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nt body fat

검색결과 382건 처리시간 0.031초

경남 일부지역 고혈압 남성의 영양 상태에 관한 연구 (Nutritional Status of Hypertensive Men in Gyeongnam Area)

  • 박혜진;최예지;김성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97-307
    • /
    • 201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tatu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52 middle aged men divided into normotensive and hypertensive groups according to the Joint National Committee(JNC)-7 criteria. The mean blood pressures of the normotensive and hypertensive groups were $109.8{\pm}1.8$ / $68.9{\pm}1.7mmHg$, and $146.8{\pm}4.6$ / $90.5{\pm}2.9mmHg$, respectively. The percent body fat (PBF), waist to hip ratio (WHR), and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Na, Cl, alanine transferase (ALT), and atherogenic index (A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ypertensive group than normotensive group. The intakes of energy, protein, lipid, vitamin B1, niacin, and intake ratio of Na/K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ypertensive group than normotensive group. Our findings suggest that decreasing PBF, WHR,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NaCl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evention of hypertension. It also suggests that decreasing intakes of energy, protein, lipid, vitamin B1, niacin, and Na/K ratio are crucial in order to prevent hypertension.

여성노인에 대한 스트레칭운동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a Stretching Exercise Program in Elderly Women)

  • 김이순;정인숙;정향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3-131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ten-week stretching exercise program on physiological, psychological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mong elderly women. Methods: Us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ten-week stretching exercise program 3 times a week from March to May in 2002. They were divided into 22 persons in the experimental groups in 2 halls where the program was incorporated, and 22 persons in the control group in 2 halls, where the program wasnot incorporated.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he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and ANCOVA was considered significant as a 2-tailed 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diastolic blood pressure(P=0.023), total cholesterol (P=0.019), triglycerides (P=0.002), spine ROM(P=0.000), trunk and hip-joint ROM(P=0.000), percent of body fat(P=0.039) as physiological functions, depression(P=0.041) as a psychological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P=0.001)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A stretching exercise program showed good effects on improving physiological functions, psychological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the elderly women in a city. Therefore, we recommend this program be utilized as a health promoting program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비만클리닉에 내원한 여성의 심리적 특성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omen in the Obesity Clinic)

  • 박샛별;연규월;우행원
    • 정신신체의학
    • /
    • 제11권2호
    • /
    • pp.137-148
    • /
    • 2003
  • 연구목적: 비만클리닉에 내원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식이제한 태도 및 우울증상, 스트레스 등 심리적인 문제들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비만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방 법: 2001년 5월 한 달 동안 아주대학교병원과 서울 시내에 소재한 비만 클리닉에 내원한 여성 150명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신체적 특성, Three Factor Eating Questionnaire, Symptom Check List-90-R(SCL-90-R), 스트레스 인지척도 등을 설문 조사하였고 저자가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를 측정하였으며, 이 중 설문지의 답을 충실히 기입한 1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연구대상 중 체질량지수 $25.0kg/m^2$ 이상인 비만군은 50.0%였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체질량지수가 증가하였다(p<0.001). 정상이하 체중군에서 미혼인 경우가 48.8%로 비만군 13.8%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흡연률 및 음주율과 체질량지수와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Three Factor Eating Questionniare는 체질량지수와 체지방과 비교해 볼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Factor 2(Disinhibition)와 Global Severity Index(r=0.27, p<0.01), Factor 3(Hunger)과 Global Severity Index(r=0.24, p<0.01)와는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Symptom Check List-90-R의 각 증상척도는 편집증 척도만이 과체중군과 비만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대상군 모두 Symptom Check List-90-R의 전체 척도가 50점 이하였으나 각 증상척도는 정상이하 체중군과 비만군이 과체중군에 비해 높은 경향이 있었다. Global Severity Index와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r=0.75, p<0.01), Global Severity Index와 스트레스 인지척도(r=0.32, p<0.01) 간에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를 체지방 정도에 따라 정상군과 비만군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비만군에서 우울증상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스트레스의 정도는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대상군 모두 높은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인지척도가 Factor 2(r=0.29, p<0.01) 및 Factor 3(r=0.37,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아 스트레스가 식이제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스트레스 인지척도가 Symptom Check List-90-R 중 우울척도, Global Severity Index 및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아 스트레스가 심리적인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r=0.33, r=0.32, r=0.34, p<0.01). 결 론: 비만한 사람들은 우울을 비롯한 심리적 고통을 더 많이 가지며 스트레스 점수가 높고, 이는 식이제한 태도와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비만클리닉을 방문하는 사람들의 정신과적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 및 정신과적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ietary Aloe Reduces Adipogenesis via the Activation of AMPK and Suppresses Obesity-related Inflammation in Obese Mice

