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endimethalin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Zoysia matrella의 생장에 미치는 잔디용 제초제 Simazine, Pendimethalin, Propyzamide, Asulam의 영향 (Influence of Selected Turfgrass Herbicides, Simazine, Pendimethalin, Propyzamide and Asulam on the Growth of Zoysia matrella)

  • 김석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7권2_3호
    • /
    • pp.81-94
    • /
    • 199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erbicides, simazine, pendimethalin, propyzamide and asulam on the growth of Zoysia matrella when they are treat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of the plant. The reaction of Zoysia matrella to herbicides differed depending on kinds of herbicides, their concentcations, and time of treatment. Simazine at the higher concentration of 600g /l0a exhibited inhibitory effect on leaf dry matter and growth of runner when treated on April 5, 1991. The highest inhibition of leaf and runner was observed in the plot applied on May 23, 1990. The sprouting and growth of Zoysia matrella was not affected by all the concentrations of the herbicides applied on October 23,1991. Pendimethalin did not influence the growth of Zoysia matrella at he treatment of April 5. However, at the treatment of May 23, the number and growth of runner was inhibited although the plant height and leaf dry matter was not affected. When pendimethalin was treated on October 23, the growth of runner was very slightly reduced in the next year. In case of propyzamide, there was no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Zoysia matrella regardless of treatment of times, methods, and dosages. Greater inhibition in the growth of Zoysia matrella was observed at higher dosage(1,ll0g /l0a)-treated plot on April 5 and all the concentrations treated on May 23. But, no inhibition was observed on the October 23 treatment.

  • PDF

Dinitroaniline계(系) 제초제(除草劑)의 잔디밭에서의 작용특성(作用特性) (Herbicidal Activities of Dinitroaniline Compounds in Turfgrass)

  • 이영돈;김석정;김건우;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65-271
    • /
    • 1994
  • 7종류(種類)의 dinitroaniline계(系) 제초제(除草劑)의 제초활성(除草活性), 잔효성(殘效性), 토양중(土壤中)의 하향(下向) 이동성(移動性), bentgrass에 대한 영향(影響) 및 pendimethalin과 benefin의 bentgrass 경엽(莖葉)에서의 분포(分布)에 대하여 실험(實驗)을 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供試)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에 대한 살초력(殺草力)은 prodiamine, benefin, pendimethalin 등의 제초제(除草劑)에서는 표준량(標準量)의 1/16에서도 $LD_{90}$을 나타내어 아주 높았고, ethalfluralin, bensulide가 낮았다. Bensulide를 제외(除外)한 모든 공시(供試) 제초제(除草劑)는 식양토(埴壤土)에 비하여 모래에서 제초활성(除草活性)이 떨어졌다. 2. 잔효성(殘效性)($LD_{90}$의 지속기간(持續期間))은 benefin, beslogine, prodiamine, oryzalin, bensulide, siduron 등의 제초제(除草劑)에서는 약 50일간(日間), pendimethalin은 약 35일간(日間), trifluralin, ethalfluralin 등은 약 25일간(日間)이었다. 3. 제초제(除草劑)의 종류(種類)에 관계없이 잔디밭 표토(表土)에 처리(處理)한 것이 bentgrass green 모래 처리구(處理區)에 비하여 하향(下向) 이동성(移動性)이 작았으며, 잔디가 있는 처리구(處理區)가 잔디가 없는 처리구(處理區)보다 현저(顯著)하게 하향(下向) 이동성(移動性)이 작았다. Ethalfluralin, oryzalin, bensulide 등은 하향(下向) 이동성(移動性)이 큰 제초제(除草劑)이고 그 밖의 공시(供試) 제초제(除草劑)는 하향(下向) 이동성(移動性)이 비교적(比較的) 작았다. 4. Beslogine, bensulide, prodiamine, benefin 등은 bentgrass에 거의 약해(藥害)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oryzalin, trifluralin 등은 약 12%, ethalfluralin은 30%, pendimethalin은 40%의 건물중(乾物重)을 감소(減少)시켜 제초제간(除草劑間)에 상이한 약해(藥害)을 보였다. 5. Pendimethalin과 benefin간(間)에는 bentgrass의 경엽표면(莖葉表面), 왁스층, 경엽내부(莖葉內部)에서 분포량간(分布量間)에 차이(差異)는 거의 없어서 두 제초제간(除草劑間)의 약해차이(藥害差異)는 체내대사(體內代謝)나 작용점(作用点)에서 활성(活性)의 차이(差異)에 기인(起因)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 PDF

