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n school library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1초

교사의 학교도서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도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Librar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 안다인;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5-270
    • /
    • 2018
  • 학교도서관이 학교에서 핵심적인 교육요소로서 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학교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적절한 인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학교도서관에서 교사인식은 외부 환경 요인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의 학교도서관 인식이 학교도서관 요인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전제로 하고, 그 요소들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학교도서관과 교사인식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비교과교육적이고, 이는 학교도서관의 활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학교도서관이 통제 가능한 요소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도서관의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도서관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교사인식의 개선방안을 학교도서관 활동에서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학교도서관 담당교사의 인식을 통한 도서관 활성화 방안 연구 - 대구광역시 중등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School Library through Library Teacher's Perception)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47-172
    • /
    • 2003
  • 본 논문의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학교도서관활성화에 있어서 일반교사들의 역할과 중요성에 관하여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간단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본 논문의 중심내용으로 대구광역시 중등학교도서관을 담당하고 있는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도서관의 실태와 함께 도서관의 기능, 운영의 문제점, 개선방안 등에 관한 그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학교도서관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사서교사가 배치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현 체제하에서는 도서관담당교사의 업무경감, 도서관 연수교육 강화, 교내 도서관 지원부서 설치. 교육청의 강력한 학교도서관 지원정책과 전담부서 설치 등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중학생의 인지도분석 (A Study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Impact of School Libraries)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5-144
    • /
    • 2011
  •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이용실태와 도서관의 효과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고, 도서관 운영수준-사서교사 학교 사서교사는 없으나 이용 활성화 학교 비활성화 학교-에 따라 효과 인지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용실태로는 학교생활 속에서 학교도서관이 차지하는 비중, 이용빈도 도서관의 유익성, 이용 목적, 도서관활용수업의 효과 등을 조사하였다. 학교도서관의 효과에 대한 학생 인지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7개 영역 38문항으로 조사하였다. 7개 영역 전체의 평균은 5점 만점에서 3.24이며 실태조사와 인지도 조사에서 학생들은 학교도서관이 독서활동에서 가장 크게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학교도서관 운영수준별로 효과 인지도의 평균을 비교하면 사서교사 학교 3.37, 활성화 학교 3.20, 그리고 비활성화 학교 3.16이다. 학교도서관의 운영수준은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의 지표가 된다.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운영에 대한 사서의 인식조사 연구 - 부산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on the Operation of School Library Book Curation: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Busan)

  • 김미나;강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31
    • /
    • 2022
  • 이 연구는 부산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의 북큐레이션 운영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한 다음, 학교도서관에서의 북큐레이션 활성화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21년 기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의 학교도서관 현황을 활용하여 부산지역 304개 학교도서관 목록을 확보하여 사서가 배치되어 있는 121개 학교도서관을 선정한 다음 설문조사에 참여하기로 한 83개관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북큐레이션 운영현황과 사서와 사서교사의 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1) 북큐레이션에 대한 전문화된 교육의 확대와 제공, 2)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운영에 관한 자료의 개발과 보급, 3) 북큐레이션에 대한 역량강화를 위한 사서들의 지속적인 노력, 4) 학교도서관 사서 간의 협력과 정보 공유 등을 제안하였다.

휴먼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고등학교 도서관의 협력수업 사례에 관한 연구 - 서울 S여자고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igh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Using Human Library: Case of S Girls' High School Library in Seoul)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5-26
    • /
    • 2020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휴먼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도서관 협력수업의 바람직한 교육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의도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서울 S여자고등학교 도서관에서 운영된 휴먼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수업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여고 도서관에서는 다문화에 대한 인식 개선, 모두를 위한 월경권, 세대공감 메모로, 임신과 출산, 장애인 인식개선의 5개 휴먼라이브러리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둘째, 휴먼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휴먼북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상상을 하면서 몰입하게 되며, 궁금한 것이 있으면 질문할 수 있는 점이 좋다고 하였다. 또한 휴먼북으로 참여해 준 분들이 현실적인 조언을 해주어서 생각보다 배울 점이 많은 것 같고 의미가 있다고 하였다. 그동안 부정적으로 가지고 있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고 응답한 학생들은 다수였다.