  • Shin, Eun-Ju;Shin, Seul-Mee;Kong, Hyun-Seok;Lee, Sung-Won;Do, Seon-Gil;Jo, Tae-Hyung;Park, Young-In;Lee, Chong-Kil;Hwang, In-Kyeong;Kim, Kyung-Jae
    • IMMUNE NETWORK
    • /
    • 제11권2호
    • /
    • pp.107-113
    • /
    • 2011
  • Background: Metabolic disorders, including type II diabetes and obesity, present major health risks in industrialized countries.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has become the focus of a great deal of attention as a novel therapeutic target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whether dietary aloe could reduce obesity-induced inflammation and adipogenesis. Methods: Male C57BL/6 obese mice fed a high-fat diet for 54 days received a supplement of aloe formula (PAG, ALS, Aloe QDM, and Aloe QDM complex) or pioglitazone (PGZ) and were compared with unsupplemented controls (high-fat diet; HFD) or mice fed a regular diet (RD).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were used to quantify the expression of obesity-induced inflammation. Results: Aloe QDM complex downregulated fat size through suppressed expression of scavenger receptors on adipose tissue macrophages (ATMs) compared with HFD. Both white adipose tissue (WATs) and muscle exhibited increased AMPK activation through aloe supplementation, and in particular, the Aloe QDM complex. Obesity-induced inflammatory cytokines (IL-$1{\beta}$ and -6) and $HIF1{\alpha}$ mRNA and protein were decreased markedly, as was macrophage infiltration by the Aloe QDM complex. Further, the Aloe QDM complex decreased the translocation of NF-${\kappa}B$ p65 from the cytosol in the WAT. Conclusion: Dietary aloe formula reduced obesity-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by activation of AMPK in muscle and sup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WAT. Additionally, the expression of scavenger receptors in the ATM and activation of AMPK in WAT led to reduction in the percent of body fat. Thus, we suggest that the effect of the Aloe QDM complex in the WAT and muscle are related to activation of AMPK and its use as a nutritional intervention against T2D and obesity-related inflammation.

An association between diet quality index for Koreans (DQI-K) and total mortality in Health Examinees Gem (HEXA-G) study

  • Lim, Jiyeon;Lee, Yunhee;Shin, Sangah;Lee, Hwi-Won;Kim, Claire E;Lee, Jong-koo;Lee, Sang-Ah;Kang, Daeh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3호
    • /
    • pp.258-264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Diet quality scores or indices, based on dietary guidelines, are used to summarize dietary intake into a single numeric variabl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odified diet quality index for Koreans (DQI-K) and mortality among Health Examinees-Gem (HEXA-G) study participants. SUBJECTS/METHODS: The DQI-K was modified from the original diet quality index. A total of 134,547 participants (45,207 men and 89,340 women) from the HEXA-G study (2004 and 2013) were included. The DQI-K is based on eight components: 1) daily protein intake, 2) percent of energy from fat, 3) percent of energy from saturated fat, 4) daily cholesterol intake, 5) daily whole-grain intake, 6) daily fruit intake, 7) daily vegetable intake, and 8) daily sodium intake. The association between all-cause mortality and the DQI-K was examined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s. Hazard ratios and confidence intervals were estimated after adjusting for age, gender, income, smoking status, alcohol drinking, body mass index, and total energy intake. RESULTS: The total DQI-K score was calculated by summing the scores of the eight components (range 0-9). In the multivariable adjusted models, with good diet quality (score 0-4) as a reference, poor diet quality (score 5-9)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all-cause mortality (hazard ratios = 1.23, 95% confidence intervals = 1.06-1.43). Moreover, a one-unit increase in DQI-K score resulted in a 6% higher mortality risk. CONCLUSIONS: A poor diet quality DQI-K score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mortality. The DQI-K in the present study may be used to assess the diet quality of Korean adults.

카드미윰이 누에의 생리에 미치는 영향 I. 누에의 각 조직기관의 발육과 카드미윰의 분포량 (Studies on the Effect of Cadmium on the Physiology of Silkworm, Bombyx mori L. I. With Reference to the Development of the Various Organs and Tissues)