Simazine과 Pendimethalin의 Zoysia matrella 경엽에 부착과 탈착에 미치는 토양침투제의 영향 (Effect of a Soil Permeagent, Aqua-Gro R, on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Selected Turfgrass Herbicides, Simazine and Pendimethalin on the Leaves of Zoysia matrella)

  • 김석정;김건우;권순태;김경남;박진희;허백렬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7-92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oil permeagent, Aqia-Gro R, on the ad-sorption and desorprion of selected herbicides, simazine and pendimethalin on the 'eves of Zoysia matrella The Aqia-Gro R decreased the adsorption and promoted the desorption of the herbicides on the leaves of turfgrass by irrigation.

  • PDF

인공강우에 의한 alachlor, ethalfluralin, ethoprophos 및 pendimethalin의 토양표면 유출 (Runoff and Erosion of Alachlor, Ethalfluralin, Ethoprophos and Pendimethalin by Rainfall Simulation)

  • 김찬섭;임양빈;이영득;오병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6-315
    • /
    • 2006
  • 강우에 의한 경사지 토양으로부터의 농약 유출양상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농약의 특성, 환경적 요인 및 영농방법 등의 영향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토양흡착실험과 인공강우유출실험을 수행하였다. 흡착실험을 수행하여 농약의 이동 가능성과 이동형태를 파악하고 인공강우시설을 이용한 유출실험으로 강우양상 및 경사도의 영향 정도를 파악하여 농약의 표면유출에 의한 유실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각 농약의 Freundlich 흡착계수 K는 ethoprophos $1.2{\sim}2.2$, alachlor $1.5{\sim}2.6$, ethalfluralin $56{\sim}94$ 및 pendimethalin $104{\sim}189$ 순이었다. 일반적인 흡착실험 방법인 용액에 존재하는 농약을 토양에 흡착시키는 방법보다 농약을 토양에 혼화처리한 후 탈착시키는 방법에서 흡착계수 값이 높았고, Freundlich 등온흡착식의 직선성을 나타내는 1/n 값은 탈착방법의 경우 $0.96{\sim}1.02$이었고 흡착방법의 경우는 $0.87{\sim}1.02$로 나타나 탈착방법에 의한 흡착계수 측정방법이 물질의 처리농도에 의하여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국 SSLRC의 이동성 분류기준으로 판단하면 alachlor와 ethoprophos는 moderately mobile$(75{\leq}Koc<500)$ 등급에 해당하였으며, ethalfluralin 및 pendimethalin은 Koc 4000을 초과하여 non-mobile 등급에 속하였다. 인공강우 처리구의 유출수 및 유실토양에 의한 농약 유실율은 각각 alachlor $1.0{\sim}6.4%$$0.3{\sim}1.2%,\;ethalfluralin\;1.0{\sim}2.5%$$1.7{\sim}10.1%,\;pendimethalin\;1.3{\sim}2.9%$$3.8{\sim}10.8%,\;ethoprophos\;0.6{\sim}2.7%$$0.1{\sim}0.3%$이었다. 인공강우실험 후 공약의 토심별 분포를 살펴 본 결과 alachlor와 ethopropho는 토심 $10{\sim}15cm$까지 이동하였고, ethalfluralin과 pendimethalin는 대부분 토심 5 cm 이내에 잔류하였다. 경사도 30%의 경우가 10%에 비하여 각 농약의 유실량이 $0.2{\sim}1.9$ 배 증가하였는데 유출수에 의한 농약의 유실량 차이는 유출수 중 농도 차이로 판단되며, 유실토양에 의한 농약 유실량 차이는 토양 유실량과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농약의 강우에 의한 유실은 복잡하게 작용하는 많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만 정교하게 구성된 환경 시나리오에 의하여 예측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Enhancement of Pendimethalin Degradation Activity in Bacillus sp. MS202 using Gamma Radiation

