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erformative Scenography of Ivo Van Hove : Focusing on The Fountainhead

이보 반 호브의 수행적 시노그래피 연구 : <파운틴헤드>(The Fountainhead)를 중심으로

  • Yoon, Joo-Ha (Department of Theat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Cho, Joon-Hui (Division of Theatre, College of Arts, Dongguk University)
  • 윤주하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연극학과) ;
  • 조준희 (동국대학교 예술대학 연극학부)
  • Received : 2021.05.24
  • Accepted : 2021.06.25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nsider characteristics of the scenography in terms of directorial viewpoints of Belgian director Ivo Van Hove(1958~) and define indefinite realities through his production, The Fountainhead. Van Hove has gained worldwide fame with his dramatic and spectacular stage production and audience participation in his production Roman Tragedies. I paid attention to the spatial aesthetics of director Van Hove, which supports such bold stage production. I believed that his philosophy of space would exist behind his sophisticated space concept. Also, if you look closely at his work's spatial characteristics, you will find elements that capture the essence of his work and lead to a performative transition of the audience. Therefore, I would like to find out in detail how these elements were applied to the work The Fountainhead and conduct researches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Van Hove's production. In particular, The Fountainhead shows a unique stage language through Van Hove's space production, and it is considered as the best work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Van Hove's space production through a hero architect Howard Roak. In other words, I judged that through Roark as a persona, I could find a link between Van Hove's spatial aesthetics and directorial scenography. I hope that active following researches on Van Hove's spatial aesthetics c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and this study would be a small starting point for his research on directorial scenography.

본 연구는 벨기에 출신의 연출가 이보 반 호브(Ivo van Hove, 1958~)의 연출적 시노그래피의 특성을 고찰하고 그의 연출작 <파운틴헤드>(The Fountainhead)를 통해 시노그래피의 수행적 실제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반 호브는 파격적이고 화려한 무대 연출과 관객참여를 동반한 작품 <로마 비극>(Roman Tragedies)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치게 되었다. 그의 공간적 특성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작품의 정수를 담아내면서도 관객의 수행적 전환을 이끌어내는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반 호브의 대표작들의 수행적 공간 특성에 관해 상세히 고찰하고, 이것들이 작품 <파운틴헤드>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 작품은 반 호브만의 공간 연출의 특성을 드러내고 고유한 무대 언어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의 독창적 연출미학을 공간에 투영한다. <파운틴헤드>의 공간적 특성을 네 가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째, 상호 병립하는 미디어와 아날로그의 현존의 공간, 둘째, 에너지로 채워진 배우의 물질성의 공간, 셋째, 새롭게 활성화되어 배우와 관객이 신체적으로 공동 현존할 수 있는 공간, 넷째, 환유작용을 통해 살아 움직이는 내러티브의 공간이 그것이다. 추후 반 호브의 공간미학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본 소고가 그의 연출적 시노그래피 연구의 작은 시발점이 되길 바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Dongguk University Research Fund of 2019 (S-2019-G0001-00055)