  • 최진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1-37
    • /
    • 1987
  • Cd를 농도별로 뽕잎에 분무하여 5령 기잠부터 급상한 후 잠업량 기관 및 조직의 건물중량과 이들의 Cd 및 Zn함량을 분석하였고 또한 이들의 누에 생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엽에 Cd를 분무처리한 후의 Cd 잔유량은 처리량의 약 50% 정도였다. 잠업량은 무처리구보다 Cd처리구가 적었으며 암수별로 보면 무처리구는 암컷이 많은데 비해 Cd처리구는 암컷이 적었다. 2. 전부 및 중부사선의 중량은 Cd 100ppm처리구에서 암컷은 모두 14% 감소했고 숫컷의 전부사선은 95 감소하였으나 후부사선은 감소하지 않았다. 3. Cd 100ppm처리상엽의 급여로 건물중량에 가벼워진 것은 견사선, 지방체, 후장 등이며 무거워진 것은 중상과 말피기관이었다. 누에 전체 건물중량은 암수 모두 Cd 100ppm처리로 가벼워지고 그 비율은 암컷에서 크게 나타났다. 4. 각 기관조직에서 Cd함량은 무처리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Cd처리구에서는 중상>후상>말피기관>두부순이며 지방체와 견사선에서는 적게 축적되었다. 5. Cd축적량은 암수별로 보면 중상에는 숫컷이 많아Td나 그외의 견사선, 지방체, 말피기관, 두부, 기관, 피층조직 등에서는 암컷에서 축적이 많았다. 6. 누에 전체 Zn함량은 무처리구가 60ppm 이하인데 비해 Cd 100ppm처리구에서는 80ppm 이상이였다. 그리고 Cd처리구에서의 Zn함량이 증가된 부위는 견사선, 말피기관 및 중상 등이였고 지방체에서는 감소하였다. 7. Cd처리구의 견사선에서는 Cd는 암컷에서, Zn은 숫컷에서 많이 축적되었다.

  • PDF

12주간의 학교 비만 관리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비만 아동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12-week, school-based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obese primary school children)

  • 김한규;임고운;김혜순;홍영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3호
    • /
    • pp.335-340
    • /
    • 2010
  • 목 적 : 최근 우리나라는 과영양과 운동부족으로 인하여 소아 비만이 급등하고 있는 추세이나 소아의 체중 조절은 성인에 비하여 어려운 점이 많고 성인 비만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많아서 보건 건강의 당면한 문제가 되었다. 연구자들은 초등학교 비만 소아를 대상으로 학교 비만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8년 3월에 경기도에 위치한 1개 초등학교 학생(6-12세) 995명에 대해 신체 검진을 시행하였고 그 중 체질량지수가 95백분위수 이상인 비만 아동 101명을 대상으로 학교 특별활동수업에 12주간 영양 교육 프로그램과 운동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학교 비만 관리 프로그램 전에 키, 몸무게, 허리둘레, 혈압을 측정하였고 생체전기저항법에 의한 체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비만 프로그램 후 신체계측, 혈압 측정 및 체성분 분석을 추적 검사하였고 비만 프로그램 전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2주간의 학교 비만 관리 프로그램 후 남녀 모두 체중과 신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0.05). 남녀 모두 체질량지수와 비만도,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1). 남아의 경우 61.4%, 여아의 경우 66.7%에서 체질량지수가 감소되었다. 비만 프로그램 후 체성분 분석 결과, 남녀 모두에서 단백질이 증가하였고(P <0.01), 체지방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0.05). 남녀 모두에서 총체수분량과 체지방률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P <0.01), 기초대사량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1). 학교 비만 관리 프로그램 전 후의 단백질, 체지방, 총체수분량, 체지방률 및 기초대사량의 변화량과 체질량지수의 변화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P <0.05), 다중회귀분석결과 단백질과 체지방의 변화량이 체질량지수 변화량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P <0.01). 결 론 : 초등학교 비만아를 대상으로 12주 동안 영양 교육 프로그램과 운동 교육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학교 비만 관리 프로그램을 시행한 결과, 체질량지수와 함께 비만도, 혈압이 감소되었고, 체지방률이 감소되었기 때문에 학교 비만 관리 프로그램은 소아비만의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탄력밴드 운동이 노인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지속적 효과 (The Effect of Elastic Band Exercise Training and De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Fitness in the Elder)