  • Lee Young-Keun;Chang Hwa-Hyoung;Lee Ho-Jin;Park Heesoon;Lee Kyung Hee;Joe Min-Ho
    • 환경생물
    • /
    • 제23권4호
    • /
    • pp.405-408
    • /
    • 2005
  • To induce the enhanced mutants of dinitroaniline herbicide pendimethalin degrading bacterium, Bacillus sp. MS202 was irradiated with gamma radiation at the dose of $LD_{99}$ (3.35 kGy). Three enhanced mutants (MS202m7, MS202m14, MS202m18) were isolated from the candidates by the generation - isolation method. Clear zone formation and the GC analysis confirmed that the degrading activity of each enhanced mutant (MS202m7, MS202m14, MS202m18), the formation of pendimethalin metabolite, increased by $11\%,\;45\%,\;and\;32\%$ than a wild type, respectively. It suggested that these mutants induced by gamma radiation could be useful for the application of pesticide degradation.

안개에 기인하는 배추(Brassica pekinensis)의 잡초경합(雜草競合) 및 제초제반응(除草劑反應) 특이성(特異性) (Specifics in Weed Competition and Herbicide Response of Chinese Cabbage(Brassica pekinensis) under Foggy Condition)

  • 구자옥;박태동;천상욱;국용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70-277
    • /
    • 1995
  • 본 연구는 안개제조 장치가 설치된(Auto foggy system: SAE KI RTN Co.) 온실내 tray 시험으로 수행되었으며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안개조건하에서 배추의 엽수와 지상부 생체중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초장은 더 증가하였다. 2. 안개조건하에서 40일과 60일 경합처리로 초장이 감소되었으나 엽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지상부 생체중은 전 경합기간의 안개조건하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40일(日) 경합구에서 감소정도가 큰 경향이었다. 3. Pendimethalin과 Napropamide 처리로 지상부 생체중은 안개조건하에서 감소하였고, 엽수는 Pendimethalin 처리에서만 이식후 60일에 감소하였다. 4. Pendimethalin, Napropamide 및 Alachlor 처리에서는 안개와 비안개간에 방제효과상의 차이가 없었고 Trifluralin에서는 처리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바랭이 유묘출현하게 되므로써 안개조건하에서 방제효과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 PDF

감초경작지의 잡초방제를 위한 제초제 선발 (Response of Liquorice (Glycyrrhiza uralensis) to Several Soil- and Foliar-Applied Herbicides)

  • 김성문;오혜영;김용호;조준모;허장현;한대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81-86
    • /
    • 2000
  • 감초 경작지의 잡초를 방제할 수 있는 제초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시판중인 12종의 토양처리 및 경엽처리 제초제의 약효 약해를 실내실험을 통하여 검정하였고, 선발된 제초제의 약효 약해를 포장실험을 통하여 검정하였다. 토양처리 제초제인 pendimethalin(1,585 g a.i. $ha^{-1}$), simazine(1,000 g a.i. $ha^{-1}$), alachlor(5 g a.i. $ha^{-1}$), metolachlor (1,600 g a.i. $ha^{-1}$), ethalfluralin(1,050 g a.i. $ha^{-1}$)를 각각 처리한 결과, 제초제들은 바랭이와 피에 대해서는 60% 이상의 살초력을 나타낸 반면, 어저귀와 메밀에 대해서는 60% 이하의 살초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alachlor, metolachlor, ethalfluralin은 감초에 대해 중정도의 약해를($25{\sim}40%$), pendimethalin, simazine은 낮은 약해를 나타내었다($10{\sim}17%$). 실내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pendimethalin과 simazine를 포장시험을 위한 제초제로 선발하였고, 약효 약해를 춘천 소재 강원도 농업기술원 포장에서 검정하였다. 제초제 처리 4주 후 pendimethalin과 simazine 처리구의 감초 생체중은 무처리구의 감초 생체중(0.79 g $plant^{-1}$)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무처리구에 발생한 잡초의 총생체중은 $187g m^{-2}$이었던 반면 제초제 처리구에서는 잡초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경엽처리 제초제인 dicamba(964 g a.i. $ha^{-1}$), 2,4-D(280 g a.i. $ha^{-1}$), mecoprop(2,500 g a.i. $ha^{-1}$), flazasulfuron(75 g a.i. $ha^{-1}$), imazaquin(800 g a.i. $ha^{-1}$'), bentazon(1,600 g a.i. $ha^{-1}$), pyribenzoxim(30 g a.i. $ha^{-1}$)을 각각 $3{\sim}4$엽기의 감초와 어저귀, 메밀, 바랭이, 피의 경엽에 처리하고 처리 7일 후 약효 약해를 실내 검정한 결과, dicamba, 2,4-D, mecoprop, bentazon은 감초 유식물에 대해 완전해를 나타낸 반면, flazasulfuron, imazaquin, pyribenzoxim은 30% 이하의 약해를 나타내었다. 감초에 대하여 낮은 약해를 나타낸 flazasulfuron, imazaquin, pyribenzoxim은 어저귀, 메밀, 바랭이, 피에 대하여 50% 미만의 약효를 나타내었기에 감초 경작지용 제초제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감초경작지용 제초제로는 토양처리용 pendimethalin과 simazine이 적합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감자 이상모자이크증상의 몇 가지 발생원인 및 제초제에 의한 증상 유기 (Several causes of non virus-induced mosaic symptom on potato leaves and its induction by herbicides)