References

  1. 김미혜.남상식.안치운.이상면.장인숙(2001). 20세기 전반기 유럽의 연출가들, 연극과인간.
  2. 파트리스 파비스(1999). 연극학 사전, 서울: 현대미학사.
  3. Gay, M.(1999). Space in Performance: Making Meaning in the Theatre,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4. David, W.(2018). IVO VAN HOVE ONSTAGE, Routledge.
  5. Maria, M. Delgado & Dan Rebellato(2020). Contemporary European Theatre Directors, Routledge.
  6. 에리카 피셔-리히테, 김정숙 역(2017). 수행성의 미학, 문학과지성사.
  7. 김방옥(2015). 연극에서의 현존, 한국연극학, 57: 17.
  8. 석민영(2009). 미니멀리즘에 기초한 텍 스타일 디자인 연구: 건축 공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9. 석민영(2009). 미니멀리즘에 기초한 텍 스타일 디자인 연구: 건축 공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0. LG아트센터. <파운틴헤드> 내한공연 인터뷰, <관객과의 대화> 후기. http://www.lgart.com/UIPage/Azine/Azine_detail.aspx?Id=55800. 2021.02.01.
  11. The Guardian. The Guardian picture essay: Ivo van Hove. https://www.theguardian.com/stage/ng-interactive/2015/aug/18/designs-jan-versweyveld-antigone-view-from-the-bridge. 2021.02.07.
  12. Susan, B & Sonia, M.(2018). Ivo Van Hove: from Shakespeare to David Bowie, METUEN DRAMA.
  13. George, R.(2017). Contemporary Adaptations of Greek Tragedy, Bloombury Methuen Drama.
  14. Maria, M. Delgado & Dan Rebellato(2020). Contemporary European Theatre Directors, Routledge.
  15. 이유미(2017). 연극언어 변용을 통한 연극성 확장 연구: 토마스 오스터마이어의 <민중의 적>과 이보 반 호프의 <오프닝 나이트>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에리카 피셔-리히테, 김정숙 역(2017). 수행성의 미학, 문학과지성사.
  17. 에리카 피셔-리히테, 김정숙 역(2017). 수행성의 미학, 문학과지성사.
  18. Susan, B & Sonia, M.(2018). Ivo Van Hove: from Shakespeare to David Bowie, METUEN DRAMA.
  19. David, W.(2018). IVO VAN HOVE ONSTAGE, Routledge.
  20. 서울경제신문. 연극 파운틴헤드 연출 이보 반호브 "공동체냐 개인체이냐... 연극 통해 삶의 가치 묻고 싶었죠". https://www.sedaily.com/NewsVIew/1ODKL6J77N.2021.01.09.
  21. The Guardian. The Guardian picture essay: Ivo van Hove. https://www.theguardian.com/stage/ng-interactive/2015/aug/18/designs-jan-versweyveld-antigone-view-from-the-bridge. 2021.02.07.
  22. 이유미(2017). 연극언어 변용을 통한 연극성 확장 연구: 토마스 오스터마이어의 <민중의적>과 이보 반 호프의 <오프닝 나이트>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Gay, M.(1999). Space in Performance: Making Meaning in the Theatre,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4. 에리카 피셔-리히테, 김정숙 역(2017). 수행성의 미학, 문학과지성사.
  25. 정인영.조준희(2020). 「황금용」(The Golden Dragon) 역할창조 연구-LMA를 적용한 프로 덕션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8).
  26. Avra, S.(2019). 정체성, 테크놀로지, 향수: 이보반 호프, 로베르 르빠주, 우스터 그룹의 연극. 연극평론, 93: 185.
  27. The Guardian. The Fountainhead review-Ivo van Hove hypnotises with Ayn Rand's nonsense. https://www.theguardian.com/stage/2019/jul/11/the-fountainhead-review-ivo-van-hove-internationaaltheater-amsterdam-ayn-rand. 2021.02.07.
  28. 나진환(2019). [연극(2)] 「로마의 비극」: 그의 '혁신성은 어디서 발원하는가: 이보 반 호프의 「로마의 비극」. 공연과리뷰, 25(2): 134.
  29. 에리카 피셔-리히테, 김정숙 역(2017). 수행성의 미학, 문학과지성사.
  30. 박근형.조준희(2020). 뮤지컬 「All Shook Up」의 연출적 시노그래피 연구-디자인 구축 과정과 공연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8).
  31. The Guardian. The Fountainhead review-Ivo van Hove hypnotises with Ayn Rand's nonsense. https://www.theguardian.com/stage/2019/jul/11/the-fountainhead-review-ivo-van-hove-internationaaltheater-amsterdam-ayn-rand. 2021.02.07.
  32. 김방옥(2008). 오브제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과 그 현상학적 보완-네크로슈의 <햄릿>, <맥베드>, <오델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 35: 159-160.
  33. 김방옥(2008). 오브제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과 그 현상학적 보완-네크로슈의 <햄릿>, <맥베드>, <오델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 35: 176.
  34. 나진환(2019). 소설, 「≪죄와벌≫을 공연화하는 창작과정에 나타난 연출의 미학적 특징: 이미지에서 드라마로. 연극교육연구, 21: 47-48.
  35. 윤주하.조준희(2020). 이보 반 호브와 로마비극 [The Roman Tragedy]: 연출미학 연구. 예술교육연구, 18(4):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