  • 소위영;송미순;조비룡;박연환;김연수;임재영;김선호;송욱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247-1259
    • /
    • 2009
  •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근육은 감소 현상(sarcopenia)을 나타낸다. 근육의 감소는 노인의 의료비 증가와 직접적인 관련성은 없어 보이지만, 근육의 감소가 근력의 감소로 연결되어 체력의 약화, 활동성의 감소, 낙상의 증가 등과 같은 독립적인 생활을 감소시킨다. 이는 신체장애로 연결되며, 또다시 당뇨,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등과 같은 만성퇴행성 질환으로 연결된다. 결국, 근감소증은 사망률을 상승시키는 잠재 위험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탄력밴드 운동을 통한 근감소증 예방과 관련된 변인인 신체조성 및 체력의 향상된 변화와 더불어 운동 중단에 따른 운동효과의 상쇄(相殺) 정도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피검자는 S시 J구 J노인복지관 운동프로그램에 참가하는 60-70대의 노인 14명으로 선정하였다. 12주 동안의 탄력밴드 운동은 주2회의 빈도로 실시하였다. 측정시기는 12주간의 통제전, 통제후(운동전), 12주간의 운동 후(운동중단 전), 12주간의 운동중단 후로 신체조성 과 체력 변인을 측정하였다. 12주간의 통제전·후 신체조성과 체력 변인에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12주간의 운동전·후 신체조성의 체중(t=2.978, p=0.001), 체질량지수(t=3.502, p=0.004), 체지방율(t=2.216, p=0.045), 근육량(t=-3.837, p=0.002), 내장지방면적(t=5.186, p<0.001), 허리-엉덩이 둘레비(t=3.045, p=0.009) 모든 변인에서, 체력의 2분 제자리 걷기(t=-6.891 p<0.001), 덤벨들기(t=-4.702, p<0.001),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t=-4.860, p<0.001), 의자앉아 앞으로 굽히기(t=-5.910, p<0.001), 등 뒤에서 손잡기(t=-3.835, p=0.002), 244cm 왕복 걷기(t=7.560, p<0.001)의 모든 변인에서 운동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그 효과가 12주간의 운동중단 후에도 신체조성의 체중(t=2.323, p=0.037), 체질량지수(t=2.503, p=0.026), 근육량(t=-3.137, p=0.008) 변인에서, 체력의 2분 제자리 걷기(t=-6.489 p<0.001),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t=-4.694, p<0.001), 의자앉아 앞으로 굽히기(t=-3.690, p=0.003), 244cm 왕복 걷기(t=7.539, p<0.001)의 변인에서 그 유지가 지속되었다. 노인에게 있어서 탄력밴드 운동은 신체조성 및 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며, 그 운동의 효과가 12주가 경과되어도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북 일부 지역 남, 녀 대학생들의 식품기호도와 식습관에 관한 연구 (Food Preferences and Dietary Habits of University Students in Kyungbuk Province)

  • 박경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27-54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od preferences and dietary habits of university students in Kyungbuk province. We assess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food preferences, and dietary habits of seventy nine male and sixty nine female students at K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with $\chi$$^2$, t, and ANOVA test using SPSS package program. The percentages of students who were underweight, normal and overweight by body mass index (BMI) were 18.0, 22.1, and 27.7 for males, and 17.8, 21.7, and 28.7 for females, respectively. Preferences for noodles with bean sauce, bread (castella, red-bean bread), beef, pork, chicken, ham, garlic, milk soy bean milt carbonated drink ionic beverages, bun (fried, steamed), croquette, soju(alcohol) and tobacco were higher in males than females, but preferences for tangle, strawberry and orange were lower in males than females. Males did not skip meals compared to females, and ate more meat fat than females. Males exercised more frequently and longer than females. Eighty six point eight percent of females and 69.7% of males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weights, and females attempted the weight control more than males. Preferences for bibimbab(boiled rice with assorted mixtures), ionic beverages, and beer were shown higher in overweight males than in normal ones and preference for red fish, hamburger, and chocolate were higher in underweight females than overweight ones. Overweight females skipped meals more and ate more meat fats than normal weight ones. Normal weight males and underweight females were satisfied with their weigh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university students need more nutritional education, and modification of dietary habits based on food preference to prevent and treat obesity and to maintain their health.

  • PDF

경옥고 섭취가 고등학교 축구선수의 운동수행능력 향상 및 피로 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yungohkgo on Aerobic Capacity and Anti-fatigue in High School Soccer Players)

  • 김동건;박원형;차윤엽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934-944
    • /
    • 201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yungohkgo to improve aerobic capacity and eliminate exercise-induced fatigue in high school soccer players. Twenty four subjects were participated and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KG, Kyungohkgo group (n=12); PG, Placebo control group (n=12)]. Two groups were completed treadmill exercise protocol using graded exercise test at before and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of 4 weeks. The $VO_2$max and endurance time were measured by gas analysis and heart rate (HR) was measured by polar system at pre, post 0, post 5, post 15, post 30 and post 60 minute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to analyze blood components. 1. The $VO_2$max was significant increased in the group of after intake Kyungohkgo compared to the group of after intake placebo (p<.05). 2. The HR was significant decreased in the group of after intake Kyungohkgo compared to the group of after intake placebo during recovery time at post 5 mins(p<.05), 30 mins(p<.01), 60 mins(p<.01). 3. Weight, body mass index, percent body fat, anaerobic threshold, endurance time, blood lactate concentrate, lactate dyhydrogenase, creatine kinase,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serum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other energy sources(total-cholesterol,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creatinine) and electrolyte (Na, K, Cl) were shown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Kyungohkgo can be used as ergogenic aids to improve aerobic capacity and eliminate exercise-induced fati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