  • 권민;함영일;김현준;임명순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5-50
    • /
    • 2001
  • 최근 씨감자 채종지에서 PVX, PVY 감염증상과 유사한 비(非)바이러스성 모자이크증상(Non virus-induced mosaic symptom, NVMS)이 매년 $5{\sim}20%$ 정도 발생하고 있어서 씨감자포장검사원과 농민간에 많은 마찰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실험에서는 NVMS의 원인을 구명하고자 의심주와 건전주의 재배적, 병리적, 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NVMS를 일으키는 원인중의 하나로 생각되는 감자밭 제초제에 대한 약해증상 유기실험을 포장과 실내에서 실시하였다. 이상모자이크 증상주가 심겨진 근권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pH, EC) 및 토양 내 각종 성분(유기물 $P_2O_5$, K, Ca, Mg. $NO_3$) 함량을 분석하여 이상모자이크 발생률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떠한 상관성도 보이지 않았다. 또한 바이러스항혈청(PVY, PVX)을 이용한 ELISA 검정과 투과(透過)전자현미경(TEM) 검경에서도 어떠한 바이러스 입자도 검출되지 않았다. 지표식물인 Nicotiana tabacum과 N. sylvestrus를 이용한 접종에서도 PVX와 PVY 감염증상이 보이지 않았다. 감자밭용 제초제 처리 결과 Pendimethalin.linuron EC+paraquat SL 처리구에서는 61.1%의 NVMS 발생률을 보였으며, Pendimethalin EC+paraquat SL 처리구에서는 47.2%, Oxadiazon pendimethalin EC+paraquat SL 처리구에서는 19.4%의 발생률을 보였다. 따라서 Pendimethalin 성분이 함유된 제초제 처리가 감자의 NVMS 발생 원인으로 판명되었다. 수량에서는 처리간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다만 Dicamba 처리구에서 무처리 대비 23%의 수량감소가 있었다. 또한 전년도 제초제 처리한 괴경을 파종하여 후대검정한 결과 어떠한 이상모자이크 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 PDF

잣나무와 일본잎갈나무 상체상(床替床)에 있어서 잡초방제(雜草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Weed Control in Transplanted Bed of Pinus koraiensis S. et. Z and Larix leptolepis Gordon)

