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f usefulness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23초

고등학교 과학과 선수과목 이수에 대한 이공계열 대학생들의 인식 조사 (A Survey Research on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n Completing Prerequisite Science Courses in High School)

  • 이일;곽영순;조향숙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2호
    • /
    • pp.195-20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이공계열 대학생들의 과학과 선수과목 이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고등학교 과학 교과의 선택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516명의 이공계열 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과 관련성 높은 고등학교 과학 과목에 대한 인식 및 관련 교과목 이수 실태, 학과 적응, 전공 공부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공계 대학생들은 9개 전공 계열 중 5개 계열에서 물리를, 3개 계열에서 화학을 자신의 전공과 관련성이 높은 과학 영역으로 지목하였다. 고등학교에서 전공과 관련성이 높은 과학I, II 과목을 모두 이수한 집단이 학과 만족, 해당 과목 이수 여부가 전공 공부에 미치는 영향 등에서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II 과목이 개설될 수 있는 여건 조성, IT와의 연계성 제고를 통한 과학 II과목의 경쟁력 향상, 고등학교 과학과 선수과목과 대학전공 공부의 연계성에 관한 보다 실증적인 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의료서비스충성도에 대한 QR정보서비스의 효과 (The Effect of QR Information Service on Medical Service Loyalty)

  • 김미라;황윤용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119-128
    • /
    • 2022
  • 본 연구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의료서비스를 대상으로 QR코드를 활용한 정보서비스가 고객의 서비스품질 인식과 이후 충성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의료기관이 QR코드의 유용성과 신뢰성 등을 활용하여 물리적 환경에 대한 위치정보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고객들의 QR정보에 대한 지각된 품질이 강화되며, 더 나아가 향후 의료서비스에 대한 충성행동도 증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오늘날 대중적 디지털 매체로서 스마트폰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마케터들은 QR코드를 활용하여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4차원적 정보서비스를 연계하여 제공함으로써 고객과의 상호작용적 체험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은 기업들에게 단순한 서비스정보의 제공에서 더 나아가 서비스이미지 향상과 충성도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유비쿼터스 미디어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성 요인에 관한 연구 (The Interactive Factors of Ubiquitous Media Affected on the Intention of Convergence Service Adoption)

  • 김주안
    • 통상정보연구
    • /
    • 제9권2호
    • /
    • pp.19-40
    • /
    • 2007
  • In recent, T-commerce is widely dispersed as alternative type of commerce. It is forecasted that t-commerce system is used more than e-commerce system. Therefore more and more t-commerce-related industries are also recognizing that t-commerce is a critical business model. It is need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commerce and develop the t-commerce marketing strategy. CEO analyses consumer's behaviors according to the data about buyers and applies the advantage of t-commerce to the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This t-commerce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ximiz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affecting their intention to reuse it.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commerce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divide between use-intention group and unuse-intention group by taking out a discriminant function by the discriminant analysis. This lays a foundation in developing T-commerce strategy. According to the discriminant function extracted, convenience factor, amusement factor, system quality factor, product perception factor are significant in the sequence of influential degree. However, usefulness factor and speedy connection factor are not significant. In result, the target hitting rate is 77.9% in the first unuse-intention group and it is 95.2% in the second use-intention group. The total discriminant target hitting rate is computed to higher value, 86.55%. The statistic package, SPSS 12.0, is used to survey and analyse data and test the hypothesi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variables are verified by both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The discriminant analysis is used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use-intention group and unuse-intention group.

  • PDF

캐러셀 디자인의 UX 연구 (A Study on Carousel Design UX)

  • 이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571-576
    • /
    • 2020
  • 사용자가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특정 사이트를 방문 했을 때 스크롤 없이 볼 수 있는 메인 영역에 위치 하고 있는 히어로 이미지는 다중의 슬라이드를 포함하면서 다양한 캐러셀 탐색 패턴을 가지게 되었다. 캐러셀 디자인은 숨겨진 슬라이드로 인해 사용자의 선택을 받지 못한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있는 반면, 사용자가 방문한 사이트의 사용 목적 및 사용자의 컨텍스트에 따라 그 유용성이 달라 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캐러셀 디자인의 탐색 패턴은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좌우 화살표 탐색 패턴, 하단 페이지네이션 탐색 패턴, 아코디언 형태 탐색 패턴, 썸네일 형태 탐색 패턴, 분할된 슬라이드 형태 탐색 패턴, 그리고 마지막으로 좌우 슬라이드 탐색 패턴의 여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정보보안이 안드로이드와 iOS 기반 스마트폰 소비자 선호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Security on Consumer's Preference of Android and iOS based Smartphone)

