-12.9일이었으며, chlorfenapyr는 7.3-8.4일이었다. 산출된 두 농약의 감소상수를 이용하여 pre-harvest residue limit(PHRL)을 산출한 결과 수확 10일전 들깻잎 중 bifenthrin 및 chlorfenapyr의 잔류량이 각각 17.1 및 15.9 mg/kg일 경우 수확일에는 두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인 7.0 및 10.0 mg/kg 이하로 잔류하여 안전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Evaluation of the Amount of Nitrogen Top Dressing Based on Ground-based Remote Sensing for Leaf Perilla (Perilla frutescens) under the Polytunnel House

  • Kang, Seong-Soo;Sung, Jwa-Kyung;Gong, Hyo-Young;Jung, Hyung-Jin;Kim, Yoo-Hak;Hong, Soon-Dal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98-607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mount of nitrogen (N) top dressing based on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ices (NDVI) by ground based sensors for leaf perilla under the polyethylene house. Experimental design was the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for five N fertilization levels and conventional fertilization with 3 and 4 replications in Gumsan-gun and Milyang-si field, respectively. Dry weight (DW), concentration of N, and amount of N uptake by leaf perilla as well as NDVIs from sensors were measured monthly. Difference of growth characteristics among treatments in Gumsan field was wider than Milyang. SPAD-502 chlorophyll meter reading explained 43.4% of the variability in N content of leaves in Gumsan field at $150^{th}$ day after seedling (DAS) and 45.9% in Milyang at $239^{th}$ DAS. Indexes of red sensor (RNDVI) and amber sensor (ANDVI) at $172^{th}$ day after seedling (DAS) in Gumsan explained 50% and 57% of the variability in N content of leaves. RNDVI and ANDVI at $31^{th}$ DAS in Milyang explained 60% and 65% of the variability in DW of leav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DVI and N application rate, ANDVI at $172^{th}$ DAS in Gumsan explained 57% of the variability in N application rate but non significant relationship in Milyang field. Average sufficiency index (SI) calculated from ratio of each measurement index per maximum index of ANDVI at $172^{th}$ DAS in Gumsan explained 73% of the variability in N application rate.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NDVIs and growth characteristics was various upon growing season, SI by NDVIs of ground based remote sensors at top dressing season was thought to be useful index for recommendation of N top dressing rate of leaf perilla.

유기농 엽경채류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Organic Leaf and Stem Vegetables)

  • 장민선;김건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1-206
    • /
    • 2016
  • 유기 및 관행재배에 따른 엽경채류의 이화학적 품질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자 깻잎, 상추, 브로콜리 및 양배추 등을 이용하여 무게, 길이, 수분, 표면색,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무게, 길이의 경우, 전반적으로 관행재배한 엽경채류의 값이 높았으며, 수분함량의 경우 유기 및 관행재배 간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고, 재배조건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표면색에 있어서 깻잎과 상추의 a 값을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유기 및 관행재배 간 L, a, b 값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항산화 활성의 경우, 전반적으로 유기재배한 시료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이 관행재배한 시료보다 우수하였으며, 양배추의 경우 두 가지 항산화 활성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무게, 길이 등의 외적 품질에 대해서 관행재배한 엽경채류의 값이 높았고, 항산화 활성에 대해서는 유기재배한 엽경채류의 값이 높았으나, 유기 및 관행재배에 따른 내외적 품질비교를 위해서 더 많은 분석이 추가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인산 시비농도가 잎들깨의 생육, 결핍증상 및 무기원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Growth, Deficiency Symptom and Tissue Nutrient Contents of Leaf Perilla (Perilla frutesens Britt) Influenced by Phosphorus Concentrations in Fertigation Solution)

