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ease-of-use

검색결과 731건 처리시간 0.024초

모바일 소셜커머스 앱의 충성의도와 전환의도에 따른 시장세분화 -지각된 서비스 품질과 전환장벽의 차이- (Market Segmentation by Loyalty and Switching Intentions of Mobile Social Commerce Apps -Differences in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Switching Barriers-)

  • 성희원;김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5-80
    • /
    • 2019
  • Mobile shopping has spread rapidly in the consumer's daily life, and numerous fashion companies have now launched a mobile shopping application. By focusing on mobile social commerce apps, this study was to: (a) segment consumers based on loyalty and switching intentions, (b) to test differences in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switching barrier factors among segments, and (c)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switching barriers on loyalty intention. A total of 550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mobile users in their 20s to 40s who purchased fashion products through a social commerce app in the last six months.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split-loyals, latent loyals, habitual loyals, and switchers. The split-loyal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mean scores on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switching barrier factors; however, the switcher group showed the lowest mean scores. Of service qualities, app desig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oyalty intentions in both split-loyal and latent loyal groups; the factors of ease of use and priva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loyalty intentions in switchers. Of switching barrier factors, virtual relationship had the most strongly effect on loyalty intention for the four segments.

남성 소비자의 모바일 패션 쇼핑에서의 구매경험과 패션 쇼핑성향, 모바일 쇼핑특성, 지각된 가치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Mobile Shopping Characteristics, Perceived Value, and Mobile Purchase Experience in Male consumer's Mobile Fashion Shopping)

  • 채진미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7-12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and mobile shopping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perceived value. In addition, mobile purchase experiences of male consumers in their 20s~30s were analyzed.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from November 10, 2015 to November 20, 2015 and 230 useful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OVA, duncan test,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1.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of male consumers was composed of five factors, which were 'brand ostentatious orientation', 'pleasure/trend orientation', 'economic orientation', 'impulse orientation' and 'time-saving orientation'. Second, mobile shopping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three factors including 'ease of use', 'personalization', and 'security'. Third,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such as 'pleasure/trend orientation', 'economic orientation', and 'time-saving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ceived value, while all the factors of mobile shopping characteristics affected the perceived value significantly.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lasssified groups based on the level of purchase frequency and the period of using mobile shopping mall in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 classified by the level of purchase frequency in mobile shopping characteristics factors. These results suggested the differenciated strategies for customer management to make male consumers lead to mobile purchase.

  • PDF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의 유형별 UX 만족도 지표 연구 (Study on UX Satisfaction Index According to Types of Mobile Commerce Services)

  • 김소현;하현남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53-59
    • /
    • 2014
  •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인지하는 UX 만족도는 구매하는 상품과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다를 것으로 예측된다. 이 연구에서는 모바일 커머스 서비스에서 판매하는 상품 유형에 따라 한국과 북미 사용자의 UX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각 서비스 유형에 필요한 UX 요소를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UX 만족도 지표(INDEX)를 구성하는 4개의 차원(UI 편의성, 유용성, 신뢰도, 네트워크 효과)과 세부 UX 디자인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실제 모바일 서비스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UX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판매하는 상품에 따른 비교에서는 신뢰도에서 차이가 나타났지만 한국과 북미 사용자에 따른 비교에서는 유용성과 신뢰도 모두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UX 만족도 지표를 구성하는 4개의 차원과 세부 UX 디자인 요소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서비스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요소가 전반적으로 높은 관계성을 보였고 문제해결, 도움말과 같은 고객 지원 요소는 한국 사용자보다 북미 사용자에게서 더 높은 관계성을 보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할 때보다 실물 상품을 구매할 때 사용자는 신뢰도 요소를 더 필요로 하며, 한국 사용자는 콘텐츠의 유용성에 높은 가치를 두고 북미 사용자는 신뢰도에 높은 가치를 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Examin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ird-Party Mobile Payment Adoption: A Comparative Study of Alipay and WeChat Pay