  • 박종진;최민경;안종창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05-119
    • /
    • 2017
  • 현재 국내 인구의 85% 이상이 스마트폰을 사용 중이며, 개인의 사생활과 다양한 정보들이 스마트폰 내부에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를 불법으로 취득하고자 악성코드와 스파이웨어 등을 유포하여 사용자에게는 금전적인 피해를 입히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하는데 있어 정보보안의 필요성은 불가피하며 사용자의 보안 인식이 중요시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보안이 사용자들의 스마트폰 운영체제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한 응답지 218개를 샘플로 통계분석 프로그램 IBM SPSS Statistics 22를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통한 공통성, 신뢰성 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하드웨어 환경에 따라 지각된 용이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마트폰의 사용을 통해 즐거움을 얻고 편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의도는 스마트폰의 하드웨어가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뒷받침되어야 함이 검증되었다. 또한 브랜드 영향력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모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개인위험 감수정도에 따라 스마트폰 스파이웨어 위험성을 인지하는데 차이가 있다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개인위험 감수정도, 스파이웨어 위험성이 스마트폰 구매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한편 안드로이드와 iOS 운영체제(OS) 사용자의 집단간 차이분석 결과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스마트폰 관련 기업 및 실무자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고, 정보시스템 관련 분야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성을 가진다.

비외상성 피질하 뇌혈관질환 환자에서 인지평가도구로서 정신상태소검사(MMSE)와 간이인지평가척도(BCRS)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linical Usefulness of MMSE and BCRS for Cognitive Function Test in Patients with Non-Traumatic Subcortical Cerebrovascular Disease)

  • 최홍;이영호;최영희;고대관;정영조;박병관;김수지;정숙희;고병희;송일병;박건우;이대희
    • 수면정신생리
    • /
    • 제3권1호
    • /
    • pp.68-78
    • /
    • 1996
  • 연구목적 : 각종 질병에서 임상적으로 인지기능평가 및 선별검사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정신상태소검사(MMSE)와 간이인지평가척도(BCRS)가 비외상성 피질하 뇌혈관질환 환자에서 인지기능평가에 유용한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경희대 한방병원 및 고려대부속병원 신경과에 입원하거나 통원치료중인 비외상성 피질하 뇌혈관 질환 환자 85명과 정상대조군 1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환자군중 65명을 뇌영상 촬영소견에 따라 좌반구손상(21명), 우반구손상(31명), 양반구손상(13명) 환자군으로 나누었다. 이들에게 인지기능은 벤튼신경심리검사(Benton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 BNA)로, 일상생활기능면은 노인상태에 대한 보호자 측정척도(Geriatric Evaluation by Relative's Rating Instrument : GERRI) 및 도구적 일상생활 활동척도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 IADL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1) BNA는 좌우지남력과 운동지속성을 제외하고는 모든 하위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MMSE 총점수와 하위척도 모두든 환자군과 정상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CRS는 최근기억과 자신돌봄항목에서만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편측성에 따른 세군간의 비교에서 BNA는 촉각형태검사(좌측), 손가락위치검사(좌, 우측)에서 세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MMSE나 BCRS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일상생활기능과 MMSE, BCRS와의 상관관계에서 정상대조군에서는 MMSE, BCRS의 총점수 및 하위 척도점수가 노인상태에 대한 보호자 측정척도(GERRI)의 인지기능 하위척도점수와만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반면, 환자군에서는 노인상태에 대한 보호자 측정척도(GERRI)의 인지기능척도점수 이외에도 사회적 기능척도점수 및 도구적 일상생활 활동척도(IADLs) 점수와도 유의한 상관을 가져 두 군간에 차이를 보였다. 결론 : MMSE와 BCRS는 비외상 피질하 뇌혈관질환 환자에서 인지기능평가나 편측성 구분에 유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 검사는 환자군에서 일상생활기능과 같은 기능수준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 PDF

