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formativ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6초

(탈)중심화 경관의 해석을 위한 틀 : 권력, 주체성, 수행성 (A Framework of Interpretating (de)Centralized Landscape : an Interaction of Power, Subjectivity, and Performativity)

  • 박규택;하용삼;배윤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5-368
    • /
    • 2010
  • 본 연구는 근대 국민국가와 자본주의 체제가 수립된 이후 급속하게 진행된 로컬 경관의 변화를 새롭게 해석하기 위한 틀을 만들기 위한 시론적 작업으로 이루어졌다. 틀의 토대가 될 주요 개념은 권력(power), 주체성(subjectivity), 수행성(performativity)이며, 향후 이 개념들을 보다 치밀하게 결합된 해석의 틀로 발전시킨 뒤 다양하며 역동적으로 변화한 (탈)중심화 경관의 구체적 현상을 연구하는 데 응용될 것이다. 국민국가 하에서 국가권력은 통치, 국민적 정체성, 중앙집중적 경제발전 등을 실행하기 위해 상이한 로컬의 문화 역사와 다양한 주체들의 가치를 파괴하거나 주변화 시킨다. 이는 경관을 매개로 작동하며, 경관에 나타난다. 그리고 역사의 흐름 속에서 국가 권력에 의해 형성된 경관은 로컬에서 갈등의 동인으로 작동하기도 한다. 경관은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만들어지며, 역으로 생성된 경관은 사람들의 정서, 인식, 행동에 능동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경관과 주체성의 역동적 관계를 근대 이념, 국민국가, 자본주의 체제는 이성/합리성, 전체성/집단성, 이성과 감성의 분리 등에 의해 위장하거나 배제 혹은 주변화시켰다. 그리고 경관과 주체성의 관계에 관한 논의는 주체들의 저항성과 창의성에 무게를 둔다. 마지막으로 경관은 선험적으로 혹은 객관적으로 표현되는 개념 혹은 주체의 감성과 인지와 분리될 수 있는 물체(혹은 객체)가 아니라 상이한 주체들과의 수행적 관계 속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수행성은 경관의 물질성, 권력, 주체성을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경관 자체의 능동적 역할을 이해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PDF

이보 반 호브의 수행적 시노그래피 연구 : <파운틴헤드>(The Fountainhead)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formative Scenography of Ivo Van Hove : Focusing on The Fountainhead)

  • 윤주하;조준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41-155
    • /
    • 2021
  • 본 연구는 벨기에 출신의 연출가 이보 반 호브(Ivo van Hove, 1958~)의 연출적 시노그래피의 특성을 고찰하고 그의 연출작 <파운틴헤드>(The Fountainhead)를 통해 시노그래피의 수행적 실제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반 호브는 파격적이고 화려한 무대 연출과 관객참여를 동반한 작품 <로마 비극>(Roman Tragedies)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치게 되었다. 그의 공간적 특성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작품의 정수를 담아내면서도 관객의 수행적 전환을 이끌어내는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반 호브의 대표작들의 수행적 공간 특성에 관해 상세히 고찰하고, 이것들이 작품 <파운틴헤드>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 작품은 반 호브만의 공간 연출의 특성을 드러내고 고유한 무대 언어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의 독창적 연출미학을 공간에 투영한다. <파운틴헤드>의 공간적 특성을 네 가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째, 상호 병립하는 미디어와 아날로그의 현존의 공간, 둘째, 에너지로 채워진 배우의 물질성의 공간, 셋째, 새롭게 활성화되어 배우와 관객이 신체적으로 공동 현존할 수 있는 공간, 넷째, 환유작용을 통해 살아 움직이는 내러티브의 공간이 그것이다. 추후 반 호브의 공간미학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본 소고가 그의 연출적 시노그래피 연구의 작은 시발점이 되길 바란다.

매체이론적 관점에서 보는 디지털 인식론과 기독교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gital Epistem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Media Theory)

  • 양금희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1권
    • /
    • pp.23-59
    • /
    • 2022
  • 이 논문은 디지털 인식론이 기독교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하였다. 한 시대의 매체는 그 시대 인식의 유형과 형태를 결정하고, 이것은 결국 그 시대의 기독교교육의 방향에도 결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세 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첫째 매체와 인식론과의 관계에 대한 탐구, 둘째 디지털 인식론에 대한 탐구, 그리고 셋째 디지털 인식론이 기독교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구이다. 이 논문은 먼저 맥루언의 매체이론의 관점에서 매체가 단순히 오감의 확장을 넘어서서 새로운 환경과 삶의 양식을 만드는 것을 통해 우리의 인식을 변화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인식론을 인쇄매체 시대의 전통적 인식론과의 비교를 통해서 4가지로 정리하였는바, "언어적 인식에서 전감각적 인식에로", "인과관계에서 관계성에로", "역사적 사고에서 탈역사적 사고에로", 그리고 "해석적 인식에서 수행적 인식에로"의 인식에 있어서의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 논문은 디지털 인식론, 즉 전감각적인식, 관계적 인식, 탈역사적 인식 그리고 수행적 인식이 기독교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고찰을 통해 본고는 디지털 매체가 기독교교육의 본질에 순기능적으로도, 역기능적으로도 작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결국 디지털 시대가 기독교교육에 역기능이기보다는 순기능이 되고, 도전이기보다는 기회가 되도록 하는 것이야말로 디지털 시대의 기독교교육에게 주어진 과제라고 하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사회복지(학)에서의 '성적 소수자' 연구의 동향과 인식론적 전망 : 페미니스트 섹슈얼리티 이론의 가능성 (The Trend and Prospect of Study on 'Sexual Minority' in Social Welfare and Practice : Implications of Feminist Theories on Sexuality)