  • 무홍레이;이영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6권4호
    • /
    • pp.247-284
    • /
    • 2017
  • Purpose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re likely to influence user's intention to adopt third-party mobile payment platform. A comprehensive study about mobile payment services have used various variables to explain user's use intention based on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TRA) or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Variables such as simplicity, security, costs, relative advantage, individual mobility, subjective norm, trust, satisfaction, attitude towards us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so on. Among these factors, we expect to find out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effecting user's use intention of the third-party mobile payment services. Second, we also examine whether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have the same influence to different third-party mobile payment services by conducting comparative study of Alipay and WeChat Pay. Design/methodology/approach Empirical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Chinese who has the experience using or have used Alipay or WeChat Pay. Participants needed to be familiar with Alipay or WeChat Pay because such users may be more aware of both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Alipay and WeChat Pay. We conduct a pilot test using Smart PLS 2.0, which includes 50 Alipay users and 82 WeChat Pay users. The result indicates that all the measurement fit for the context. And then 980 questionnaires were mainly sent out to the college students and the e-mails users randomly. To encourage participation, we give the participants a small gift as a present. Finally, we received a total of 683 replied. Data from respondents who gave incomplete or invalid answers were excluded to assure the validity of the constructs. 79 questionnaires were rejected, finally the valid data are 604 (with 372 Alipay users and 232 WeChat Pay users). Findings The results suggest that users' intention is determined by their trust on third-party mobile payment service and perceived usefulness of use. Comparative study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factors have different influence on Alipay group and WeChat Pay group, which offers a new aspect for academic field, and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mobile payment service providers in China.

인지된 보안통제가 고객의 인터넷 뱅킹 수용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erceived Security Control on the Acceptance of Internet Banking)

  • 서보밀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5-52
    • /
    • 2006
  • 본 연구는 인터넷 뱅킹 환경에서의 보안통제에 대한 고객의 인지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인터넷 뱅킹을 포함한 e-비즈니스의 고객들은 보안통제에 대하여 정확하게 알기가 어려울 수밖에 없다. 일반 고객들은 e-비즈니스의 보안기술을 완벽하게 이해할 수도 없으며,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사이트에서 어떤 보안통제를 구현하여 운영, 관리하고 있는지를 알기는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형에 근간을 두고 보안통제의 인지된 강도가 인터넷 뱅킹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마케팅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 e-비즈니스 분야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하고 있는 신뢰의 개념을 추가적인 신념으로 제시하였다. 인터넷 뱅킹 사용자를 대상으로 정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845명이 응답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통계분석 결과, 보안통제의 인지된 강도가 신뢰와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사용 용이성이라는 3가지 신념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또한, 이 3가지 신념에서 시작하여 사용에 대한 태도, 사용 의지 실제 사용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도 모두 채택되었다. 따라서, 보안통제의 인지된 강도는 인터넷 뱅킹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이라는 것이 검증되었으며, 인터넷 뱅킹에 대한 보안통제의 실제 강도뿐만 아니라 보안 통제의 인지된 강도도 인터넷 뱅킹의 확산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Chat GPT의 e-서비스 품질이 지각된 가치와 혁신성을 통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at GPT's e-Service Quality on Learning Performance through Perceived Value and Innovation)

  • 박철훈;조아라;채영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707-719
    • /
    • 2023
  •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Chat GPT 등 AI 기술이 단순한 지원을 넘어 적극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솔루션을 제공하는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hat GPT의 e-서비스 품질이 인식된 가치, 혁신성 및 후속 학습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사용 편의성과 반응성은 중요하지 않았지만, 안전성과 신뢰성은 인지된 가치 및 혁신성에 긍정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와 인지된 가치 사이에는 부(-)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Chat GPT가 가치 있고 혁신적인 것으로 Chat GPT를 통해 학습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Chat GPT를 학술적으로 배포하는 데 지침이 필요하다는 점을 중요하게 보여주는 연구로 제시하고자 합니다. 또한, Chat GPT가 최근 도입된 점을 고려하면 좀 더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집니다.

소비자 기술준비도에 따른 증강현실(AR) 패션 쇼핑 서비스 수용의도 (Augmented Reality (AR) Fashion Shopping Service Acceptance Based on Consumers' Technology Readiness)

  • 허희진;이하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47-357
    • /
    • 2021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optimism and innovativeness, the two drivers of a consumer's technological readiness to use an augmented reality(AR) fashion shopping servic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49 people (males = 58; females = 191) in their 20s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AR experi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AMOS 22.0.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greater level of perceived optimis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ase of use and usefulness of the technology. The findings also show that consumers with a high degree of innovativeness tend to have a higher level of playfulness toward AR fashion shopping. Regarding the effects of user beliefs, ease of us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usefulness and playfulness with higher levels implying a higher consumer intention to adopt an AR fashion shopping service.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s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with high-fashion versus those with low-fashion innovativeness. For the latter, technological innovation had an insignificant effect on playfulness, thus indicating that consumers with low interest in fashion did not enjoy AR fashion shopping even if the technology was highly innovative. Nevertheless, the analysis confirms the possibility that experiencing a fashion product through AR technology could replace the actual experience of wearing the products.