건강행위시행 변화단계에 따른 의사결정의 균형: 운동, 금연, 유방조영술 검진, 질회음근 강화운동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Stage of Change and Decisional balance : Exercise Acquisition, Smoking Cessation, Mammography Screening and Kegel's Exercise Acquisition in Korea)

  • 장성옥;박영주;박창승;임여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265-1278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perception of decisional balance of Korean subjects about 4 health behaviors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 of decisional balance for exercise acquisition, smoking cessation, mammography screening and Kegel's exercise acquisition. All are representative health behaviors nurses can intervene in Korea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Convenient samples of 2,484 subjects (191; exercise, 169; smoking cessation, 1903; mammography screening and 221; Kegel's exercise) were selected from cities and counties over 9 provinces throughout Korea,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anuary 1, 1999 to February 29, 2000. The research instrument were the Decisional Balance Measure for Exercise (Marcus & Owen., 1992), Smoking Cessation (Velicer et al., 1985), Mammography Screening (Rakowski et al.,1992) and Kegel Exercise (Lim, 1999) and Stage of Change Measure for Exercise (Marcus et al, 1992), Smoking Cessation (DiClemente et al., 1991), Mammography Screening (Rakowski et al.,1992) and Kegel's Exercise (Lim, 1999).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SA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measure, 2,484 subjects were distributed in each stage of change for four health behaviors: 1,233 subjects (49.8%), 745 subjects (30.2%), 113 subjects (4.7%), 156 subjects (6.5%), and 216 (8.7%) belonged to the pre- contemplation stage, contemplation stage, preparation stage, action stage and maintenance stage. They were all series of stages of change in their efforts to do health behavior. 2. Factor analysis identified 3 factors (1 of Pros, 2 of Cons) for the exercise, 4 factors for smoking cessation (2 of Pros, 2 of Cons), 2 factors (1 of Pros, 1 of Cons) for the mammogram screening and 2 factors (1 of Pros, 1 of Cons) for Kegel's exercise of decisional balance. 3. The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comparison analysis showed that for all 4 samples, the Cons of changing the problem behaviors outweighed the Pros for subjects who were in the pre- contemplation stage, The opposite was true for subjects in action and maintenance stage. 4. Through the discrimina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one factor of Pros for exercise, one factor of Cons for smoking cessation, 1 factor of Cons for mammogram screening and one factor of Cons for Kegel's exercise were the more influencing factors, than others in discriminating the stages of chang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applications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which have been used to understand how people change health behaviors. This results provide some evidence that subject's report of his/her health behavior corresponds to beliefs about usefulness of related health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patients' health education and health intervention strateg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give useful information for nursing educators for 4 health behaviors, especially the factors relating to decision making in the different stages of change.

  • PDF

인터넷 뱅킹에서 오프라인 신뢰와 온라인 거래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Offline Trust and Online Transaction in Internet Banking)

  • 이웅규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7권2호
    • /
    • pp.29-47
    • /
    • 2007
  • Owing to the rapid growth of using the Internet, not only click-and-mortar companies but also brick-and-mortar ones have been expanding their distribution channels into online, Moreover, since online channels are more attractive than offline ones in control and maintenance, switching customers into online ones is emerged as one of very important managerial issues in a view of reduction of cost as well as expansion of services. However, the switched customers should be faced by uncertainties which could not have been experienced in offline. Specifically, in online channels, buyers and sellers are separated temporally and spacially and there are always so many kinds of threat for security as well as not enough systems and conventions for them yet. Therefore, trust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critical mechanisms for resolution of such uncertainties in online transactions. However, it is not easy to build and maintain the relationships in online since most of them are virtual and indirect generally. Therefore, in order to switch offline customers into online ones,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strategies based on ident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transaction and offline trust which has been built in offline business. Generally offline trust, which has been built independent of online, could not include trust for online-dependent activities such as payment security during or after transactions, while most of online trust include it. Therefore, a customer with high offline trust does not always perceive high security and assure safe transactions. Accordingly, while online trust, where technical capabilities for online security is one of main bases, includes control trust implicitly or explicitly, offline trust does not. However. in spite of such clear discrimination and independence between offline trust and perceived security, there can be the significant dependency between these two beliefs. The customers with high offline trust believe that the company would do some activities for online security for customers' safe transactions since it has been believed of doing well for customers' trust. Theoretically, users' perception of security is interpreted as a kind of control trus, which is trust for company's technical control capacities in order to resolve technical uncertainties in online.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beliefs can be considered as transference from offline trust to another type trust. that is, control trus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offline trust on online transaction uses mediated by perceived security. For this purpose, we suggest a research model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Reuse intention is adopt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AM is modified by adding perceived risk (PR) as well as two beliefs of using Internet banking, perceived usefulness (PU) and perceived ease of use (PEOU). Moreover, perceive security (PS) is adopted as an external variable for PR and PU, while offline trust (OT) is an antecedent of PS. For an empirical test, sampling from 108 visitors to the banks in Daegu, Korea, we analyze our model by partial least square (PLS) approach. In result, our model is shown to explain 51.4% of the variance in reuse intention and all hypothesis are supported statistically. A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role of PS between offline trust and reuse intention of using online transaction services. According to our result, PS can be considered as a mediation variable for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concepts: trust that explains social aspects of customers and companies, and TAM that explains customers' reuse intention.