  • 성정숙;이나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4호
    • /
    • pp.5-44
    • /
    • 2010
  • 본고의 목적은 동성애에 관한 사회복지(학) 지식생산 양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론적·실천적 확장을 시도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회복지(학)의 성적 소수자에 관한 연구 경향들은 병리와 결함으로 개념화했던 초기의 의료적 담론을 넘어 인권과 다양성이라는 인권담론으로 이동해왔다. 이러한 변화는 상당한 진전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다수' 를 정상화하고 규범화하는 이분법을 전제하고 '타자화되는' 사회구조적인 맥락을 간과하면서 다양성을 단순히 병렬적으로 나열하는 한계를 드러낸다. 무엇보다 두 가지 담론 모두 섹슈얼리티에 관한 본질론적 입장에 근거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이에 반해 페미니스트들은 섹슈얼리티를 사회적인 구성물이자 역사적으로 의미 부여된 사회적 장치라는 인식하에 섹슈얼리티와 동성애에 관한 새로운 이론화를 진행해 왔다. 예를 들어, 레즈비언 페미니즘은 남성중심사회에서 사회적 억압에 대한 변혁의 주체로서 레즈비언 정체성을 강조하며, 페미니스트 퀴어이론은 섹스와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관한 분류 그 자체를 문제시하고 해체하고자 한다. 이 이론들은 주체에 대한 새로운 이해방식을 제안하며, 섹스와 젠더, 섹슈얼리티에 관한 통념에 도전하게 하고, 이성애/동성애의 이분법이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의미화된 권력의 효과라는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자들은 페미니스트 섹슈얼리티 이론의 통찰력을 빌어 사회복지(학)에서의 '성적 소수자' 에 대한 논의가 '새롭게' 구성될 것을 주장하면서 궁극적으로 보다 진보적 사회복지학의 지평을 지향하고자 한다.

MMORPG의 서사 양식 전환에 따른 사용자 정체성 연구 <블레이드 앤 소울>과 <다크폴>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User Identity according to MMORPG's Narrative Mode Focused on and )

  • 윤혜영;김정연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45-54
    • /
    • 2015
  • 본 논문은 MMORPG에 나타나는 서사 양식 전환과 그에 따른 사용자 정체성의 차이를 <블레이드 앤 소울>과 <다크폴>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그 결과 <블레이드 앤 소울>과 <다크폴>이 각각 이상적 서사를 중심으로 한 로망스 양식과 기반 서사가 부재하는 아이러니 양식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서사 양식의 전환은 사용자로 하여금 서사적 동기로 구성된 허구적 페르소나가 아닌 사용자의 사적 동기가 개입한 수행적 페르소나를 형성하도록 한다.

에네르기-파사젠: 인터랙티브 사고 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Energie-Passagen: Zur Inszenierung des interaktiven Denkraums)

  • 모니카 플라이쉬만;볼프강 슈트라우스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10호
    • /
    • pp.133-158
    • /
    • 2010
  • Der Beitrag befasst sich mit der partizipatorischen Inszenierung von Medienkunst im $\"{o}$ffentlichen Raum. Das Medienkunstprojekt' Energie-Passagen' von Monika Fleischmann und Wolfgang Strauss ist ein Ausdruck des Ubergangs zwischen realer und virtueller $\"{U}$mgebung. In der Verbindung von physikalischem Raum und digitalen Artefakten er$\"{o}$ffnet die Installation einen real/virtuell $\"{u}$berlagerten Wahrnehmungsraum und misst die Energie der Stadt auf metaphorische Weise. Die gemeinsame Erfahrung des Lesens und Schreibens t$\"{a}$glicher Nachrichten und ihrer Transformation in ein Sprachspiel assoziativer Splitter und Plateaus zu einer rhizomatischen Verweisstruktur bestimmt die interaktive Handlung. Das Publikum wird zu kommunikativer Performanz eingeladen und die Interaktivit$\"{a}$t des Geschehens wird als Statistik der Ereignisse im Internet dokumentiert und als Energie-Bild der Stadt visualisiert. Inszeniert als ein Fluss von Worten, wird die Installation zu einem begehbaren Informationsbrowser, der zum Flanieren in den Nachrichten einl$\"{a}$dt. Die Idee einer Mixed-Reality-B$\"{u}$hne bestimmt den interaktiven Denkraum zum Lesen und Be-Schreiben der Stadt.

