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fectionism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2초

임상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완벽주의 성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and Perfectionism on Burnout in Clinical Nurses)

  • 이인숙;김경자;최윤정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7-46
    • /
    • 2018
  •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burnout and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clinical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conducted by administer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o 195 nurses working at hospitals, from August to September 2017. This study used scales to measure burnout (20 items), job satisfaction (16 items), and perfectionism (40 item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Burnout of participants was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perfectionism. Factors identified to have influence on burnout were job satisfaction (${\beta}=-.35$, p<.001), perfectionism-fail avoidance (${\beta}=.26$, p=.001), perceived health status (${\beta}=-.26$, p<.001), and intention of department relocation (${\beta}=-.23$, p<.001).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approximately 48% of nurses' burnou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support to decrease dysfunctional perfectionism that could cause burnout in nurses.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 in hospitals.

과학영재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ss, perfectionism, optimism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 하종덕;송경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47-64
    • /
    • 2004
  •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질문지 조사를 통해 154명의 과학영재 중학생과 145명의 일반 중학생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을 비교하고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는 과학영재 집단이 일반 학생에 비해 낮게 나타나 스트레스를 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 학생은 완벽주의 성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관성 역시 과학영재 학생들이 일반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의 상관관계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성취에 있어서는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 모두 스트레스, 완벽성, 학업성취는 상호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비관성 및 정서적 문제의 관계: 비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Mediating Effects of Pessim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Emotional Problems in Children)

  • 정윤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1-1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1)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essimism, and emotional problems represented by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children; and (2) whether or not pessimis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emotional problems. 441 fifth and sixth graders residing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ir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 school class settings.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produc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obtained using SPSS (version 18.0), and tests of the mediation were performed using SEM with AMOS (version 20).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essimism, and emotional problems exist. Also, pessimism appears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emotional problems. These results seem to indicate that mitigating pessimism could reduce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emotion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in children who have strong beliefs to live up to the high standards, set unrealistically by others.

자기효능감,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간호대학생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Efficacy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Test Anxiety of Nursing Students)

  • 장인순;박승미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1-129
    • /
    • 2021
  • Purpose: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test anxiety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nursing students at K University located in S city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2 to November 4, 2020, using online web questionnaires. A total of 180 answers were analyzed. SPSS 22.0 was used to perform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Scheffé post hoc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test anxiety was 3.27 points out of 6 points. The general self-efficacy was 3.81 points out of 5 points; social self-efficacy was 3.58 points and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was 2.79 points out of 5 points. Variables affecting test anxiety wer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x, academic stress, and general self-efficacy,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0.9%.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academic stress,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imposition perfectionism were factors affecting test anxiety among nursing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a program to control the factors affecting test anxiety in nursing students to lower test anxiety.

상담자의 완벽주의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상담자활동 효능감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and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Burnout)

  • 조경희;정은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67-486
    • /
    • 2022
  • 본 연구는 상담자의 완벽주의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상담자 325명을 대상으로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과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타인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소진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타인지향 완벽주의는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기수용,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자기수용,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자기수용은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과 정적 상관을, 소진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은 소진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구조모형 검증 결과 자기수용과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은 상담자의 완벽주의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이해와 이를 관리할 수 있는 교육 및 조치에 관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직장인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특성 불안과 소진의 이중매개효과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Trait Anxiety and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mployees)

  • 김지원;정승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2호
    • /
    • pp.67-84
    • /
    • 2022
  • 본 연구는 직장인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특성 불안과 소진의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00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사회부과 완벽주의, 주관적 안녕감, 특성 불안, 소진을 측정하였고, 변인들의 영향 관계와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으며, Bootstrapping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특성 불안, 소진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주관적 안녕감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났고, 특성 불안은 소진과 정적 상관을, 주관적 안녕감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소진은 주관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 간에 특성 불안과 소진이 각각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특성 불안과 소진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밝힘으로써,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높은 사람의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완벽주의 그 자체를 다루기보다 과정 변인으로서 특성 불안과 소진을 다루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일 대학 여대생의 월경전기 증후군과 자동적 사고, 완벽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Premenstrual Syndrome, Automatic Thought, and Perfectionism of College Women Students)