초등학교도서관의 봉사 개선을 위한 교사의 기대 (Teachers' Expectations for Reforming Primary School Library Services)

  • 김병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19-146
    • /
    • 2001
  • 학교도서관 봉사의 목적이 학교 교육을 위한 것이므로 학교 교육의 목적과 학교도서관의 궁극적인 목적은 동일한 것이다. 학교도서관은 항상 새롭고 보다 훌륭한 시설과 풍부한 정보자료를 개발하여야 하며 유능한 전문직 사서교사는 교육과정에 적절하고 합리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봉사하여야 한다. 학교내외에서 야기되고 있는 저해 요인들로 실질적으로 유명 무실한 학교도서관을 보다 능률적이고 새롭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학생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교사들이 학교도서관에 대한 적절한 인식과 기대를 가지고 있다면 교사와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을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활성화시키는 초석이 될 것으로 간주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의 봉사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기대를 파악하여 향후 초등학교 도서관이 진정한 교수학습의 장으로 활용되도록 하는 제 방향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사서의 역할을 개관하고 이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 교사들의 인식과 기대에 대한 수준을 측정한 후 이에 따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결과 학교도서관에 대한 중요도, 사서교사의 배치 필요성, 다양한 봉사에 대한 기대,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수강에 대한 윤곽 등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 PDF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 역할 인식유형이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chool Library Roles on Their Library Use Behaviors)

  • 이승연;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75-401
    • /
    • 2023
  • 학교도서관은 학생들에게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장소로,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기본 역량과 변화 대응력을 키울 수 있는 곳이다. 학교도서관의 활용은 교사의 지도가 필수적이므로 교사의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교사의 인식을 외부환경으로 간주하여 그 중요성을 계량적인 척도로 측정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학교도서관 인식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사람 중심적인 접근 방법인 잠재프로파일 분석기법(Latent Profile Analysis, 이하 LPA)을 사용하여 기존 연구에서 검토하기 어려웠던 교사의 학교도서관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복합적인 인식과 그 인식의 대표적인 유형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사의 인식유형에 따라 학교도서관의 운영과 활성화 방안을 맞춤형으로 제안하였다.

한국 공공도서관장의 전문직의식과 그 영향요인 (A study on the professional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directors and its influential factors)

  • 김포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8권
    • /
    • pp.1-3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rofessional perception of the public library directors in Korea, and to measure and to compare the perceptional difference between Directors that have or have not of Librarian's license. The authors obtained data through questionaires by mail to 188 directors of public Libraries. The number of respondents which become available for analysis was 188 and the response rate was 58.8%.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ofessional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Directors differs from the qualification for a librarian. 2. The Librarian's license made difference with regards to perceptional attitudes, consciousness of services, satisfying on job situation of Directors. 3. The professional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Directors may have influence on each others of a school career, task work, colleague understandings on the gob situations. 4. but the difference have no significance statiscally. 5. Thus we need to study other types of organization and influencial variables for generalization of this study.

  • PDF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A Study of the Roles of the Teacher-Librarians as Perceived by Supervisors, Principals, Teachers and Teacher-Librarians in Korea)

  • 김병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7권
    • /
    • pp.229-259
    • /
    • 1989
  • The school library plays very important and central role for the fullfillment of educational objective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media specialist known as teacher-librarian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and effective management of the media center. It is true that effectiveness of the school library depends greatly on the cooperative coordination among teacher-librarian, teacher and principal in addition to the strong support and effective supervision of school district authority, specifically, supervisor of school library program. The successful program therefore is influenced by their perception of the teacher-librarian's ro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er-librarian's. educational role perceived by teacher-librarian, teacher, principal and school district supervisor. A standard task model describing both the management and educational functions and expectations of teacher-librarian was proposed after studying the relevant current standards of four countries. Serveral hypotheses were made regarding role perception and a survey instrument was designed based on this proposed task model and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to validate the hypotheses. The questionnaires were mailed out and the returned questionaires were analyzed by SPSS computer routine.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difference of the role perception among teacher-librarian, teacher, principal and district supervisor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01 for both management and educational functions of teacher­librarian. The mean score of the teacher-librarian was highest among four groups and the score for the educational function tasks were lower than that of management function tasks. 2) The positive correlation exist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01 between the role perception and the attitude toward changing social trends such as acceptance of new technology, need for bette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3) The positive correlation exist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01 between the role perception and the view on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 PDF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 이용 경험과 역할 인식이 협력 독서교육 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ers' School Library Use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Library's Roles on Cooperative Reading Education Intention in Elementary Schools)

  • 윤설리;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63-187
    • /
    • 202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사서교사와의 협력 독서교육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협력 독서교육을 위해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해야 할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지역 초등학교 9개 학교, 교사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의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선별 과정을 거쳐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의 도서관 역할, 이벤트 역할 인식은 초등학교 교사가 협력 독서교육에서 효과를 기대하며, 사서교사(사서)가 전문성이 있다고 인식했다. 하지만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인식은 협력 독서교육의 기대효과와 필요성을 낮게 인식했으며 사서교사(사서)의 전문성도 낮게 인식했다. 본 연구는 협력 독서교육 방안과 그 안에서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어디에 두어야 할지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