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Framework of Interpretating (de)Centralized Landscape : an Interaction of Power, Subjectivity, and Performativity

(탈)중심화 경관의 해석을 위한 틀 : 권력, 주체성, 수행성

  • Park, Kyu-Taeg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a, Yong-Sam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Bae, Yoon-Gi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박규택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 하용삼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 배윤기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Received : 2010.05.03
  • Accepted : 2010.06.21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is study is to make a framework of newly interpretating the dynamic change of regional or local landscape rapidly occurr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 state and capitalistic system. The basic concepts of making an interpretative framework are power, subjectivity, and performativity. The framework of closely interrelating the three concepts developed in the near future will be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variety of (de)centralized landscapes in regions or locals. A centralized political power under the nation state has destroyed or marginalized the historically developed landscapes, traditional culture, and subjects' values in regions or locals by the political implementation of the nation state,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a centralized economic development, and so on. The landscapes produced by the political power of the nation state can take a role as a cause of conflicts in regions or locals in terms of a historical perspective. Landscapes are being made by various subjects, and the produced landscapes also positively or negatively will influence the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of the subjects particularly in a performative perspective. The dynamics interrelation between subjects and landscapes has been disguised or marginalized by reason/rationality, totality/collectivity, the separation between reason and emotion mainly made by modernism, the nation state, a capitalistic system. The interrelation between landscapes and subjects is especially emphasized on people's resistibility and creativity. Lastly, landscape is not a concept given as a priori or (re)presented objectively. It is not also a material or an object independently existed from a subject's emotion and cogni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through a performative relation with subjects. Performativity will take an active role of combining the materiality of landscape, power, and subjectivity. It is also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ctive role of landscapes.

본 연구는 근대 국민국가와 자본주의 체제가 수립된 이후 급속하게 진행된 로컬 경관의 변화를 새롭게 해석하기 위한 틀을 만들기 위한 시론적 작업으로 이루어졌다. 틀의 토대가 될 주요 개념은 권력(power), 주체성(subjectivity), 수행성(performativity)이며, 향후 이 개념들을 보다 치밀하게 결합된 해석의 틀로 발전시킨 뒤 다양하며 역동적으로 변화한 (탈)중심화 경관의 구체적 현상을 연구하는 데 응용될 것이다. 국민국가 하에서 국가권력은 통치, 국민적 정체성, 중앙집중적 경제발전 등을 실행하기 위해 상이한 로컬의 문화 역사와 다양한 주체들의 가치를 파괴하거나 주변화 시킨다. 이는 경관을 매개로 작동하며, 경관에 나타난다. 그리고 역사의 흐름 속에서 국가 권력에 의해 형성된 경관은 로컬에서 갈등의 동인으로 작동하기도 한다. 경관은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만들어지며, 역으로 생성된 경관은 사람들의 정서, 인식, 행동에 능동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경관과 주체성의 역동적 관계를 근대 이념, 국민국가, 자본주의 체제는 이성/합리성, 전체성/집단성, 이성과 감성의 분리 등에 의해 위장하거나 배제 혹은 주변화시켰다. 그리고 경관과 주체성의 관계에 관한 논의는 주체들의 저항성과 창의성에 무게를 둔다. 마지막으로 경관은 선험적으로 혹은 객관적으로 표현되는 개념 혹은 주체의 감성과 인지와 분리될 수 있는 물체(혹은 객체)가 아니라 상이한 주체들과의 수행적 관계 속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수행성은 경관의 물질성, 권력, 주체성을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경관 자체의 능동적 역할을 이해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