  • 조경순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44-153
    • /
    • 200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premenstrual syndrome and the relationships among premenstrual syndrome, automatic thought, and perfectionism. Methods: The 164 subjects were selected from a nursing college in Tae-Jeon.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PAF, ATQ-N, and MPS from April 10th to May 10th, 2001.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menstrual syndrome due to menarche, duration of menstruation, and menstrual cycle, but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menstrual syndrome due to amount of menstruation and regularity of menstrual cycle. 2. The subjects experienced mild premenstrual syndrome. The severe premenstrual syndromes above the mean were who subjects reported general physical discomfort, fatigue, low mood and loss of pleasure, lability and atypical depressive features, et. al., and those below the mean experienced hostility/anger, increased well-being, miscellaneous mood/behavior change, impulsive syndrome and miscellaneous physical changes, et. al. 3. The score of mean premenstrual syndrome was 236.55, that of automatic thought was 31.41 and that of perfectionism was 185.97. The premenstrual syndrome score was similar to those of other studies and subjects had low automatic thought and moderate perfectionism. 4.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remenstrual syndrome, automatic thought, and perfectionism (P <. 001). 5. Automatic thought and perfectionism accounted for 17 percent of premenstrual syndrome. Conclusions: For future research, it was recommended that the study to identify major factors affecting premenstrual syndrom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with various subjects should be done and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premenstrual syndrome should be developed.

  • PDF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n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SNS addiction tendency in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a mediating effect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

  • 윤은초;김정민;한아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3호
    • /
    • pp.647-65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과 더불어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415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조절실패 및 일상생활장애, 부정정서의 회피, 가상세계지향성 및 금단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은 착취/자기중심성이었으며, 몰입 및 내성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은 과민/취약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 염려 완벽주의는 내현적 자기애와 몰입 및 내성, 가상세계지향성 및 금단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반면, 내현적 자기애와 조절실패 및 일상생활장애, 부정정서의 회피 간의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완벽주의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학업도움추구와 은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Help-Seeking and Concealment on the Relations between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 정은선;하정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71-681
    • /
    • 2016
  • 본 연구는 완벽주의와 학업장면에서 도움추구 및 은폐가 부정적 정서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영향을 미치는지 변인들 간의 경로를 규명하여 경로모형을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위험 예측과 이득 예측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를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부과 완벽주의로 구분하였고, 부정적 정서로는 우울과 불안을 상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3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268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13부를 제외하여 최종 252부를 가지고 SPSS 18.0과 Amos 8.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에서 도움추구는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우울 및 불안을 완전 매개하고, 은폐는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 및 불안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도움추구를 통해 우울 및 불안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직접 또는 은폐를 거쳐 우울 및 불안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긍정적 측면을 밝힘과 동시에 적극적인 도움을 청하고, 은폐를 줄임으로써 우울 및 불안을 낮추는 개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Impact of Perfectionism and Academic Resilience on Subjective Well-being among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 Ko, Eun;Kim, Hye Young;Kang, Hee Sun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2-3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perfectionism, academic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subjective well-being i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his study was performed on 245 students currently studying in a national university in S cit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regarding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the academic resilience scal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linear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5.0 for Windows. Results: Participants' scores for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P), other-oriented perfectionism (OOP),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PP), academic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64.64±12.78, 53.62±8.90, 56.98±8.96, 92.60±19.55, and 82.93±9.72, respectively. SPP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r=- .27, p<.001), while academic resil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r=.20, p=.001).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SPP, and academic resilience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well-being and explained about 22% of the variance in subjective well-being.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identify various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well-being and accordingly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undergraduate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