  • 최종명;박종윤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8-364
    • /
    • 2007
  • 시비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잎들깨를 관비재배하면서 인산의 시비수준이 생장과 결핍증상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생육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식물체 및 토양의 한계농도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산이 결핍될 경우 전체 지상부 생육이 심하게 억제되었으며, 노엽에서 초기증상이 발현되고, 엽병과 엽신이 자주색을 띄는 특징을 보였다. 증상이 나타난 부위는 점차 갈변하고 괴사하였다. 본 연구의 인산 시비수준 내에서는 농도가 높아질수록 식물 생육이 증가하여 0, 0.5 및 4.0mM 시비구에서 생체중이 각각 0.48g, 9.289 및 25.5g였고, 건물중이 0.06g, 1.46g 및 4.13g으로 조사되었다.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던 4.0mM 처리에서 지상부 인산함량과 엽병추출액의 인산 농도가 1.78% 및 $2,040mg{\cdot}kg^{-1}$였고, 이 보다 10%낮은 식물 생육을 최저 한계점으로 판단한다면 각각 0.3% 및 $900mg{\cdot}kg^{-1}$ 이상의 인산 농도를 유지하도록 시비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정식 65일 후 인산 4.0mM 처리의 토양 인산 농도가 $1.26mg{\cdot}L^{-1}$였으며, 이 또한 수량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0.57mg{\cdot}L^{-1}$ 이상의 토양 농도를 유지하도록 시비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잎들깨에서 차먼지응애의 발생특성 (Incidence of Polyphagotarsonemus latus (Banks) (Acari: Tarsonemidae) on Green Perilla(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 서윤경;안승원;최용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145-152
    • /
    • 2020
  • 충남 금산지역 잎들깨 시설하우스에서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는 5월 하순 최초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중순에 1차 최대 발생양상을 보인 후 7월 상순부터 급격히 밀도가 증가하여 7월 중순 가장 밀도가 높은 2차 최대 발생양상을 보였다. 방제방법에 따라 발생양상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밀도에는 차이를 보여 화학약제를 사용하는 하우스에서 가장 높았고 유기농업자재를 사용하는 하우스에서 가장 낮았다. 이는 크기가 작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차먼지응애를 방제하기 위해 화학약제를 사용할 경우, 농약 잔류 문제로 지속적인 사용을 못하므로 밀도가 높아지고, 유기농업자재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농약잔류에 대한 걱정 없이 유기농업자재를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방제가 이루어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잎들깨 주간내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차먼지응애는 접종 25일 후 최대 발생밀도를 보였고, 중엽, 성엽, 신초의 순으로 알과 약성충의 총밀도가 조사되었다. 그러나 엽장과 차먼지응애 밀도와의 상관성 분석 결과, 상관성이 없어 차먼지응애 발생예찰시 어떤 샘플을 채취해도 정확한 예찰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녹색잎 채소류의 ${\beta}$-Carotene과 Lutein 함량 (Beta-carotene and Lutein Contents in Green Leafy Vegetables)

  • 이화숙;김영남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75-180
    • /
    • 1997
  • Beta-carotene and lutein contents in 7 different green leafy vegetables(perilla leaf, mugwort, chwi, lettuce, spinach, leek, and crown daisy) were analyzed by HPLC. The isocratic separation was performed on a ${\mu}-Bondapak$ $C_{18}$ column with a solvent system of acetonitrile : dichloromethane : methanol = 70:20:10. To check the reliability of the method applied, precision and recovery tests were performed. Perilla leaf showed the highest ${\beta}-carotene$ content(12,570 ${\mu}g$ / 100 g), followed by mugwort and chwi, all of those have ${\le}10,000\{\mu}g\{\beta}-carotene$ per 100 g vegetables. Green lettuce, spinach, leek, crown daisy and reddish brown lettuce contained 9,869, 6,689, 5,664, 3,601 and 3,299 ${\mu}g\{\beta}-carotene/100 g$, respectively, Lutein content was the highest in perilla leaf($13,718{\mu}g/100 g$) followed by chwi($11,989{\mu}g/100 g$), mugwort($11,522{\mu}g/100 g$), green lettuce($10,307{\mu}g/100 g$) and spinach($10,115{\mu}g/100 g$). ${\beta}-carotene$ contents in perilla leaf, mugwort, chwi and green lettuce were 47.8~49.6% of total carotenoids, and ${\beta}-carotene$ contents in the other green leafy vegetables analyzed were 37.7~41.4% Vitamin A contents of green leafy vegetables analyzed by HPLC were 2~6 times higher than the vitamin A values shown in food composition tables except crown daisy.

  • PDF

Life Cycle of the Perilla Leaf Pyralid Moth, Pyrausta panopealis (Lepidoptera: Pyralidae) and Test of Larvicidal Effect of Some Commercial Natural Products

  • Oh, Hyung-Keun;Kim, Won-Kee;Kang, Ah-Rang;Kim, In-Seon;Lee, Hyang-Burm;Kim, Ik-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1권1호
    • /
    • pp.133-137
    • /
    • 2010
  • The perilla leaf pyralid moth, Pyrausta panopealis Walker (Lepidoptera: Pyralidae), is a serious pest damaging to leaf perilla. In order to establish the life parameters of P. panopealis for eventual purpose of control, the developmental span of each stage was investigated under five temperature regimes ($20^{\circ}C{\sim}30^{\circ}C$). The larval period of P. panopealis was longest as 26.8 days at $20^{\circ}C$ and shortened as temperature goes up to $30^{\circ}C$ as 11.3 days. Survivorship of the larval P. panopealis was the highest at $27.5^{\circ}C$ as 82.5%, whereas that of other temperatures ranged from 40% ($20^{\circ}C$) to 60.0% ($30^{\circ}C$), indicating that the P. panopealis appears to favor somewhat higher temperature. In addition to larval period, the duration of egg, prepupal, and pupal period also were shortened sharply as temperature goes up, whereas the duration of adult stage shortened a maximum of only two days as temperature goes up. After the perilla leaf pyralid moths were successfully stabilized in indoor environment the larvicidal efficacy of ten on-the-market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s) that were previously selected from the result of other moth species was tested. Seven of the ten tested showed more than 90% of mortality within 12 hrs and reached nearly up to 100% within 24 hrs, but the remaining three showed less than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