  • 안영환;정진철;한성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11-218
    • /
    • 1985
  • 잣나무(Pinus koraiensis S. et. Z.)와 일본잎갈나무(Larix leptolepis Gordon) 상체상(床替床)에 있어서 잡초방제(雜草防除)를 목적(目的)으로 6종(種)의 제초제(除草劑)를 묘이식(苗移植) 7일(日) 후에 토양처리(土壤處理)하여 제초효과(除草效果) 및 수목(樹木)의 약해(藥害)를 검정하였고 토양표면처리시(土壤表面處理時) 비산(飛散), 부주의(不注意) 등으로 야기될 수 있는 약해유무(藥害有無)를 판정하기 위하여 수목(樹木)에 대한 경엽처리(莖葉處理)를 약해(藥害) 및 생육상황(生育狀況)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다. 1. 공시약제(供試藥劑)의 토양표면처리(土壤表面處理) 결과(結果) 표준시용량(標準施用量)에서 화본과(和本科) 잡초(雜草)에 대한 살초효과(殺草效果)는 oxyfluorfen, alachlor, terbutryn은 85~90%의 방제율(防除率)로 우수(優秀)하였고 pendimethalin과 simazine은 78%내외(內外)의 방제율(防除率)이였으며 ustinex는 60%정도(程度)의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다. 2. 광엽잡초(廣葉雜草)에 대한 살초효과(殺草效果)는 simazine, oxyfluorfen, pendimethalin, terbutryu 순(順)으로 70~80%의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다. 3.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인 쑥, 메꽃에 대해서의 살초효과(殺草效果)는 ustinex와 oxyfluorfen이 85% 이상(以上)의 우수(優秀)한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고 기타 공시약제(供試藥劑)는 50% 이하(以下)의 저조한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다. 4. 토양표면처리(土壤表面處理) 결과(結果) 잣나무와 일본잎갈나무에 대한 초기약해(初期藥害)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생육현황(生育現況)도 관행구(慣行區)에 비하여 떨어지지 않았다. 5. 경엽처리(莖葉處理)는 없었으며 생육(生育)은 관행구(慣行區)에 비하여 뒤지지 않았으며 일본잎갈나무에 대한 초기약해(初期藥害)는 ustinex, oxyfluorfen, terbutryn, pendimethalin처리구(處理區)의 순(順)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생육현황(生育現況)도 약해정도(藥害程度)에 비례하여 상당히 저조하였다.

  • PDF

주요채소용제초제(主要菜蔬用除草劑)의 토양중(土壤中)에서의 잔효(殘效)과 후작물(後作物)에 미치는 영향(影響) 제(第)3보(報) 무균한천배지(無菌寒天培地)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의 농도수준(濃度水準)에 따른 검정식물(檢定植物)의 생육저해(生育沮害) (Residual Activity and Effect of Soil Applied Herbicides on Succeeding Crops in Vegetable Field 3. Growth Inhibition of Test Plant According to Concentration Level of Herbicides in Sterile Agar Medium)

  • 양환승;문영희;최은석;장민수;이진하;장영남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7-121
    • /
    • 1991
  • 토양중(土壤中)에서 생육억제(生育抑制)에 필요한 유효농도(有效濃度)를 식물별(植物別)(화본과 I.R, 십자화과무)로 알아보기 위하여 무균한천배지(無菌寒天培地)에 제초제(除草劑) 4종(種)을 농도수준별(濃度水準別)로 처리(處理)하여 생육억제(生育抑制)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공통(共通)된 석향(傾向)으로 4종(種)모두 초장(草長)보다는 근장억제(根長抑制)가 보다 컸으며 무 보다 I.R에 대한 억제(抑制)가 월등(越等)하게 컸다. 2. I.R의 근장(根長)과 초장(草長)을 50% 이상억제(以上抑制)시키는 농도(濃度)는 nitralin 0.036ppm과 0.132ppm이고 napropamide는 0.027ppm과 0.071ppm이었다. 또 pendimethalin은 0.063ppm과 0.097ppm이고 ethalfluralin은 0.042ppm과 0.092ppm이었다. 그러나 무의 근장(根長)과 초장(草長)을 50% 억제(抑制)시키는 농도(濃度)는 nitralin은 1.028ppm과 10ppm 이상, napropamide는 0.515ppm과 10ppm 이상이었다. pendimethalin은 1.925ppm과 4.885ppm, ethalfluralin은 2.669ppm과 10ppm 이상이었다.

  • PDF