  • PDF

한국어능력시험(TOPIK) 쓰기 평가의 채점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Features of Writing Rater in TOPIK Writing Assessment)

  • 안수현;김정숙
    • 한국어교육
    • /
    • 제28권1호
    • /
    • pp.173-196
    • /
    • 2017
  • Writing is a subjective and performative activity. Writing ability has multi-facets and compoundness. To understand the examinees's writing ability accurately and provide effective writing scores, raters first ought to have the competency regarding assessment.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fundamental research about rater's characteristics on the TOPIK writing assessment. 150 scripts of the 47th TOPIK examinees were selected randomly, and were further rated independently by 20 raters. The many-facet Rasch model was used to generate individualized feedback reports on each rater's relative severity and consistency with respect to particular categories of the rating scale.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FACETS ver 3.71.4 program. Overfit and misfit raters showed many difficulties for noticing the difference between assessment factors and interpreting the criteria. Writing raters appear to have much confusion when interpreting the assessment criteria, and especially, overfit and misfit teachers interpret the criteria arbitrarily. The main reason of overfit and misfit is the confusion about assessment factors and criteria in finding basis for scoring. Therefore, there needs to be more training and research is needed for raters based on this type of writing assessment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recognized significantly in that it collectively examined writing assessment characteristics of writing raters, and visually confirmed the assessment error aspects of writing assessment.

『호밀밭의 파수꾼』에 나타난 1950년대 미국 청소년의 정동과 질병서사 (A Narrative of Illness and Affect of Rebel Youth in J.D. Salinger's Catcher in the Rye)

  • 김창희
    • 미국학
    • /
    • 제44권1호
    • /
    • pp.1-37
    • /
    • 2021
  • J.D. Salinger's 1951 novel, Catcher in the Rye, has generally been known as a story of a young rebel, Holden Caulfield, who tries to break away from reality in the fifties, a decade prevalent with the strict rule and faultfinding culture of what he is taught at school: to simplify and unify. This novel often refers to a journey of an outsider who commits to playing a catcher in the rye, a fantasy world of innocence, infinity, and youth. As the story unfolds, Holden's ontology is rendered to show how vulnerable his affective ontology is to the ideological reality of containment and conformity. This informs how Holden is a pathological character that reifies the performative crisis of the postwar US Cold War ideology. That said, this paper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this novel can be possibly read as a narrative of illness to expose Holden's pathological conditions of illness, hysteria, and psychosis. Thus, it looks at his medical symptoms whose pathogens I attempt to analyze in terms of his affective potential of being ontologically engaged to the historical context, or the political unconscious, of the postwar US in the early Cold War years.

마틴 구티에레즈의 패션미디어 작품에 나타난 정체성 표현 -주디스 버틀러와 아테나 아타나시오우의 박탈(Dispossession) 개념을 중심으로- (Expression of Identity in Martin Gutierrez's Fashion Media Works -Focused on Judith Butler and Athena Athanasiou's Concept of Dispossession-)

  • 이명선;임은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32-243
    • /
    • 2023
  • The boundaries between fashion and contemporary art are increasingly blurred showing their interchangeability. This study examines Judith Butler and Athena Athanasiou's concept of dispossession to analyze expressions of gender, racial, and class identity in Martine Gutierrez's representative work, Indigenous Woman. First, gender expressions in Indigenous Woman emphasize the possibility of performative and practical gender as an image that rejects norms that grant authority according to the possession of innate body parts. Second, racial identity is expressed through resistance to the ideology of whiteness and imperialism reinforced by fashion media. The author aims to overcome normative stereotypes through the media she creates, which reveals her identity as a person of color. Third, class identity is represented through stereotypes that limit the lives of indigenous people to primitive and natural things. The author reveals a critical awareness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cultural appropriation these stereotypes have created. This study analyzed contemporary artworks using fashion media through the concept of disposse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raising a critical awareness of the practices that diffuse minority identities in fashion media.

행위로서의 언어와 의미 -들뢰즈와 퍼스의 화행론 (Language as Act and Meaning: Deleuze's and Peirce's Pragmatics)

  • 최문수
    • 영어영문학
    • /
    • 제55권1호
    • /
    • pp.199-213
    • /
    • 2009
  • From the perspective of pragmatics, language is a mode of act that works in the order of motive and performs human purpose. The function of language is then primarily performative rather than informational or significative. Pragmatics, however, encounters a tough question: what is the relation of the linguistic act to meaning? Many language theories including pragmatic theories admit the autonomy of meaning while defining language as act. But in Deleuze and Peirce we find examples of maximalist pragmatics that denies the autonomy of meaning. However, Deleuze and Peirce are different in their view on the function of meaning. For Deleuze, language is the transmission of act, what he calls 'order-word.' He rejects meaning except as the minimal condition for the transmission. But his theory turns out to be contradictory in that meaning as the minimal condition is actually the function of constants that he denies for order-words that are always variables. On the contrary, Peirce's pragmatism as a radical pragmatics does not exclude meaning. For him, language is interpretative act serving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reality, which is performed through the function of meaning and 'habit.' This shows that meaning is indispensable to language even in maximalist pragma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