아동의 기호식품섭취와 어린이기호식품정책과의 관련성 분석 (Relationship between the Intake of Children's Favorite Foods and Policy based on Special Act on Safety Control of Children's Dietary Life)

  • 우태정;유지혜;이경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6-116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children's favorite foods intake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policy environment based on the Special Act on Safety Control of Children's Dietary Life for suggesting a supportive policy strategy. Methods: The subjects were 4th grade students (n=1,638) in elementary school from 45 schools collected from seven areas (Seoul, Daegu, Daejeon, Gyeonggi, Chungnam, Jeonbuk, and Gyeongnam).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in class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teacher.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such as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requency of intake of the children's favorite foods, and policy cognition. A t-test and ANOVA were appli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children's favorite foods intake and policy cognition. The survey was implemented from August 2016 to September 2016. Results: For the boys, the frequency of 'high-calorie low nutrient foods intake' (HCL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irls (p<0.01). For the children who received information on their favorite foods from the internet, the frequency of HCLN was higher than the other sources (p<0.01). The time of TV viewing and computer usage, and smartphone usage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frequency of HCLN, and a lower healthy favorite food intake (all p<0.001). The intake frequency of healthy favorite foods indica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olicy cognition, including policy perception, usefulness, necessity and buying intention, and educational experience.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a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children's favorite foods intake and policy. In particular, the frequency of children's healthy favorite foods intake indicated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policy than the frequency of HCLN.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consumption of children's healthy favorite food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ducational experience. To develop a supportive policy for a good dietary environment for children, there is a need to focus on how to collaborate with multiple levels of influences, such as the national level, school level, and family.

방연마스크에 대한 사용자 인식, 인증 현황 및 착용성 조사 (Investigation on Users' Perception and Certification Status and Donning of Smoke Masks)

  • 손현우;박영은;이응우;김은지;최영보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1호
    • /
    • pp.68-73
    • /
    • 2023
  •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 화재 대피용 방연마스크에 대한 관심과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시중에 유통되는 방연마스크의 성능 인증 여부와 일반인들이 방연마스크를 적절하게 착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조사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방연마스크가 화재 현장에서 피난안전성을 실제로 높일 수 있는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는 방연마스크에 대한 일반 사용자의 인식 현황 및 사용 경험을 조사하고, 교육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유통 중인 방연마스크 제품들이 국내외 성능 기준에 따라 인증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아울러 실험을 통해 방연마스크의 착용 신속성 및 활동 편의성을 평가하였다. 235명의 응답자 중 방연마스크를 실제 사용해 본 응답자는 22%에 그치고, 23%는 방연마스크를 모름에도 불구하고, 93%의 응답자는 방연마스크가 화재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기대했다. 국내에서 유통 중인 54개의 방연마스크 중 약 41%의 제품이 성능 인증을 받지 않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국내외 다양한 성능 기준들 중에서 ASTM E 2952 및 KFIS 024만 방연마스크의 착용 신속성을 30초 이내로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4가지 형태의 방연마스크를 대상으로 착용 신속성을 실험한 결과, 후드형 방연마스크와 자급식 방연마스크는 30초 이내로 착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정화식 방연마스크에 비해 자급식 방연마스크를 착용하면,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심리적/물리적 불편감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방연마스크의 착용 교육을 받은 경우, 착용 시간은 약 19%, 오착용 횟수는 약 89% 감소하여, 적절한 착용 교육과 훈련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