기술수용모델(TAM)과 계획된 행동이론(TPB)를 바탕으로 한 모바일 기술수용에 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Mobile Technology Adoption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이상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61-84
    • /
    • 2005
  • 정보통신기술의 수용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은 기술수용이 유용성(usefulness), 사용의 용이성(ease of use) 그리고 기술에 대한 자긍심(self-efficacy) 같은 혁신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사회적 규범(subjective norms), 구전효과(word-of-mouth) 그리고 광고(advertising)와 같은 모방적 요인에 대해서는 간과해 왔다. 특히 수요대폭발(critical mass)을 불러일으키는 모방적 요인과 혁신적 요인의 상호간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 않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모바일 기술의 수용에 있어 모방적 요인의 역할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복합적 관점에서 초기 모바일 기술 수용에 대한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대량광고, 구전효과와 사회적 규범과 같은 모방적 요인이 모바일 수용의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기술 전파에 따른 시장변화에 있어 정보통신 장비공급업체에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략수립에 도움을 주리라 믿는다.

기술수용모델 기반 스마트폰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Factors Influencing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Based on the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남수태;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076-2082
    • /
    • 2017
  • 우리나라 스마트폰 이용자는 경제활동 인구의 99% 이상 대부분이 사용하고 있으며 초기 형성단계를 지나 포화상태에 도달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배적 디자인 속성이 스마트폰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예측변수로는 확장 기술수용모델에서 제시된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사용 용이성을 선택하였고 지배적 디자인 속성을 매개 조절변수로 선택하여 개념모델을 완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경남과 익산전북지역에 거주하는 스마트폰 사용자 135명이며 설문을 통해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인구통계학적인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19로 하였고 Smart PLS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변수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속사용의도에 이르는 모든 경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배적 디자인 속성이 태도를 매개하여 조절할 때 지속사용의도는 76%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Customers' perception of the attributes of different formats of menu labeling: a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the U.S.

  • Bosselman, Robert;Choi, Hyung-Min;Lee, Keum Sil;Kim, Eojina;Cha, Jaebin;Jeong, Jin-Yi;Jo, Mina;Ham, Sunny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4권3호
    • /
    • pp.286-297
    • /
    • 2020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the perception of customers from Korea and the U.S. on the attributes of different formats of menu labeling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1) to compare the customers' perceived usefulness, ease-of-understanding, clarity, and attractiveness of different formats of menu labeling between Korea and the U.S.; and 2) to compare the customers' use intention to different formats of menu labeling between Korea and the U.S. SUBJECTS/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in Korea and the U.S. The participants were allocated randomly to view 1 of the 7 restaurant menus that vari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types of menu labeling formats: (type 1) kcal format, (type 2) traffic-light format, (type 3) percent daily intake (%DI) format, (type 4) kcal + traffic-light format, (type 5) kcal + %DI format, (type 6) traffic-light + %DI format, and (type 7) kcal + traffic-light + %DI format. A total of 279 Koreans and 347 Americans were entered in the analysis. An independent t-test and 1-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RESULTS: Koreans rated type 4 format (kcal + traffic light) the highest for usefulness and attractiveness. In contrast, Americans rated type 7 (kcal + traffic light + %DI) the highest for usefulness, ease-of-understanding, attractiveness, and clari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ustomers' perceived attributes to menu labeling between Korea and the U.S. Americans perceived higher for all the 4 attributes of menu labeling than Koreans. CONCLUSIONS: The study is unique in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the attributes of different formats of menu labeling between Korea and the U.S. Americans rated the most complicated type of menu labeling as the highest perception for the attributes, and showed a higher use intention of menu labeling than Koreans. This study contributes to academia and industry for practicing menu labeling in different countries using different form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